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코팅여재의 역세척 실험

4.3 역세척실험

4.3.2 코팅여재의 역세척 실험

일반여재의 여과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여재에 대한 역세척 실험을 실시하였으 며 보통농도, 고농도 1차, 2차의 농도별 여과실험 직후 실시하였다. 역세척시 사용되는 유입수는 침전지 유출수를 사용하며 침전지에서의 효율은 침전지 유입농도 대비 침전 지 유출수의 농도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실험결과는 다음 표와 같으며 보통농도 유 입의 경우는 역세척 시작 4분 후 누적 SS 제거율 90% 이상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역 세척 유출수는 최초 농도가 약 20,000mg/L의 매우 고농도임에도 침전지 유출수 농도 는 15mg/L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역세시간 (min)

역세유출수 SS (mg/L)

침전지유출수 SS (mg/L)

누적 SS제거량 (g)

누적 SS제거율 (%)

0.25 20,257 17 -

-1 9,848 10 321 54

2 2,825 4 456 76

3 1,973 39 507 85

4 940 11 538 90

5 557 9 554 93

6 363 6 563 94

7 283 6 570 95

8 235 9 576 96

10 160 5 584 98

12 160 18 591 99

14 132 15 597 100

표 4.11 코팅여재의 보통농도 여과실험 후 역세척 실험결과

그림 4.12 보통농도 실험의 역세척 유출수 SS 변화와 누적 SS 제거율

고농도 1차 실험과 2차 실험 이후 각각 실시한 역세척 실험에서도 역세척 효율을 확 인할 수 있었다. 고농도의 경우 각각 역세척 시작 3분과 6분 후에 누적 SS 제거율이 90% 이상으로 나타났는데 고농도 1차 실험 이후 실시한 경우 유출수 최초 SS 농도 29,300mg/L에서 14분 후 83mg/L로 고농도 2차 실험 이후 실시한 역세척의 경우 38,250mg/L에서 188mg/L로 농도가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침전지 유출수도 각각 30mg/L와 4mg/L로 낮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역세시간 (min)

역세유출수 SS (mg/L)

침전지유출수 SS (mg/L)

누적 SS제거량 (g)

누적 SS제거율 (%)

0.25 29,300 9 -

-1 12,400 1 444 60

2 3,800 8 617 84

3 1,570 4 674 92

4 680 11 698 95

5 390 7 709 97

6 230 6 716 97

7 127 1 720 98

8 137 13 722 98

10 79 6 727 99

12 102 8 731 99

14 83 30 735 100

표 4.12 코팅여재의 고농도 1차 여과실험 후 역세척 실험결과

그림 4.13 고농도 1차 실험의 역세척 유출수 SS 변화와 누적 SS 제거율

역세시간 (min)

역세유출수 SS (mg/L)

침전지유출수 SS (mg/L)

누적 SS제거량 (g)

누적 SS제거율 (%)

0.25 38,250 8 -

-1 17,300 17 1,183 44

2 9,280 10 1,749 65

3 5,270 3 2,059 77

4 3,220 5 2,240 84

5 1,940 5 2,350 88

6 1,770 3 2,429 91

7 1,330 4 2,495 93

8 1,026 5 2,545 95

10 674 2 2,618 98

12 208 4 2,655 99

14 188 4 2,672 100

표 4.13 코팅여재의 고농도 2차 여과실험 후 역세척 실험결과

제 5 장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저감시설 중 여과형 시설에 사용할 ABS 재질의 여재에 대 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일처리용량 약 14m3의 여과장치에서 ABS 재질의 일반여재와 일반여재에 연마사로 코팅된 코팅여재에 대해 SS 제거실험을 실시한 결과, 일반여재는 유입수 평균 SS 농도 257∼390mg/L에 대해 330분간의 여과동안 69.7∼91.7%의 SS 제거율을 보였 다. 코팅여재는 유입수 평균 SS 농도 397∼2,680mg/L에 대해 570분간의 여과동안 87.1∼98.1%의 SS 제거율을 보였으며 일반여재와 코팅여재 모두 매뉴얼 기준인 80% 이상의 제거율을 만족하였다.

2. 여과실험 이후 공기주입과 함께 역세수량 약 45m3/m2/hr으로 역세척을 실시한 결 과, 역세척 시작 4분 만에 SS 제거율이 84∼96%, 10분 이후로는 98∼100%로 나타 났다. 이를 통해 여재 내 포획된 고형물에 대한 역세척 효율을 확인하였으며 역세척 이후에도 여재의 손상 및 교란 없이 처리효율과 손실수두가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 다.

3. 여과장치 내 유입수와 유출수의 입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기가 63μm 이하인 입자 가 유입수는 전체의 93%, 유출수는 79%인 것으로 보아 ABS 여재의 여과작용이 SS 제거뿐만 아니라 오염물질 내 미세입자의 제거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 무부하 손실수두는 장치의 설계기준인 20m/hr 보다 높은 60m/hr에서도 20cm을 넘 지 않았으며 오염물질 여과실험 동안에도 여재의 폐색으로 인한 손실수두의 증가는 일어나지 않았다.

