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창조적 스토리텔링의 개념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38)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2.2 창조적 스토리텔링

2.2.1 창조적 스토리텔링의 개념

창조적 스토리텔링은 지역의 문화자원 또는 관광매력성이 없는 자원에 스토리를 적용하여 매력성이 있는 관광자원으로 부활시키는 것으로서 영화 촬영지나 드라마로 새로운 창조적인 생명력을 불어넣어 관광자원으로 재탄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1995년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되면서 전국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 에서 지역 축제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그 결과 많은 지자체에서 새로운 축제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축제에 이벤트 속성을 부가한 축제를 만들었었다.

예를 들면 정동진은 드라마 촬영 전에는 아무것도 없는 단순한 기차역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드라마 방영 후 소나무는 고현정 소나무라는 별칭이 붙었고, 모래시계는 유명한 관광 상품이 되었다. 관광객은 정동진에서 드라마속의 주인 공에 자신의 감정을 대입하여 그 장소에 가면 드라마속의 주인공이 되는 것 같은 느낌과 이야기가 있어서 방문하게 된다.

또한 겨울연가, 가을동화의 드라마로 유명해진 관광지 또한 드라마의 이야 기가 스토리텔링이 되어서 새로운 창조적인 관광지로 개발이 되었다. 영화촬영 지는 특별한 관광자원이 없는 관광지에 영화의 스토리를 활용하여 매력성이 있는 새로운 관광콘텐츠로 부활한다. 드라마 또는 영화의 세트장이나 촬영지를

‘반짝 특수효과’정도의 활용에 그치지 말고 주변 관광자원을 지역축제와 연계하고 그에 따른 스토리텔링을 개발해 나가야 한다.

영상관련 관광은 영화와 TV 드라마가 알려진 후, 이에 영향을 받은 관광객들 이 촬영지를 방문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영상관련 관광지의 형태는 <표 2-4>와 같다.

<표 2-4> 영상관련 관광지의 형태

유형 특 징 사 례

장소

촬영지→영상→관광객 방문 박하사탕 (제천 진소마을)

무명관광지→영상→유명관광지 친구 (부산 일원) 편지 (아침고요 수목원) 유명관광지→영상→유명세 강화 쉬리, 연풍연가, 올인 (제주도)

시설

영상 〉 관광 공동경비구역 JSA (서울영화종합촬영소) 대장금 (대장금 테마파크)

영상 〈 관광 신영영화박물관, 켄싱턴 스타 호텔, 한국 민속촌, 유니버설 스튜디오 행사 영상 관련 이벤트→관광지 홍보 부산 영화제, 칸 영화제

클러스터 지역전체가 영상 메카화 부산, 헐리웃

자료 : 최인호(2007).“한류관광소재의 스토리텔링 활성화 방안”, 삼성경제연구소. p.7.

관광스토리텔링은 관광지, 관광시설, 관광 프로그램 등에 스토리를 부여하고 관광객으로 하여금 흥미를 일으키게 하며, 관광에서의 스토리텔링은 관광지와 관광객이 정보와 체험을 공유하면서 하나의 공동스토리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최인호,2008).

관광스토리텔링이란 관광자원에 관련된 이야기의 소재를 발굴하거나 의미를 찾아 관광지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작업으로 스토리 발굴, 체험, 공유의 과정을 통해 상호작용을 하면서 공유가치를 만드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다(최인호, 2008).

관광스토리텔링은 관광지의 지속가능한 계기를 마련해주며 지역주민, 관광객, 매력물이 공동으로 만드는 가치 체험의 장을 제공하며, 사람들이 지적·정서적으로 향유하는 모든 종류의 무형자산을 포괄적으로 지목하는 것으로 콘텐츠를 정의 하였다(한강희,2006).

2.2.1.1 관광가이드 해설의 효율성

관광분야에 있어서의 스토리텔링은 방문객들에게 무엇을 해설할 것인지?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지역 대표 매력물이 어떠한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지? 관광가이드 의 설명과 해설을 의미한다. 효과적인 해설은 관광자원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며, 언어적 본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관광지의 지속가능한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2.2.1.2 다양한 매체(媒體)를 통한 표현

스토리텔링이 종이 매체에서 표현될 경우 문학이 되고 영상 매체에서 표현 될 경우 영화가 된다. 스토리텔링은 매체의 특성에 따라 다른 표현방식을 지닌다.

