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3 비점오염 관리시설

2.3.2 장치형 시설

(a) 식생형 시설의 기본구조 (b) 경기도 용인시 해곡동 식생여과대 그림 2.5 식생형 시설의 기본구조 및 시공사례(환경부, 2016)

여과형 시설은 강우특성에 따라 유입수의 특성이 크게 변화되는데 특히 초기강우 (first flush)시의 강우유출수는 유량이 집중되고 발생하는 오염물질 중 부유물질의 증 가로 인한 시설 내 오염부하량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Li et al., 2006).

(a) Stormfilter의 기본구조 (b) 용인시 여과형 시설 Stormfilter 그림 2.6 여과형 시설의 기본구조 및 시공사례(환경부, 2016)

2) 와류형 시설

와류형 시설은 우수관으로부터 유입된 초기우수를 원형 와류조내 중앙회전로의 움직 임으로 와류를 형성시켜 원심력을 이용한 입자상물질의 분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저감 하는 시설을 말한다. 유입된 우수안의 기름과 그리스(grease)등 부유성 물질은 상부로 분리되고, 침전가능한 토사, 협잡물 같은 입자상물질은 하부로 침전시킴으로 분리 및 처리하며 효과적인 분리를 위해 체류시간을 고려해 설계된다. 주로 조대입자물질의 제 거에 유효하므로 전처리 시설에 적용된다.

(a) 와류형 장치의 개념도

(b) 경기도 광주 도로변 와류형 시설 그림 2.7 와류형 시설의 개념도 및 시공사례(환경부, 2016)

3) 스크린형 시설

망의 여과 및 분리작용을 통해 비교적 크기가 큰 부유물과 쓰레기 등을 제거하는 시 설로 전처리에 주로 사용하는 시설을 말한다. 종류로는 고정스크린, 드럼스크린, 회전 스크린 및 microstrainers, CDS(Continuous Deflective Separatioin) 등이 있으며 이중 으로 된 microstrainers는 진흙과 같은 아주 작은 입자제거에 효과적이다. 제거방법은 일반적으로 다른 공정들의 부유성 폐기물을 제거하는 일차처리에 사용되며 크기에 따 라서는 부유 고형물 및 약간의 BOD도 제거할 수 있다. 시설 내 발생하는 슬러지와 협 잡물 등에 의해 막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세정하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 다.

4) 응집·침전 처리형 시설

응집제를 사용하여 고형물을 응집한 후, 침강시설에서 오염물질을 침전 및 분리시키 는 시설로 약품투입부, 교반부, 응집부와 침전·부상분리 등의 공정으로 구성되어있다.

대표적인 시설로는 swirl concentrators, vertex solids separators, stormceptor, water quality inlets 등이 있으며 단기간에 발생하는 유량을 차집하기 위해 저감시설 전단에 저류조 설치를 필요로 한다. 발생하는 슬러지는 1년간의 운영자료과 현장조건을 고려 해 제거주기를 세운 후 유지관리주기를 결정해 처리하며 유입수의 농도 변화에 따른 적정응집제의 양을 쟈 테스트(Jar-test)를 통해 파악하여 최적의 운영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쟈 테스트는 처리될 배수에 안정된 플록(floc)을 형성하기 위해 가장 적당한 응 집제의 종류, 첨가량, 첨가조건 등을 교반을 통해 테스트하는 응집시험이며 이와같은 화학적 방법을 이용해 처리하기에 인(phosphorus)과 같은 유기물질을 비롯한 중금속의 제거효율이 비교적 높을 수 있다.

(a) 응집·침전형 시설의 모식도 (b) 고속응집 침전설비 그림 2.9 응집·침전형 시설의 모식도 및 시공사례(환경부, 2016)

5)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은 전처리 시설에서 토사와 협잡물 등을 제거한 후 미생물에 의해 콜로이드(colloid)성, 용존성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시설을 말하며 오염물질 제거에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유기물질 처리에 효과적이다.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미생물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독성물질의 처리와 비강 우시에도 미생물이 활성화 될 수 있는 유지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