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평가

문서에서 역사과 논리 및 논술 (페이지 36-54)

졸업논문을 비롯 한 간단한 논문 졸업논문의 의의

▪ 학생들이 대학의 전공과정을 통해 배운 지식을 종합할 기회

▪ 학생과 지도교수간 교류를 통해 학술적인 글을 완성

↘ 사제 간의 학문적, 인격적 접촉 활성화

▪ 학생 스스로 하기 때문에 자주적인 연구 능력을 길러 주고 일정한 수준의 지적인 독립을 성취하게 함

대단한 연구성과 기대

졸업논문을 비롯 한 간단한 논문 리포트에서 졸업논문으로

▪ 졸업논문준비 또한 평소에 연습해야 함

↘ 요구되는 지적 수준이나 분량의 수준이 높음

▪ 리포트를 통해 졸업논문을 대비할 수 있음

▪ 일찌감치 졸업논문의 대략적인 주제를 잡고 리포트에서 시도해 보는 것 이 좋음

↘ 주제가 분명해지는 단계에서는 주제를 몇 가지로 나눠 리포트에서 차 례로 시도해 보는 것이 좋음

▪ 리포트와 졸업논문을 연장선상에서 파악하면 둘 다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

실제적 글쓰기의 요령

자기소개서

▪ 학교에 입학하거나 취직 할 때 주로 씀

▪ 모든 것을 다 쓰는 것 보다는 자신의 적성, 장점 포부 등만 적으면 됨

↘ 성장배경이나 가족관계는 필요한 경우에만 서술

▪ 자신의 장점과 강점을 먼저 소개한 뒤 상세하게 서술하는 것이 좋음

↘ 두괄식, 연역식으로 쓰는 것이 적절함

↘ 심사위원의 편의를 위해서 바람직, 자신의 인상을 처음부터 강렬하게 전달

실제적 글쓰기의 요령

제안서나 기획서

공개적인 자리에서의 설명을 위한

프레젠테이션 문서 (제안서)

보고나 제안을 위한 기획서

내용의 구성에서는 차이가 없음

문장으로 푸는 방식이 아닌 구문형, 축약형임 제안서, 기획서 모두 글쓰기의 ‘개요‘ 를 확장한 것

개요를 확장하여 상세히 작성한 문서로 생각하고 작성해야 함

실제적 글쓰기의 요령

글쓰기의 구체적 기술들

(1) 짧고 강한 문장을 써야한다

∙ 짧고 강한 문장은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전달하고 글쓰기도 수월해짐

∙ 읽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앞뒤 관계를 복잡하게 따지지 않게 되어 읽기 수월

∙ 문장이 늘어지면 생각이 정리되지 않거나 자신감이 없다는 인상을 받기 쉬움

(2) 문단 나누기 연습이 필요하다

∙ 문단이 바뀔 때는 행이 바뀜 → 새로운 이야기가 시작된다는 것을 표현

∙ 문단을 잘 나눠야 글을 분명하고 명료하게 끌고 나갈 수 있음

∙ 문단을 나눌 만한 곳에서 나누지 않고 계속 끌고 가면 글의 생동감을 죽이고, 아무데서나 문단을 나누면 호흡이 너무 짧아지고 글이 토막 나게 됨

글쓰기의 구체적 기술들

좋은 글을

쓰려면

(3) 자신의 문체를 만들어야 한다

∙ 문체를 갖는다는 것은 자신을 개성 있게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님

∙ 글쓰기 연습 단계에서 여러 문체를 연습해 보는 것이 좋음.

↘ 하나의 주제를 놓고 담담한 필치로 그려보는 것, 웅변조로 서술, 학술적으로 논구해 보는 것, 냉소적이고 풍자해 보는 것 등의 방식으로 연습할 수 있음

조르주르이 르끌레르(Georges Louis Leclerc Comte de Buffon, 1707~1788, 프랑스 학자)

“문체는 곧 그 사람이다“

좋은 글을

쓰려면

(4) 평소에 주제와 제재를 뽑아두어야 한다

∙ 주제 : 글이 다루고 있는 핵심적인 내용이나 대상을 말함(theme)

∙ 제재 : 주제를 풀어 나가기 위해 사용하는 이야깃거리를 말함

∙ 막연한 주제에서 출발하여 구체적으로 한정된 주제를 설정하고, 그 주제를 다 루기 위한 제재들을 수집하고 정리해 주제문을 작성하는 연습이 권장됨.