세상에는 무수한 형식의 이야기들이 있다. 이야기, 서사물의 매체들 가운데 발언 된 언어, 그림, 제스처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혼합한 것들이 있다. 이야기는 신화 전설, 후화, 설화, 소설, 서사시, 역사, 비극, 추리극, 희극, 무언극, 회화, 영화, 뉴 스, 일상대화 등 무수한 형태로 존재한다. 그리고 이 무수한 형식을 통해서 이야 기는 시대, 장소, 사회를 초월하여 존재한다. 이야기는 인류의 역사와 동시에 시작 되었다고 표현할 수 있을 정도이다.

① 관광 가이드

대부분 관광분야의 스토리텔링을 논함에 있어 문화유산 해설을 많이 떠올린다.

관광스토리텔링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해설의 개념보다는 넓은 개념이다.

관광지를 둘러싼 스토리를 중심으로 관광지와 관광객들이 공동으로 만들어가 는 의미체계로서, 다양한 맥락 속에서의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이 존재한다.

가이드는 방문자의 체류 기간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지역 주민과의 개인적 상호작용의 기회 자체가 매우 귀중한데다 만약 가이드가 능숙한 해설 능력을 보여준다면 관광객은 지역에 대한 한층 고차원적인 이해를 얻게 될 것이기 때문 이다. 가이드와 그 관광객이 흔히 친구가 되곤 하며 쌍방향의 문화적 학습이 발생 하곤 한다.

② 표지판

표지판은 해설 정보와 지도, 사진과 그래픽을 담을 수 있는 이차원적인 표지이다.

표지판은 상대적으로 설치가 저렴하고 디자인과 설치가 쉽다는 점에서 소규모 지역사회에서 실용성이 높다.

③ 축제

축제콘텐츠를 향유하는 수요자 중심의 축제를 기획하는데 있어서 축제를 구성 하고 있는 콘텐츠를 통해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가치가 응축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스토리를 통해 축제콘텐츠를 어떻게 표현하고 전달할 것인 가에 대한 스토리텔링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④ 공연/재현 프로그램

지역의 음악과 무용을 공연하고 관광객들을 위해 해설해 줄 수 있다. 전통 음식과 음료, 전통 식기들로 꾸며진 대규모의 공식만찬과 같은 의식과 활동을 통해 방문객들에게 이 지역의 삶을 엿보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⑤ 시청각 해설

영화나 TV 드라마와 같은 영상매체의 시청각적 특성은 현실감이나 현장감 표현에 있어서 스토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강한 호소력이 있어 관광객과 관광목적지 간의 심리적 거리를 단축시키고, 관광지에 대한 친근감과 매력을 느끼게 하는 등 잠재 관광객에게 영향을 주며, 관광지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형성하여 관광객을 실제로 유인하는 경향이 있다.

⑥ 멀티미디어 쇼

이 해설 방식은 무용과 음악, 연극 공연과 특수효과를 결합하여 특정 시간과 장소에 와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하기 위한 감각적 체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쇼는 대사나 노래를 통해 지식을 전달하기도 하지만, 주요 기능은 방문객들의 정서와 감각에 호소하는 것이다.

⑦ 조명과 음향효과를 이용한 전시

이것은 옥외에 설치하여 야간에 활용할 수 있는 소리와 빛의 쇼를 통합한 전시 방법이다. 경관이 좋은 널찍한 장소에서 청중들은 스포트라이트가 비추는 건축물 이나 그 외장들을 관람하게 된다.

⑧ 인터넷

인터넷 관광정보는 관광객이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위험요인을 줄여줌으 로써 올바른 판단을 내리게 한다. 그리고 잠재 관광객이 관광지에 직접 여행을 하지 않더라도 관광지의 문화와 역사, 이벤트 등 관광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관광자원을 이해 하는데 도움을 준다. 웹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스토리텔링은 넓게 보면 디지털 스토 리텔링의 범주에 포함된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과정은 공급자에 의한 콘텐츠의 전달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직접 참여하고 있다. 결국,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스토리를 멀티미디어 작업으로 전환함으로써 사람의 감성을 자극하여 관심을 유 발하고 정서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2.2.1.3 다양한 매체들과의 인터렉션(interaction) 주도 (OSMU : One Source Multi Use)

스토리텔링의 특징은 위의 내용에서 살펴본 다양한 매체들과의 인터랙션 (interaction)을 주도한다는 점이다. 스토리텔링은 이야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뿐만 아니라, 매체들 간의 인터랙션을 통해 다양하고 수많은 콘텐츠를 재생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하나의 콘텐츠가 여러 매체의 콘 텐츠로 변주되면서 문화상품을 만들어낸다.

자료 : 최혜실(2016)“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삼성경제연구소, p.105

<그림 2-1> 스토리텔링의 OSMU 방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3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