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시공원은 도시 자연경관을 형성하고 도시민의 건강과 휴식공간을 제공한 다. 뿐만 아니라 도시민의 정서생활 향상을 도모하는 도시계획 시설이다. 또 한, 도시공원의 녹지가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는 자연재해, 미기후, 대기오염 을 저감시키고 기후환경 등 도시환경 조절기능, 동·식물의 서식처 제공, 생물 다양성 유지 등의 생태환경 보전 기능이 있다.

이러한 도시 내에서 시민의 삶의 질과 연결되어있는, 도시공원의 수준을 판 단하는 지표로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을 대표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양적 확대 에만 집중하여 이루어지고 있어, 질적 발전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실정이다.

공원녹지와 관련하여 기후변화, 인구감소, 저성장 등 대외적인 사회변화와 도 시공원 일몰제, 국토 및 도시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로 공원녹지 정책도 양적 확보에서 질적 관리가 필요해지고 있으며, 수요자 중심의 시각 전환이 필요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도시인구 수요에 맞게 양적으로 공급되고 있는지 추정하기 위 해서 양적 공급적정성을 분석하고, 조성된 공원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 였다. 평가를 바탕으로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도 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을 분석함으로써 공원 정책 및 계획에 시사점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지표로 삼고 있는 1인 당 공원면적은 경계지역에 있는 공원의 서비스를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 다. 공원이 행정동 경계로 인해 행정구역이 다른 인접한 도시민들이 서비스 혜택에서 배제되는 결과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공원이 실제로 미치는 서비 스공급량은 공원의 크기와 거리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 에서는 공급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도시지역의 인구수를 기준으로 공원의 크기와 거리에 따라 공원의 서비스공급량을 계산한 후 공급서비스 평가지수로 산정하였다. 1인당 공원면적으로 계산하였을 때, 미달이었던 도두동인 경우 공 급서비스 평가지수로 산정하였을 때는 충족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인구수에

비해 공급서비스 혜택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1인당 공원면적이 충족이었던 노형동과 아라동인 경우는 최근 택지개발로 공원 조성면적은 넓으나, 특정지 역에 주거지가 밀집되어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공급서비스 부족현상이 발생되 었다. 서귀포시 대륜동, 대천동, 서홍동인 경우에도 1인당 공원면적이 충족됨 에도 불구하고, 공급서비스 평가지수로 산정하면 부족지역으로 평가되었으며, 1인당 공원면적이 없는 오라동, 이호동, 용담2동이 주변 공원으로부터 공급서 비스 혜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공원의 질적수준은 근린공원인 경우 레크리에이션시설과 편의시설 부분 에서 낮게 평가되었다. 이는 공원의 기능 중 스포츠 활동과 휴식을 위한 공간 의 부족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시설보강과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어린이공원인 경우 접근로, 레크리에이션시설과 편의시설, 자연경관에서 낮게 평가되었다. 어린이공원인 경우 접근을 위한 안전시설의 부족으로 판단되며, 어린이공원 조성면적의 제한으로 시설과 자연경관을 위한 공간이 충분하게 확 보되지 못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공원의 양적공급서비스 수준과 질적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도시택지개 발로 공원의 부지가 확보되고 최근에 공원이 조성된 지역을 중심으로 높은 수 준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새로운 주거공간은 인구 유입을 가져오는데, 이는 거주자가 주변 공원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공원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많을수록 공원의 관리는 잘되고 있는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에 조성된 공원일수록 다양한 시설을 설치함으로써 질 적 수준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 공원의 양적서비스 평가방법은 도시지역을 격자로 나누어 인구 와 면적으로 계산함으로써 경계로 인한 실질적 공급혜택을 분석하였다. 제주 특별차지도 도시지역인 행정동에 조성된 도시공원 전체에 대한 공원녹지의 양 적 수준뿐만 아니라 공급수혜 서비스 수준, 질적서비스 수준을 평가함으로써 공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받는 서비스 수준을 평가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는 향후 공원녹지 정책 수립 시 공원의 확충 지역을 검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질적 향상에 대한 인식 확산 및 공감대를 형성하여 효율적인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Reference

Chiesura, A. (2004) The role of urban parks for the sustainable c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 129-138

Gidlow, C. J., N. J. Ellis and S. Bostock (2012) Development of the neighbourhood green space tool (NGS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6: 347-358

Huff, D. L. (1963) A probabilistic analysis of shopping center trade area.

Land Economics 39: 81-90

Jung, M. and T. Jung (2020) Qualitative equity of neighborhood parks in Daegu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8 (2): 45-55

Kim, E., D. Kim, J. Kim and J. Kang (2016) Assessment of urban park service provision using Huff model: Focused on Mapo-gu, Seoul Metropolitan City. Land Research 90: 71-83

Kim, J., S. Jung and W. Lee (2011)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of the urban park by imbalanc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 (4): 18-27

Kim, Y. (2015) Assessment and equity analysis of neighborhood park service quality in metropolitan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6 (6): 133-149

Lee, G. and E. Im (2009) Developing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assessing the level of neighborhood park service provision. Journal of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63: 107-122

Lee, H. (2011) Measures to revitalize the use of urban parks in Daejeon.

Daejeon Power Research Institute

Lee, S. and K. Sim (2014) Policy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system for unimplemented urban parks for the expansion of living infrastructure. Architecture and Urban Space Research Institute

Lee, S., Y. Kim and Y. Lee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parks and green areas in response to changes in green city policy conditions. Architecture and Urban Space Research Institute

Lindsey, G., M. Maraj and S. Kuan (2001) Access, equity, and urban greenway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The Professional Geographer 53: 332-346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0) Act on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reas, etc. Korea law information center (https://www.l aw.go.kr/lsSc.do?section=&menuId=1&subMenuId=15&tabMenuId=81&eventGubun

=060101&query=%EB%8F%84%EC%8B%9C%EA%B3%B5%EC%9B%90+%EB%B 0%8F+%EB%85%B9%EC%A7%80#undefined)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Study on the preparation of measures to strengthen the ecological function of urban green areas

Moon, J. and Y. Ban (2018) Indicators development and rank decision for evaluation of service supply level of urban living-zone parks. Journal of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