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폭력의 대물림 및 폭력효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48)

연구 참여자들은 중 고등학생 시절에는 폭력을 경험하였지만 대학교 학생운동선, 수가 되면서 폭력문화가 점점 사라져가는 폭력에 노출된 마지막 세대이며 이 선수 들이 과연 지도자가 되었을 때 대물림 혹은 그림자로 폭력 문화가 이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폭력에는 긍정적 체벌과 부정적 체벌로 나누어지는 데 이 부분에 . 관하여 단체종목 & 개인종목 선수들의 의견이 달랐다.

저도 저희 팀에 최고참이었을 때는 폭력을 했었어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주장이다 보니. 까 팀원들한테 열심히 하자는 의미로 욕도 하고 폭력도 사용했던 것 같아요 아무래도 학년. 이 높아질수록 좋은 대학과 미래를 생각하게 되고 그것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저도 했던 것 같아요 폭력을 쓰고 나면 미안한 마음이 들기도 하고요 연구참여자. ( B,2).

중학교 때 후배들에게 얼차려 및 욕설을 했었어요 처음에는 좋게 경고로 했는데 선배인 . 제 말을 듣지 않고 행동이 나아지지 않아서 그랬던 것 같아요 효과는 뭐 잠깐 있었던 것 . 같아요 연구참여자( A,1).

고등학교 때 때리지는 않았는데 분위기 잡으려고 기합을 준 적이 있었어요 단체운동이다 . 보니 밑에 후배들을 끌고 가려고 했는데 방법이 어긋났죠 그 당시에는 몰랐는데 지금 생각. 해보니 체벌을 하다보니 사이도 서먹해지고 걔네들도 뒤에서 욕하면 서로간의 사이가 더 멀

어졌던 것 밖에 없었던 것 같아요 연구참여자( F,6).

저는 중학교 때는 후배들한테 기합을 하긴 했지만 고등학교 이후로는 한 적이 없었어요.

중학교 때는 선배들에게 당한 것을 그대로 순간의 화를 못 참아서 후배들한테 더 화를 냈던 것 같아요 연구참여자( E,5).

같이 운동을 했던 선후배 동기들이 없어서 체벌 구타 기합 등을 시켜본 적이 없어요 그, , , . 냥 저는 주변에서 들은 것 기사로 본 경험만 있지 직접 겪어본 적은 없어요 연구참여자( C,3).

중 고등학교 때 선후배 동기들이 없다보니 특별히 후배들에게 과도한 관심 터치 기합· , , , , 구타 등은 하지 않았고요 그냥 그런 것들이 없었어요 그래도 체벌을 왜 하는지를 생각해. . 보자면 일단 운동은 단체생활 이다보니 팀에 피해를 줄 경우에 체벌을 하는 것 같아요 연구( 참여자D,4).

단체종목 학생선수들은 체벌을 통해서라도 운동수행이 좋아져 시합의 결과가 좋 고 장래의 문제가 달려있고 아주 중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되면 처벌을 당해서라도 정시적 감정인 기분 상태를 긍정적으로 끌어올려 운동수행에 좋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였 원유병( , 2008)고 이로 인해 여러 지도자 및 선배들로부터 교육을 받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체벌이 경험되어 교육되는 상황을 살펴 볼 수 있 었다 본 단체종목에 속한 연구 참여자도 마찬가지로 개인적이고 다양한 배움을 바. 탕으로 운동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체벌을 경험하기 시작하고 반복적인 체벌로 인 해 체벌을 교육의 일부로 받아들이게 하는 내면화된 기억을 형성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김선후 여지은( , , 2013). 하지만 개인종목 학생선수들은 성적과 진학은 개인 의 기량에 달려있기 때문에 체벌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는 입장이었다.

저는 아무래도 팀 스포츠이기 때문에 체벌이 필요하긴 한데 지금 시대에서는 구타 같은 폭력보다는 언어 말 비속어 로는 해도 된다고 생각해요 또 선배나 감독 코치님께 체벌을 , ( ) . , 받고 나면 아 안 맞아야 겠구나 라는 생각으로 운동을 더 열심히 한 것 같아요 결론은 저‘ ’ . 는 어느 정도 체벌을 받아야 성적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 제가 느끼기에도 체벌 후에 경 기 결과가 더 좋아졌던 것 같아요 그러나 반대로 선배의 구타 또는 성희롱으로 인해 운동. 을 그만두는 경우도 많이 보고 저도 체벌로 인해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을 해봐서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큰 것 같아요 연구참여자( B,2).

