•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응답자의 구성을 보면 프로그래머는 56.4%를 이루고 있으며 분석 및 설계 담 당자는 27.3% 프로젝트 관리자는 16.4% 등의 순위로 되어 있으며 중복으로 업 무를 담당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총 55가지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소프트웨어 개발 경력을 살펴보면 1년 이하가 3.9%, 1∼2년 이하가 11.8%, 2∼5년 이하가 60.8% 그리고 5년 이상이 23.5%로 각각 나타났다. 응답 자의 76.5%가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응답자들의 개발 경험이 대체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7] 응답자의 직무 분포

직 무 표 본 수 비 율(%)

프로그래머 31 56.4

분석 및 설계 15 27.3

프로젝트 관리자 9 16.4

합 계 55 100.0

반면 소프트웨어 재사용의 개념을 가지고 있는 객체지향 개발 방법이 도입되 었고 컴포넌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응답자들의 72.5%가 2년 이하 의 경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관련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 다.

한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개발자들의 72.5%가 평균 1회 미만의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2회는 21.6%로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받는 교 육의 횟수는 1회 정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응답자 51명 가운데 교육을 받지 못한 9명을 제외한 42명이 받은 교육종류의 분포는 개발 언어관련 교육이 25.5%, 개발 방법론 관련 교육이 41.8%, 개발 도 구 관련 교육이 14.5% 그리고 기타 교육이 1.8%로 나타났다.

[표 29] 응답자의 객체지향 및 컴포넌트 개발 경력

경 력 빈 도 비 율(%) 유효 비율(%) 누적비율(%)

1년 이하 25 49.0 49.0 49.0

1∼2년 이하 12 23.5 23.5 72.5

2∼5년 이하 12 23.5 23.5 96.1

5년 이상 2 3.9 3.9 100.0

합 계 51 100.0 100.0

[표 30] 응답자가 받는 년 평균 교육횟수

경 력 빈 도 비 율(%) 유효 비율(%) 누적비율(%)

1회 미만 37 72.5 72.5 72.5

1∼2회 미만 11 21.6 21.6 94.1

2∼3회 3 5.9 5.9 100.0

합 계 100.0 100.0

[표 28] 응답자의 소프트웨어 개발 경력

경 력 빈 도 비 율(%) 유효 비율(%) 누적비율(%)

1년 이하 2 3.9 3.9 3.9

1∼2년 이하 6 11.8 11.8 15.7

2∼5년 이하 31 60.8 60.8 76.5

5년 이상 12 23.5 23.5 100.0

합 계 51 100.0 100.0

[표 31] 응답자가 받은 교육종류

직 무 표 본 수 비 율(%)

개발 언어 관련 교육 14 25.5

개발 방법론 관련 교육 23 41.8

개발 도구 관련 교육 8 14.5

기타 교육 1 1.8

교육 없음 9 16.4

합 계 55 100.0

제 4 장 결과분석 및 가설검증

본 장에서는 제 3 장에서 제시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WIN 11.0 을 사용하였다.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복잡 한 자료를 편리하고 쉽게 처리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통계분석전용 소프 트웨어이다. SPSSWIN을 이용하면 원하는 통계결과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얻어 낼 수 있다[강병서, 김계수, 2001].

제 1 절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사회과학에서 흔히 사용하는 변수의 속성을 측정하는 경우는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의 규명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측정 도구가 완벽하게 개발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측정상의 오차가 거의 모든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발생하는 오 차에는 체계적 오차(Systematic Error)와 비체계적 오차(Random Error)로 나누 어 질 수 있으며 체계적 오차는 오차가 일정하거나 또는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 으며 비체계적 오차는 측정대상, 측정과정, 측정수단 등에 일관성 없이 영향을 미침으로써 발생하는 오차를 말한다. 이를 신뢰성과 타당성을 위에서 제시한 오차와 관련지어 보면 타당성은 체계적 오차와 관련된 개념이며 신뢰성은 비체 계적 오차와 관련된 개념이다.

또한 신뢰성은 타당성을 위한 기본적인 전제조건이다. 그러므로 사회과학에서 사용되는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의미 있는 실험결과를 얻으려면 타당성은 물론 이지만 측정도구의 신뢰성이 높아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신뢰성이 낮은 측정의 타당성을 따진다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신뢰 성이 높다고 해서 타당성이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니다[채서일, 2001].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연구변수에 대한 신뢰성을 먼저 분석한 후에 이를 바탕으로 연구변 수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해 봄으로써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게 될 것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