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리더의 코칭행동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 리더의 코칭행동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가. 리더의 코칭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리더의 코칭행동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 직무만족 을 종속변수로, 코칭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Ⅳ -3>과 같다.

<표 Ⅳ-3> 리더의 코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p<.001

<표 Ⅳ-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리더의 코칭행동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 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독립변인인 리더의 코칭행동이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결 정계수는 R²=.288(p<.001)로, 이는 약 28.8%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한 회 귀모형의 적합성은 F=33.874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들 간의 관계를 의미하는 다중공선성 통계량 VIF가 10보다 작으므로 문제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회귀모형에 대한 회귀방정식은 다 음과 같다.

Y'(직무만족) = 0.604 × 코칭행동 변인 + 1.146

독립변인

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 통계량

B 표준오차 β 공차한계 VIF

(Constand) 2.222 .390 25.697*** .000

직무몰입 .400 .103 .449 23.863*** .000 1.000 1.000 R²=.202, Adjusted R²=.188, R²변화량=.202, F(p)=34.925(.000)

나. 리더의 코칭행동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리더의 코칭행동이 직무몰입에 어떠한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직무몰입을 종 속변수로, 코칭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Ⅳ-4>

과 같다.

<표 Ⅳ-4> 리더의 코칭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p<.001

<표 Ⅳ-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리더의 코칭행동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독립변인인 리더의 코칭행동이 직무몰입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계수는 R²=.202(p<.001)로, 이는 약 20.2%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한 회귀모형의 적합성은 F=34.925 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들 간의 관계를 의미하는 다중공선성 통계량 VIF가 10보다 작으므로 문제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회귀모형에 대한 회귀방정식은 다 음과 같다.

Y'(직무몰입) = 0.400 × 코칭행동 변인 + 2.222

독립변인

(Constand) 1.705 .425 34.014*** .000

방향제시 .438 .108 .466 34.041*** .000 1.000 1.000

R²=.217, Adjusted R²=.203, F(p)=616.328(.000)

2단계

(Constand) 1.421 .454 33.132** .000

방향제시 .270 .148 .287 11.823 .000 .520 1.921

개발 .249 .152 .258 7.507*** .00 .520 1.921

R²=.251, Adjusted R²=.226, F(p)=309.735(.000)

3단계

(Constand) 1.321 .454 20.914*** .000

방향제시 .207 .152 .220 17.360*** .000 .482 2.077 (stepwise)방식의 중다회귀분석(Mult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표 Ⅳ -5>와 같다.

R²=.217(p<.001)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 21.7%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도 독립변수들 간의 관계를 의미하는 다중공선성 통계량 VIF가 10보다 작 으므로 문제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회귀모형에 대한 회귀방정식은 다음 과 같다.

Y'(직무만족) = 0.438 × 방향제시 + 1.705

2단계에서 방향제시변인에 개발 변인을 추가로 투입했을 때의 설명력(R²=.251)은 25.1%로 나타났으며, 방향제시 변인 투입 전보다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 3.4% 정도 더 설명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회귀모형의 적합성은 F=309.735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도 독립변수들 간의 관계를 의미하는 다중공선성 통계량 VIF가 10보다 작으므로 문제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 에 대한 회귀모형에 대한 회귀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Y'(직무만족) = 0.270 × 방향제시 + 0.249 × 개발 + 1.421

3단계에서 방향제시 변인과 개발 변인에 평가 변인을 추가로 투입했을 때의 설명 력(R²=.280)은 28.0%로 나타났으며, 이 변인의 투입전보다 약 2.9% 정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회귀모형의 적합성은 F=317.389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 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도 독립변수들 간의 관계를 의미하는 다중공선성 통계량 VIF 가 10보다 작으므로 문제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회귀모형에 대한 회귀방 정식은 다음과 같다.

Y'(직무만족) = 0.207 × 방향제시 + 0.178 × 개발 + 0.175 × 평가 + 1.321

이와 같이 코칭의 하위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 리더의 코칭의 3개 하위 변인은 직무만족에 대해 p<.001 수준에서 총 28.0%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변인들은 방향제시 21.7%, 개발 3.4%, 평가 2.9%의 설명력 을 가지고 있다. 즉 리더의 코칭변인 하위요인 중에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방향제시, 개발, 평가 순서임을 확인하였다.

독립변인

(Constand) 2.470 .342 37.217*** .000

방향제시 .321 .087 .432 33.682*** .000 1.000 1.000

R²=.187, Adjusted R²=.173, F(p)=613.556(.000)

2단계

(Constand) 2.306 .370 36.240** .000

방향제시 .224 .121 .302 11.859 .000 .620 1.421

개발 .144 .124 .189 6.162*** .000 .620 1.421

R²=.205, Adjusted R²=.178, F(p)=311.351(.000)

3단계

(Constand) 2.235 .401 25.580*** .000

방향제시 .181 .128 .243 11.412*** .000 .482 2.157 (stepwise)방식의 중다회귀분석(Mult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표 Ⅳ -6>와 같다.

R²=.187(p<.001)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 18.7%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도 독립변수들 간의 관계를 의미하는 다중공선성 통계량 VIF가 10보다 작 으므로 문제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회귀모형에 대한 회귀방정식은 다음 과 같다.

Y'(직무몰입) = 0.321 × 방향제시 + 2.470

2단계에서 방향제시 변인에 개발 변인을 추가로 투입했을 때의 설명력(R²=.205) 은 20.5%로 나타났으며, 방향제시 변인 투입 전보다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 1.8% 정도 더 설명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회귀모형의 적합성 은 F=311.351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도 독립변수들 간의 관계 를 의미하는 다중공선성 통계량 VIF가 10보다 작으므로 문제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회귀모형에 대한 회귀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Y'(직무몰입) = 0.2224 × 방향제시 + 0.144 × 개발 + 2.306

3단계에서 방향제시 변인과 개발 변인에 관계 변인을 추가로 투입했을 때의 설명 력(R²=.227)은 22.7%로 나타났으며, 이 변인의 투입전보다 약 2.2% 정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회귀모형의 적합성은 F=309.380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 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도 독립변수들 간의 관계를 의미하는 다중공선성 통계량 VIF 가 10보다 작으므로 문제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회귀모형에 대한 회귀방 정식은 다음과 같다.

Y'(직무몰입) = 0.181 × 방향제시 + 0.178 × 개발 + 0.202 × 관계 + 2.235

이와 같이 코칭의 하위요인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 리더의 코칭의 3개 하위 변인은 직무몰입에 대해 p<.001 수준에서 총 22.7%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변인들은 방향제시 18.7%, 개발 1.8%, 관계 2.2%의 설명력 을 가지고 있다. 즉 리더의 코칭변인 하위요인 중에서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방향제시, 개발, 관계 순서임을 확인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