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터넷 健康情報 메타데이터

Ⅱ. 인터넷 健康情報 評價의 理論的 背景

4. 인터넷 健康情報 메타데이터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로 정의되며 자원의 속성을 설명하는 데 이터를 의미함. 또한, 자원을 설명하는 요소들의 집합으로 최종 사용자가 데이 터의 위치, 접근방법 및 의미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데이터 정보를 뜻함.

□ 본 연구에서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건강정보를 찾아내는 역 할뿐만 아니라, 평가를 거친 검증된 건강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때에도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보다 쉽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기본 사항을 제시하고자 함.

□ 건강정보 관련 메타데이터를 선정하였으며, 기존 연구 및 사례 분석을 토대 로 ① 건강정보 및 수집과정, ② 갱신일자 명시, ③ 내용의 질 보장과 질 관리 방법, ④ 광고 및 후원에 관한 명시, ⑤ 개인정보 보호, ⑥ 디자인 및 구조, ⑦ 피드백, ⑧ 공지 및 경고, ⑨ 법령준수의 9개로 분류함.

Ⅲ. 인터넷 健康情報 評價 現況

□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건강정보에 대한 질 관리 및 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한 국내외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하여 윤리적이며 질 높은 건강정보 의 제공 및 활용을 촉진하며, 이와 더불어 인터넷 보건의료자원의 질을 향 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지금까지 시행 및 시도되고 있는 인터넷 건강정보의 질 관리 및 평가는 크 게 행동강령(Code of Conduct), 제3자 인증(Third-party Certification or Rating), 도구 프로그램을 이용한 개별평가(Tool-based Evaluation), 모니터링, 평가 및 안내시스템 운영 등 5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음.

□ 행동강령(Code of Conduct)

— ‘행동강령’은 웹사이트의 개발과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권고사항들을 제 공하는 항목들의 모음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항목들은 웹사이트의 제공

스스로가 사정할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가 이러한 항목들이 준수되는 지 여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함.

— 비교적 손쉽게 필요시 갱신할 수 있으며, 조직의 크기에 상관없이 운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결합력이 약하며, 남용되기 쉽고, 강령을 잘못 해석할 위험이 있으며, 강제성이 없고 웹사이트와 개인의 이용을 측정하 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음.

— 예: HONcode, eHealth Code of Ethics, Hi-Ethics, EC Quality Criteria for Health Related Websites, Guidelines of Medical and Health Information Sites on the Internet(Principles Governing AMA Web Sites) 등

— HONcode: 권위성, 상호보완성, 개인의료기밀, 정보출처, 정보정당성, 저 자의 투명성, 후원의 투명성, 광고의 정직성 등 8개 항목으로 구성

— EC Quality Criteria for Health Related Websites: 투명함과 정직성, 권위, 프라이버시, 현재성, 책임성, 후원기관에 대한 명시, 편집원칙, 접근가능 성으로 구성

— eHealth Code of Ethics: 솔직함, 정직함, 질, 동의, 프라이버시, 온라인 치 료에 대한 전문성, 신뢰할 만한 협력관계, 책임감으로 구성

— Hi-Ethics: 프라이버시, 건강관련 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 제3자와의 관 계에서 소비자 프라이버시 보호, 소유 및 재정지원에 대한 공개, 광고와 제3자에 의해 후원 받는 정보내용에 대한 구분, 판촉‧환불‧무료‧할인항 목 및 서비스, 건강정보내용의 질, 저작권 및 책임감, 자가평가도구에 대 한 자료원 및 유형 공개, 전문성, 자격, 상호관계의 투명성‧신뢰성, 제한 점의 공개, 피드백을 위한 기전 등으로 구성

— 미국의학협회(AMA)의 가이드라인(Guidelines of Medical and Health Information Sites on the Internet): 내용, 광고 및 후원, 프라이버시와 기밀 성, 전자상거래에 대한 원칙으로 구성

□ 제3자 인증(Third-party Certification or Rating)

— ‘제3자 인증’은 제3의 기관이 웹사이트에 대해 평가하고 질 관리 기준에

적합하다는 인정을 하며, 로고나 상징물을 부착하여 사이트 제공자가 내용 과 형식에서 표준을 만족시키고 있다는 것을 소비자에게 알려주는 방법

— 명확한 기준이 일관되게 활용되어 객관적일 수 있으며, 윤리적 문화, 감사, 책임의 견지에서 조직 변화를 강제할 수 있고, 이용을 측정하기가 상대적 으로 쉬운 장점이 있음. 정보제공자의 비용지출이 크고, 비용 또는 조직의 변화요구 때문에 일부 정보제공자는 제외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음.

— 예: 외국(MedCERTAIN, URAC, OMNI, HII 등), 국내(헬스로드, 대한전공 의협의회 의사인 제도, 대한의학회 웹사이트 인증사업 등)

— MedCERTAIN: 평가항목은 크게 ‘정보제공자’와 ‘사이트 명세’로 나뉘고,

‘정보제공자’는 신분확인, 피드백, 운영 등의 항목을 포함하며, ‘사이트 명세’는 사이트 확인, 컨텐츠, 공개, 정책, 서비스, 접근성, 질 등의 항목 을 포함함.

— OMNI: 평가항목은 크게 ‘상황’(context), ‘내용’(content), ‘형식’(format)으 로 나누어지고, ‘상황’에는 영역명시, 대상명시, 저자의 권위와 명성, 다 른 사이트의 자료와 비교해서 내용, 범위, 형식에 있어 독특한 면이 있 는지 여부 등이 포함되며, ‘내용’에는 범위, 정확성, 최신성 등이, ‘형식’

에는 접근성, 디자인과 레이아웃, 사용의 용이성 등이 포함됨.