저는 긍정적인 체벌의 효과는 없다고 생각해요 다시 말해서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 체벌이 필요 없다고 생각해요 굳이 체벌을 해야 잘 되는 건 아니고 본인 하기 나름이라고 . 생각이 들어요 체벌을 한다고 해서 경기 결과가 달라지는 것도 아니고 운동을 더 열심히 . 해야지 라는 생각도 안 들어요 단지 체벌은 선 후배 사이도 틀어질뿐더러 더 큰 문제로 . , 번지고 어떤 경우는 강제전학까지 본 경우도 있어서 체벌은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연구( 참여자C,3).

솔직히 성적을 올리기 위해서는 체벌이 필요할 때는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훈련할 때 다 . 같이 말을 안 듣거나 할 때는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중학교 때는 체벌을 받고나면 더 열심. 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점점 그런 생각이 없어졌어요 저는 맞아야 본인이 잘못된 . 것을 아니까 또 경기력도 향상되니까 체벌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편이에요 저도 많이 맞. 아서 운동하기 싫었던 적은 있었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의 체벌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연구( 참여자A,1).

성적을 올리는데 체벌이 필요하다에 대해서는 반대라고 생각해요 저희 운동은 개인적인 . 능력이 크기 때문에 체벌을 아무리 한다 해도 성적이 오르지 않는다는 것은 그냥 그 사람의 게으름 문제점이라고 생각해요 체벌은 긍정적인 효과도 없고 경기 결과에도 영향을 미치, . 지 않으며 단지 체벌은 받는 당사자는 큰 상처 트라우마로 남을 수 있기 때문에 부정적인 , 결과가 더 크게 작용할 것 같아요 연구참여자( D,4).

저는 개인종목 이다보니 성적이 올리기 위해서 체벌을 한다 이건 좀 아닌 것 같아요 솔? . 직히 체력 기합 같은 부분은 없진 않겠지만 체벌을 통해 억지로 하는 것은 아닌 것 같아요.

체벌 후에 경기 결과는 개인종목이다 보니 개인 기량이 더 큰 부분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굳 이 체벌을 통해 효과를 본다? 이 말은 틀린 것 같아요 또 체벌은 폭력으로 번질 수 있고 . 더 큰 싸움이 될 수 도 있기 때문에 체벌은 부정적인 효과만 가지고 있는 것 같아요 연구참( 여자E,5).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단체종목은 체벌이 조금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학생들은 많은. 데 지도자는 한명이다 보니 일일이 코치하기도 힘들고 말해서도 안 듣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체벌을 받은 후 운동을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진 않고 제가 . 지도자라면 체벌을 하는 것이 이해는 되는데 다른 방법을 택할 것 같아요 체벌 후 경기 결. 과 또한 체벌을 받고 잘하는 선수가 있는 반면 체벌을 받고 더 못하는 선수가 있어서 경기 결과에는 상관이 없고 선수 개개인의 문제가 생기는 것 같아요 하지만 선 후배 사이에서. , 의 체벌은 효과가 전혀 없다고 봐요 연구참여자( F,6).

또한 이성은 이명선 변혜정 김상범, , , (2009)은 지도자로부터 폭력을 배운 피해자 가 후배에게 또 다른 폭력을 하는 가해자가 되고 그 후배 피해자도 선배가 되어 , 또 다시 후배들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지도자 선배 후배간의 폭력의 대물림 그리고 - -폭력의 악 순환적 반복되는 구조가 연속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스포츠선수의 폭력이 근절되지 않는 이유는 신고나 고소를 하여 보. 복 차 피해 불이익 솜방망이 처벌 체육계의 온정주의 일을 크게 만들고 싶지 않·2 · , , , 아서 따돌림 등이 있었으며 이러한 근거로 스포츠 폭력이 근절되지 않는 악순환의 , 반복을 수십 년 째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김혁( , 2016).

이러한 체벌 및 폭력이 없이도 학생선수들이 얼마든지 좋은 성적을 보여줄 수 있도록 지도자 선수 모두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폭력의 대물림은 또 다른 악, , 순환 구조를 창출하는 연속선이 될 수 있으므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정책적인 구 조 및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4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