글쓰기의 구체적 기술들

좋은 글을

쓰려면

(4) 평소에 주제와 제재를 뽑아두어야 한다 - 주제와 제재와 주제문의 예시

∙ 막연한주제 : 한국 현대사의 과제

∙ 구체적주제 : 일제잔재의 청산과 민족 정통성의 확립

∙ 제 재 : 인적 차원의 일제잔재, 제도적 차원의 일제잔재, 문화적 차원의 일제잔 재, 한일관계의 현대적 의미, 일제잔재 청산의 다각적인 방안

∙ 주제문 : 민족 정통성의 확립과 민족정기의 회복을 위해서는 인적 ∙ 제도적 ∙ 문화적 차원의 일제잔재를 청산하는 다각적인 방안이 강구 되어야 한다.

글쓰기의 구체적 기술들

좋은 글을

쓰려면

(4) 평소에 주제와 제재를 뽑아두어야 한다

- 마음의 준비가 없는 상태에서 어떤 주제가 부과되고 글의 형식이나 분량에 제한을 받으면 글쓰기가 어려움.

- 이런 때를 대비해서 평소에 주제 목록을 작성해봐야 함.

글쓰기의 구체적 기술들

좋은 글을

쓰려면

(5) 개요작성 연습

주제와 제재가 있어도 그것을 배열하는 문제가 있음. 이럴 때는 구체적이고 체 계적인 방식인 ‘개요‘ 를 작성하는 연습이 도움이 됨.

본격적으로 글을 쓰기 전 준비과정으로서 미리 만들어 놓는 글의 윤곽을 개요 혹은 아우트라인(outline)이라고 함.

개요는 글의 설계도 구실을 함. 개요를 미리 짜놔야 글이 짜임새 있는 구성으로 써질지 아닐지 예견하게 해줌.

글쓰기의 구체적 기술들

좋은 글을

쓰려면

글쓰기의 구체적 기술들

표절을 피 하는 방법

표절이란?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말을 자기 것처럼 쓰는 행위

↘ 자신의 예전 글을 이용한 경우도 표절 논란이 됨

▪ 전문적인 글(논문 등)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표절을 저지름

↘ 인터넷으로 ‘자르고 붙이는‘ 행위 또한 표절

▪ 가장 큰 문제는 표절 규정의 불명확성

↘ 비슷한 사례임에도 경우에 따라선 표절의 여부가 달라짐

▪ 표절은 매우 부정직한 글쓰기이며 ‘글을 쓰다 보니 표절이 되었 다‘ 라는 표현이 없도록 처음 부터 주의를 기울여야 함

표절을 피 하는 방법

표절처럼 보이는 것은 무조건 피하는게 가장 좋음

▪ 자료를 보고 메모할 땐 자신의 말로 바꿔 적어야 함

▪ 자료의 일부를 베낄 경우 반드시 따옴표를 붙여야 함

↘ 나중에 그 부분을 옮길 경우 아무리 짧아도 인용 표시를 꼭 해야함

▪ 누군가의 것을 보고 쓴 글이 아니라도 조심해야 함

↘ 표절 방지를 위한 사이트 등을 이용하여 표절 의혹을 피해야 함

언제나 자신의 글을 쓰도록 노력하고, 다른 사람의 견해를 빌린 경우 그 사실을 명기하면 표절 의혹을 피할 수 있음

글쓰기의 구체적 기술들

표절을 피 하는 방법

▪ 인용문을 표시하기가 어려운 경우 → 각주나 미주 사용에 미숙한 경우

▪ 인용 부분 앞에 관용구를 붙이면 됨 1) 직접인용 : “링컨은 이렇게 말했다“

2) 간접인용 : “링컨이 썼듯이“

3) 견해의 차용 : “링컨이 자신의 저서에서 논의하듯이“

적절히 삽입하면 자료를 어떻게 이용했는지 자연스레 보여줄 수 있는 방법

글쓰기의 구체적 기술들

표절을 피 하는 방법

표절 방지 체크리스트

▪ 모든 인용 부분이 명확히 표기되었는가?