참 고 문 헌

1. 김포시경제환경국(2015), 비점오염저감시설설치 타당성조사 및 관리계획수립 2. 관계부처합동(2004), 물관리 종합대책 추진강화를 위한 4대강 비점오염원 종합대책 3. 국립환경과학원(2011), 비점오염원관리지역 지정제도

4. 국립환경과학원(2013), 비점오염저감시설 설계 강우 및 설계 유량 산정방법 연구 5. 국립환경과학원(2017),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비점오염원 최적관리지침 6. 국립환경과학원(2019), 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

7. 국토교통부(2015), 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8. 김성순(2016), 화산석 여재를 적용한 상향류식 여과장치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9. 김형준(2005), 도시지역 비점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초기우수 처리시설의 여재특성,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10. 김치곤(2018), 현장 성능시험을 통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 밭대학교

11. 김희진(2018),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역세검증 및 적용문제점 분석, 박사학위 논문, 상명대학교

12. 박승도(2018),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비점오염처리 여과재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국 교통대학교

13. 송광철(2014), LID 기법을 적용한 침투여과 시스템의 오염물질 저감효율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14. 송교신(2005), 도시지역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적정여재의 효율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15. 송현근(2009), 포장지역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및 저감기술 평가,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16. 윤상린, 이용재, 안재환, 최원석, 이정우, 오혜철, 김석구(2017), 장치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여과 및 역세 효율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39권, 12호, pp. 664-671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41권, 6호, pp. 337-345

19. 이효원(2016), 교량·인도교용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실험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밭대학교

20. 임찬수, 김도군, 고석오(2012), 강우유출수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하향류식 입상여과 효율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34권, 10호, pp. 684-693

21. 정현식(2018), 비점오염원 처리를 위한 3중층 ABS 여재의 여과 성능 실험 연구,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22. 채진병(2013), 여재별 상향류 여과방식의 효율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서대 학교

23. 최원기(2019), 비점오염 저감시설 중 여과형 장치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계명대학교

24. 최원석, 송창수, 김석구(2008), 도로노면 유출수 처리를 위한 여과에서의 여재별 손 실수두 특성, 상하수도학회지, 22권, 6호, pp. 697-704

25. 최지연(2010), 자연적 물순환 시스템을 가진 침투여과형 비점오염저감기술 개발, 석 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26. 최지용, 신창민(2002), 비점오염원 유출저감을 위한 우수유출수 관리방안 27. 최지용(2008), 부처별 비점오염원 관리사업의 효율적 추진 방안

28. 하신영, 김인수(2018),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상향류식 소규모 비점오염시설의 여과 및 역세척 특성 연구, 한국환경기술학회지, 19권, 3호, pp. 243-248

29. 환경부(2003), 비점오염원 관리대책

30. 환경부(2013), 환경영향평가시 저영향개발(LID)기법 적용 매뉴얼 31. 환경부(2016),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 및 관리·운영 매뉴얼 32. 환경부(2020), 비점오염저감 국고보조사업 추진지침

33. Charbeneau, Randall. J. and Barrett, Michael. E.(1998), Evaluation of Methods for Estimating Stormwater Pollutant Loads, Water Environment Research, Vol.

70, Issue 7, 1295-1302

34. Deletic, Ana. B. and Maksimovic, C. T.(1998), Evaluation of Water Quality Factors in Storm Runoff from Paved Area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4, Issue. 9, pp. 869-879

35. Hatt, Belinda. E., Fletcher, Tim. D. and Deletic, Ana.(2007), Treatment Performance of Gravel Filter Media : Implications for Design and Application of

Stormwater Infiltration Systems, Water Research, Vol. 41, Issue. 12, pp.

2513-2524

36. Ives, Kenneth. J.(1964), Progress in Filtration, Journal of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Vol. 56, Issue. 9, pp. 1225-1232

37. Kulich, D. M., Gaggar, S. K., Lowry, V. and Stepien, R.(2001), Acrylonitrile-Butadien-Styene Polymers,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38. Siriwardene, N. R., Deletic, A. and Fletcher, T. D.(2007), Clogging of Stormwater Gravel Infiltration Systems and Filters : Insights from a Laboratory Study, Water Research, Vol. 41, Issue. 7, pp. 1433-1440

39. Tomihisa iwasaki, Slade, J. J. and Stanley, Wm. E.(1937), Some Notes on Sand Filtration(wth discussion), Journal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Vol. 29, No. 10, pp. 1591-1602

40. Whipple, William. Jr. and Hunter, Joseph. V.(1981), Settleability of Urban Runoff Pollution, Journal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Vol. 53, No. 12, pp.

1726-1731

41. Leszczynska, Danuta.(1997), Delaware Sand Filter as an Option for Stormwater Runoff, Georgia Water Resources Conference, pp. 322-324

42. Li, Y., Lau, S. L., Kayhanian, M. and Stenstrom, M. K.(2006), First Flush and Natural Aggregation of Particles in Highway Runoff, Water Science &

Technology, Vol. 54, Issue 11-12, pp. 21-27

43. Maiti, S. N., Saroop, U. K. and Ashok Misra.(1992), Studies on Polyblends of Poly(vinyl chloride) an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Terpolymer, Journal of Polymer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1, Issue. 1, pp. 27-35

44. Rodgers, M., Mulqueen, J. and Healy, M. G.(2004), Surface Clogging in an Intermittent Stratified Sand Filter,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nal, Vol.

68, Issue. 6, pp. 1827-183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