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2. 창의적 행동의 주요 이론

2.1. 구성요소이론(Componential Theory of Creativity)

Amabile(1983; 1988; 1996)은 창의적 행동 대한 성격적, 환경적 결정 요인을 분 석하고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의 단계별로 위치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구성

요소이론을 통해 창의적 행동을 구성하는 요소와 창의적 행동의 발현 과정을 설 명하였다. 창의적 행동은 영역 관련 기술(domain-relevant skill), 창의적 사고기 술(creativity-relevent process), 과업 동기부여(task motivation)의 내부적 요소와 사회적 환경(the social environment)의 외부적 요소로 구성된다고 제시하였다.

영역 관련 기술은 문제 영역에서의 지식, 전문적 기술, 특수한 재능을 말하며 타 고난 인지적 능력과 지각, 교육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창의적 사고기술 은 창의적 행동과 관련된 프로세스로 주어진 문제에 대해 새로운 시각과 개방적 인 태도로 접근하여 참신하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 요소는 아이디어의 생성 경험, 개인적 성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과업 동기부여는 일 자체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으로 인한 자발적 몰입으로 도전 의식 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내적 열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에 대한 내재적 동기부여 수준, 외재적 제약을 통제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 다. 사회적 환경은 개인의 업무를 둘러싼 작업환경의 총체를 말한다.

Amabile(1996)은 구성요소이론에서 각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창의적 행동 이 발현된다고 설명하였는데 이중에서도 특히, 내재적 과업 동기부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개인이 영역 관련 기술과 창의적 사고기술을 갖추고 있더라도 과업 에 대한 동기부여가 되지 않았다면 창의적 행동은 업무 성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다. 또한, 사회적 환경이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면서 과업이 체계적으로 구조화되어 있을수록 성과를 촉진시킬 것이라고 하였다.

2.2. 상호작용주의 모델(interactionist model)

Woodman & Schoenfeldt(1989)는 창의적 행동을 개인과 상황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하면서 개인 수준의 상호작용주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상황은 물리적 환경, 조직문화, 시간적 제약과 같은 상황적 영향(contextual influence)과 사회적 평가, 보상, 역할과 같은 사회적 영향(social influence)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두 가지 영향 요인에 의해 개인의 창의적 행동이 증진되거나 저해된다고 하였다. 상호작 용주의 모델에서는 개인적 요인을 성격, 업무지식, 동기부여로 제시하였고 개인

적 요인, 상황적 요인, 사회적 요인이 과거의 강화 역사, 초기 사회화 과정, 배경 특성 등의 다양한 선행조건(antecedent condition)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 다. 즉, 개인적, 사회적, 상황적 요인들이 서로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창의적 행동 이 발현된다는 것이다.

상호작용주의 모델은 창의적 행동 연구에서 성격, 인지, 사회 심리적 측면만을 설명하였던 이론들을 통합하여 각각의 이론들에서 제시되었던 요인들 간의 관계 를 규명함으로써 창의적 행동이 개인에게 내재된 고유한 역량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 아니고 사회적, 상황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촉진되거나 저해될 수 있 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기존 창의적 행동 연구에서 설명하지 못한 다양한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창의적 행동의 발현 과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2.3. 투자이론

Sternberg & Lubart(1991)가 제시한 투자이론에 의하면 창의적인 개인은 싸게 구매하여 비싸게 판매하는 투자자와 같이 행동한다고 주장하였다. 인지도는 없지 만 성장 잠재력을 지닌 아이디어를 발견하여 이를 비싼 가격으로 판매하려는 행 동을 보인다는 것이다.

투자이론에서는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지적 능력, 지식, 사고기술, 성격, 과업 동기부여, 환경이라는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여기 서 제시한 인지적 능력이란 기존의 사고방식을 탈피하여 새롭게 문제를 관찰하 는 종합능력, 제시한 아이디어의 가치를 판단하는 분석능력, 다른 사람들에게 아 이디어의 가치를 설득시키는 실행능력으로 구성된다. 또한, 사회적 환경을 새로 운 아이디어의 평가, 실현, 촉진과 저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설명하면서 환 경적 특성도 같이 고려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창의적 행동의 주요 이론들을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이 정 리할 수 있다. 우선, 동기부여는 세 가지 이론에서 유사하게 나타나는 공통적 특

성이다. 구성요소이론의 영역 관련 기술은 상호작용주의 모델의 업무지식과 투자 이론의 지식으로 같이 구분 지을 수 있으며, 구성요소이론의 창의적 사고기술을 상호작용주의 모델의 성격과 투자이론의 인지적 능력, 사고기술, 성격으로 대응 시킬 수 있다. 환경은 구성요소이론에서 과업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파악되었고 상호작용주의 모델에서는 상황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되었 으며 투자이론에서는 다른 요인들과 동일한 수준으로 포함하고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