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집단에 따른 분석에 대한 고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51)

집단 간 모음공간면적을 계산하기 위한 유클리드 거리를 살펴보면,문장 수준에서는 음성장애군의 모든 유클리드 거리가 정상군보다 짧게 분석되었 다.이는 기능적 음성장애 화자의 후두 및 주변근육의 근긴장이 모음공간면 적의 감소와 각 유클리드 거리를 짧게 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 다.

단어 수준에서는 /아-이/의 유클리드 거리에서만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는 데,모음사각도를 구성하는 모음 /아/와 /이/가 갖는 특성으로 설명할 수 있 다.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던 모음 /아/,/이,/우/중에서 /아/와 /이/의 개구 도의 차이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이를 통해 음성장애군이 단어 수준에서 /아 /와 /이/를 산출할 때 정상군보다 구강 개방을 명확하게 시도하지 않아 집단 간 /아-이/유클리드 거리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음성장애 유무에 따른 모음공간면적을 비교하였을 때,단어,문장에서 음성 장애군의 모음공간면적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작아 음성장애군의 과도한 근 긴장으로 인해 구강 개방 정도의 차이가 큰 모음들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음성장애 화자의 후두 주변의 근긴장이 과도할 때 모 음공간면적이 작았다는 선행 문헌을 뒷받침하였다(Roy etal.,2009).일반적

으로 목소리를 산출할 때에는 발화를 위한 구강 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구 강인두면적이 커진다(Dromey etal.,2008).그러나 기능적 음성장애 화자의 경우 지속적이고 과도한 음성 사용으로 인해 음성 산출 시 설골상근이 긴장 하면서 후두 위치가 상승하게 된다.이로 인해 구강인두면적이 작아지고 뒤 쪽 성문 틈에 공간이 생겨 바람 새는 목소리,쉰 목소리,음도가 저하하거나 강도가 감소한 목소리가 산출되는데,이를 보완하기 위해 더욱 강한 성대 접 촉을 시도하게 된다.이로 인해 음향학적으로 측정할 때 모음공간면적이 감 소하는 것이다.

Royetal.(2009)은 문단을 읽었을 때 근긴장성 발성장애 화자의 보톡스 주 입 및 음성치료 전과 후의 모음공간면적 비교를 시도하였다.그 결과,보톡스 주입 및 음성치료 후에 모음공간면적이 유의하게 커지면서,근긴장성 발성장 애 화자의 과도한 후두 근긴장이 동반된 음성이 모음공간면적의 감소를 유도 한다고 설명하였다.

안철민・문고정・정덕희(2001)는 인두조영술을 통해 기능적 음성장애 화자 의 발성 시 하인두벽의 좌우 넓이,하인두 외벽의 모양 변화,양측 성대의 움 직임 등 후두 및 후두 주변의 움직임을 관찰하였다.그 결과 기능적 음성장 애군의 하인두벽의 넓이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작게 나타났고,발성 시 공 명강의 감소를 시각적으로 확인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근긴장성 발성장애 화자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알아본 허정화・송기범・최 양규(2013)의 연구에서는 발성을 산출할 때에도 후두 및 성대에 작용하는 근 긴장이 지속되어 성도의 공기 흐름에 더 많은 방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대내전력의 변화를 반영하는 성문저항이 정상군보다 높은 이유를 과 도한 후두 근긴장으로 설명하여,과도한 긴장성 발성 습관이 구강 개방을 감 소시키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이러한 결과들은 본 연구 결과 나타난 음성장애군의 모음공간면적 특성과도 일치한다.과도한 발성 노력은 후두주 변근육의 긴장을 유도하고 설골의 움직임을 감소시켜 턱과 혀의 움직임에 제 한을 주어 결론적으로 구강 개방을 감소시킨다.발성을 포함하여 후두와 호 흡 체계와 구강안면근육 체계의 중요한 신경 연결을 한다.

McClean& Tasko(2002)는 코,윗입술,아랫입술,혀 등에 센서를 부착하여

발화 산출 시 나타나는 음향학적 신호를 통해 구강안면 근육체계를,기본주 파수,음성 강도,흡기량 등을 통해 후두,호흡 체계를 살펴보아 구강안면 근 육체계와 후두,호흡 체계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그 결과 입술,혀의 움직 임보다 턱의 상하운동인 구강 개방이 후두 및 호흡체계와 가장 높은 연관성 을 갖는다고 하였다.입을 크게 벌리지 않는 습관이 충분한 구강 공명 형성 을 어렵게 하므로,구강 공명 증가를 위해 후두 주변부 근긴장 이완의 중요 성을 강조하였다.

앞서 언급한 음성장애의 정의적 측면과 같이,음성장애는 성대뿐 아니라 호흡기관과 성도의 문제와도 연관성이 있다(황영진・유재연・정옥란,2007). 정상 음성은 적절한 성대접촉 뿐 아니라 호흡,공명,발성 체계가 상호작용해 야하기 때문에,각 하위 체계 안에서의 연구들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음성은 성대에서 원음이 생성된 후 소리를 전달시키는 통로인 성도에서의 공명을 통해 산출된다.공명강의 길이가 짧고 면적이 작다면 공 명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음성 전달이 명확하지 않게 되므로,구강 공명 증가를 위한 구강 개방의 중요성이 또 한 번 강조된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음공간면적을 통해 기능적 음성장애 화자의 구강 공명의 특징을 알아보았 고,음성장애군의 모음공간면적이 정상군보다 더 작은 의미 있는 결과를 얻 었다.

본 연구는 순수한 음성장애 화자를 대상으로 모음공간면적 연구를 진행했 다는 데 의의가 있다.성대 문제에 기인하는 음성장애는 일반적으로 조음 문 제가 동반되지 않기 때문에 모음공간면적을 활용한 연구들이 매우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음성의 오용,남용과 관련한 기능적 음성장애 화자의 구강 개방을 특성을 파악하여 화자들이 갖는 과도한 근긴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 는 하나의 근거를 제시하였다.기능적 음성장애 화자의 음성 치료에 있어 구 강 개방의 촉진은 근긴장 감소를 통한 음성 문제 개선에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다.구강 개방으로 충분한 공명을 형성하여 발성 시 음질을 개선시키는 바 와 같이 공명,발성 체계 간의 효율적인 연결을 돕는다.송윤경(2011)은 구강 개방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하는 근거를 공명 발성 치료를 통해 제시하였 다.공명 발성 치료(resonantvoicetherapy)는 발성의 포커스를 목 수준에서

위쪽으로 이동시킨 공명강(resonator)을 사용하여 공명 발성을 유도하는데, 이것은 후두 긴장을 줄여주고 구강 공명을 증가시키는 치료 기법으로 의의를 갖는다.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기능적 음성장애 화자를 대상 으로 충분한 구강 개방을 유도한 상태에서 다양한 음성치료가 행해져야 할 필요성을 증명하는 데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단모음 산출을 통해 모음공간면적을 비교하지 않고 단어와 문장 수준 에서 산출된 모음의 구강 개방을 분석하여 일상 발화와 비슷한 환경에서의 구강 개방을 알아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5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