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타당도 및 신뢰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0-43)

본 연구는 잠재적인 차원을 추출하고자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 로 Bartlett의 단위행렬 검정 및 KMO의 표본적합도 MSA 검증과 주성분분석을 사

영역 구성요소 세부내용 문항

자 기 효 능 감

자신감 수업시간에 내용이해 및 행동에 있어 자신이 있음 5 자기조절

효능감

학생이 수업시간내의 과제 및 활동에 있어 자기조

절을 잘 할 수 있음 5

과제난이도 학생이 통제하고 다룰 수 있다고 생각하는 도전적

인 과제를 선택함 5

노력정도 학생이 수업 및 학습에 있어 관심과 노력을 함 5 표 8. 자기효능감 설문지 구성내용

영역 세부내용 문항

학 습 성 과

목표달성 향상, 지식향상, 업무주도적, 업무 동기부여, 신뢰향

상, 업무효율 향상, 업무우월 향상 9

표 9. 학습성과 설문지 구성내용

용하였으며 요인회전방법은 직교회전 방식인 베리맥스 방법을 사용하였다. 요인의 추출은 고유값이 1.0 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요인적재값은 .4이상으로 추 출된 요인에 포함시켰다. 연구 단위별로 분석한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표 10>, <표 11>, <표 12>와 같다.

<표 10>과 같이 서비스품질은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총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 요인들은 전체 변량의 83.230%를 설명하고 있으며, KMO

1 2 3 4 5

서비스품질18 .800 .230 .258 .209 .277

서비스품질19 .799 .267 .243 .274 .246

서비스품질20 .782 .224 .278 .331 .221

서비스품질16 .729 .269 .279 .330 .290

서비스품질17 .685 .309 .370 .298 .301

서비스품질4 .184 .832 .203 .256 .188

서비스품질5 .236 .770 .313 .215 .161

서비스품질2 .275 .686 .256 .195 .309

서비스품질3 .268 .661 .201 .333 .281

서비스품질1 .241 .660 .263 .228 .389

서비스품질12 .243 .293 .744 .311 .248

서비스품질14 .348 .292 .729 .315 .199

서비스품질15 .368 .309 .709 .304 .223

서비스품질13 .325 .341 .607 .302 .333

서비스품질11 .313 .289 .600 .359 .345

서비스품질25 .279 .301 .347 .728 .214

서비스품질21 .328 .317 .327 .692 .221

서비스품질24 .380 .293 .304 .679 .294

서비스품질23 .371 .284 .336 .678 .259

서비스품질22 .347 .368 .313 .602 .325

서비스품질8 .306 .324 .247 .186 .747

서비스품질9 .388 .316 .213 .318 .632

서비스품질10 .321 .364 .307 .342 .588

서비스품질7 .324 .316 .370 .341 .558

서비스품질6 .370 .379 .351 .279 .539

고유치 4.881 4.511 4.040 3.987 3.388

%분산 19.525 18.043 16.162 15.948 13.552

%누적 19.525 37.569 53.730 69.678 83.230

cronbach’s α .966 .927 .949 .955 .932

Bartlett의 단위행렬 X2=10386.422, df= 300, p=.000 Kaiser Meyer-Olkin의 MSA= .972

표 10. 서비스품질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는 .972로 기준치인 .70 보다 높았고 Bartlett의 구형성 검증(χ²= 10386.422, df=

300, Sig= .000)도 양호하여 분석 시행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자기효능감은 <표 11>과 같이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노력정도 총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 요인들은 전체 변량의 81.339%를 설명하고 있으며, KMO는 .954로 기준치인 .70 보다 높았고 Bartlett의 구형성 검증(χ²= 7117.715, df= 190, Sig= .000)도 양호하여 분석 시행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학습성과는 <표 12>와 같이 단일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이 요인들은 전체 변량 의 74.936%를 설명하고 있으며, KMO는 .951로 기준치인 .70 보다 높았고

1 2 3 4

자기효능감12 .852 .277 .205 .176

자기효능감15 .823 .135 .258 .157

자기효능감11 .802 .240 .204 .170

자기효능감13 .746 .249 .265 .318

자기효능감14 .728 .237 .345 .318

자기효능감1 .138 .813 .237 .297

자기효능감4 .244 .794 .163 .171

자기효능감5 .225 .778 .207 .340

자기효능감3 .280 .774 .274 .265

자기효능감2 .299 .737 .255 .359

자기효능감18 .270 .216 .810 .270

자기효능감17 .209 .250 .797 .306

자기효능감16 .211 .202 .788 .379

자기효능감20 .285 .213 .773 .178

자기효능감19 .382 .267 .727 .228

자기효능감10 .164 .273 .357 .774

자기효능감6 .274 .364 .263 .760

자기효능감9 .334 .327 .307 .722

자기효능감8 .220 .358 .324 .701

자기효능감7 .356 .372 .297 .690

고유치 4.205 4.156 4.128 3.778

%분산 21.027 20.782 20.639 18.891

%누적 21.027 41.809 62.448 81.339

cronbach’s α .936 .954 .935 .940

Bartlett의 단위행렬 =7117.715, df= 190, p=.000 Kaiser Meyer-Olkin의 MSA= .954 표 11. 자기효능감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Bartlett의 구형성 검증(χ²= 2956.665, df= 36, Sig= .000)도 양호하여 분석 시행 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0-4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