▪ 나 자신의 견해가 확연히 구분되어 있는가?

▪ 짜깁기식 인용과 변형 부분을 삭제했는가?

▪ 글을 쓰기 시작할 때 메모를 치웠는가?

▪ 자료에서 직접 인용한 모든 구절에 인용 부호가 제대로 붙어있는가?

글에 이용한 인용 부분이 정확한지 점검했는가?

글쓰기의 구체적 기술들

표절을 피 하는 방법

표절 방지 체크리스트

▪ 인용 부분의 일부를 변형시킬 때 말 줄임표와 대괄호를 넣었는가?

▪ 글 속의 모든 인용 부분이 적절한가?

▪ 모든 인용 부분이 글에 반드시 필요한가?

▪ 글 속에 나만의 논지가 있는가?

▪ 다른 사람에게서 견해를 차용했을 경우 그 점을 분명히 밝혔는가?

▪ 글의 문장 구조가 내 것인가?

글쓰기의 구체적 기술들

참고문헌 및 출처

∙ 김해식, ≪글쓰기 특강≫, 파라북스, 2011.

∙ Ricard Marius, ≪역사글쓰기, 어떻게 할 것인가: 시간을 재구성하는 역사 글쓰기의 모든 것≫, 휴머니스트, 2010.

∙ 김한종 외 5인,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책과 함께, 2005.

∙ 김한종 외 5인, ≪역사교육의 이론≫, 책과 함께, 2009.

∙ 김한종 외 5인,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 함께, 2007.

∙ 문창로, <역사 글쓰기를 통한 사료학습방안>, ≪중등교육연구≫, 53, 2005.

∙ 양치구, <역사교육에서 비판적 읽기 및 글쓰기 학습 모형 개발 –독도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교육 논집≫52, 2014.

∙ 최용성 외 3인, <연구윤리에서의 표절 문제와 표절 예방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시민윤리학회보≫, 22, 2009.

∙ 김미선, <예비 역사교사의 논증적 역사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 방안>, ≪사회과 교육≫51, 2012.

∙ 김미선, <논증적 역사 글쓰기가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의 논술교과 운영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121, 2012.

참고문헌 및 출처

∙ 김은정, <대학생의 역사의식을 바탕으로 한 논증적 글쓰기 연구 – KBS 역사저널 그날 <고종, 아버지 장 례식 불참 사건>의 게시판 글을 중심으로 , ≪대학작문≫, 11, 2015. ≪≫

∙ 유시민, ≪유시민의 논술 특강≫, 생각의 길, 2015.

∙ 장소진, <논증적 글쓰기와 논리적인 문장 쓰기>, ≪교양교육연구≫, 6, 2012.

∙ 오정현, <고등학교 역사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특징과 개선 방안>, ≪역사교육연구≫,4, 2006.

∙ 방지원, <역사과 서술형 평가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역사교육연구≫, 11, 2010.

∙ 김진하, <프랑스 교육에서 논술의 위상에 대한 고찰>, ≪프랑스 어문 교육≫, 26, 2007.

∙ 김우준, <중북 동북공정과 우리의 대응>, ≪백산학보≫80, 2008.

∙ 박수경, <나가사키 하시마(군함도)를 둘러싼 로컬 기억의 생산과 정치≪일본어 문학≫,61, 2013.

∙ 최장근, < 다케시마 잡지』 속의 울릉도와 독도 인식과 영유권 문제> , ≪일본문화연구≫,57, 2016.

문서에서 역사과 논리 및 논술 (페이지 36-5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