— HII(Health Improvement Institute): HII의 프로그램 중 “Aesculapius Awards”는 일반대중들에게 건강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그 성과가 탁월했 다고 여겨지는 건강관련 라디오, 텔레비전 채널의 공익광고(PSAs: public service announcements)와 건강관련 인터넷사이트의 제작자에게 주어지는 시상임. 인터넷 사이트에 해당되는 평가항목은 목적/계획, 내용과 신뢰 성, 상호작용성/사용자친밀성, 가시적 설계/혁신, 평가 등으로 구성됨.

— 헬스로드(Healthroad): 평가항목은 웹페이지의 내용과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것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내용의 신뢰성, 내용의 충실성, 내용 의 용이성, 내용의 공익성, 구성의 성실성, 디자인, 환경 등으로 구성됨.

— 대한전공의협의회 ‘의사인’: 평가기준은 HON code에 기초를 두며, 평가항

목은 정보의 내용이 교과서적인지, 정보제공자가 의료인인지 여부, 정보의 출처 제시가능 여부, 정보제공자 공개 유무, 개인의 진료정보 보호 유무, 의학정보 제공이 직접적으로 광고와 관련되는지 여부 등 6가지 항목임.

— HON Site: Seal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건강정보 제공 사이트에 대해 인증을 함.

□ 도구프로그램을 이용한 개별평가(Tool-based Evaluation)

— 도구 프로그램을 이용한 개별평가는 사용자의 특별한 요구에 맞는 구체 적이며, 상세한 일련의 질문으로 구성된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

— 제공자는 비용이 전혀 들지 않고, 도구 개발자는 초기 도구개발에만 적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장점이 있음. 웹사이트와 개인의 사용 및 효과성을 측 정하기가 어려우며, 도구개발과정에서만 전문가가 참여하고, 도구의 사용 과 정보의 평가는 개인에게 전담하기 때문에 도구의 최신성을 유지하기 가 어려운 단점이 있음.

— 예: Health Summit Working Group(HSWG), DISCERN 등

— HSWG: 평가항목은 신뢰성, 내용, 공개, 링크, 디자인, 상호작용성, 경고 등 7가지로 구성. ‘신뢰성’에는 출처, 최신성, 적절성/유용성, 편집검토과 정 명시 등이 포함되며, ‘내용’에는 정확성, 완전성, 거부 등이, ‘공개’에 는 목적, 정보의 수집과정이, ‘링크’에는 링크 선택의 적절함, 구성, 내 용, 역링크, ‘디자인’에는 접근의 용이성, 논리적 구성, 내부검색능력, ‘상 호작용성’에는 피드백, 커뮤니티 등으로 구성됨.

— DISCERN: 평가항목은 크게 출판물의 신뢰도, 치료방법에 대한 정보의 질, 전반적인 평가로 나누어지며, ‘출판물의 신뢰도’에는 목적, 내용의 적절성, 정보원, 정보생성일,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 불확실성 에 대한 언급 등이, ‘치료방법에 대한 정보의 질’에는 치료방법에 대한 효과, 이득, 위험에 대한 설명, 치료하지 않았을 때의 결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의사결정에 대한 공유 등을 포함함.

□ 모니터링

— 기존의 방송매체와 인쇄매체에 대해 이루어져 온 건강정보에 대한 모니

터링을 새로운 매체로 등장한 인터넷에서 실시함.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문제가 되는 사이트에 대한 경고 및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형태

□ 평가 및 안내시스템 운영

— 국가가 인터넷 건강정보 포탈사이트를 구축하여 운영

— 공공보건의료기관 또는 협력기관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건강정보를 평가 기준 및 평가위원회가 평가하여 건강정보를 연결하고 안내함.

— 영국의 NHS Direct Online, 스위스의 HON(Health On the Net), 호주의 HealthInsite, 캐나다의 CHN(Canadian Health Network) 등이 있음.

Ⅳ. 인터넷 健康情報 評價시스템 開發

1. 開發背景

□ 1990년대 중반 이후 인터넷 이용의 활성화와 더불어 인터넷에서 건강관련 정 보의 제공과 활용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으나, 제공되는 건강정보와 서비스의 질에 있어서 문제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한 피해를 입는 사례 도 발생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이 갖는 자율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건강정보를 검색, 수집, 분류 및 평가하여 양질의 건강정보를 효율적으 로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개발하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정확하고 신뢰할만한 건강정보의 제공을 유도하고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

2. 開發方向 및 內容

□ 건강정보평가시스템은 크게 인터넷 건강정보의 검색‧수집‧분류‧평가‧관리 등의 기능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인트라넷 시스템’, 이를 기반으로 건강정보

이용자들에게 건강정보관련 검색서비스 및 부가서비스(건강관련 뉴스 및 강 좌 확인 등), 그릇된 건강정보의 신고 및 포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시스템’, ‘인터넷 건강정보 제공사이트들의 등록 및 평가관련 웹사이 트 시스템’ 등 3 부분으로 구성됨.

3. 健康情報 評價시스템 開發過程

□ 본 건강정보 평가시스템의 개발은 총괄기획팀, 관리‧운영팀, 개발팀을 조직 하여 업무를 추진함.

□ 인터넷 건강정보 평가시스템의 개발은 기초연구에 근거하여 진행되었으며,

□ 인터넷 건강정보 평가시스템의 개발은 기초연구에 근거하여 진행되었으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