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요양병원에 장기입원한 노인의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문은 유의수준 0.1로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 0.1로 Wilcoxon 검정을 실시한 결과 문항1, 문항2, 문항 7, 문항 11, 문항 14에서 우울 수준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즉, 집단미술치료가 우울감의 현재생활에 대한 만족도에 효과가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사전과 사후의 변화가 없는 문항인 문항 9, 10, 13에서 알 수 있듯이, 집단미술치료는 기력과 기억력에는 효과가 없다고 말할 수 있다.

(t=2.812, p=0.023). 다시 말하면 집단미술치료를 받은 실험집단이 그렇지 않은 대조집단에 비해 자존감이 올라갔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림 Ⅳ-2>에서는 집단미 술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전과 후의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의 자존감 수준 변 화이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집단미술치료가 자존감 수준을 올리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가 장기입원 노인의 자존감을 증가 시킨다는 것이 입증되 었으므로 가설2은 수용되었다.

<그림 Ⅳ-2> 집단별 사전ㆍ사후 자존감 수준 변화

2) 각 대상자별 우울수준의 사전‧사후 변화량

집단미술치료가 노인병원에 장기입원한 노인의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를 개인별 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Ⅳ-5>와 같다.

<표 Ⅳ-5> 개인별 자존감 수준의 초기·후기의 점수 비교 (n=5)

A B C D E 평균

사전 25 23 29 31 30 27.6

사후 32 31 33 37 35 33.6

변화량 7 8 4 6 5 6

<표 Ⅳ-5>에 의하면, 시설 노인들의 자존감 수준은 50점 만점에 초기평균점수

27.6점에서 후기평균점수 33.6점으로 평균점수 6점이 증가하였으며, 집단원 모 두가 최저 4점에서 최고 7점까지 자존감점수가 증가하였다.

개인별로 살펴보면, 집단원 B가 23점에서 31점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A 가 25점에서 32점으로, D가 31점에서 37점으로, E가 30점에서 35점으로 C가 29점에서 33점 순으로 자존감 점수가 증가하였다.

3) 검사지 문항별 자존감 수준의 사전‧사후 변화량

집단미술치료가 노인병원에 장기입원한 노인의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사지 문항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Ⅳ-6>과 같다.

<표 Ⅳ-6> 문항별 자존감 수준 사전-사후 검사 비교 (n=5)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 유의확률

문항1 사전 3.2 0.84

1.633 0.178

사후 3.6 0.55

문항2 사전 3.0 0.71

2.449 0.070

사후 3.6 0.55

문항3 사전 2.6 0.55

4.000 0.016

사후 3.4 0.55

문항4 사전 2.2 0.84

- 0.001

사후 3.2 0.84

문항5 사전 2.0 0.71

2.449 0.070

사후 2.6 0.55

문항6 사전 3.0 1.22

1.500 0.208

사후 3.6 0.55

문항7 사전 2.8 0.45

4.000 0.016

사후 3.6 0.55

문항8 사전 3.2 0.45

-1.633 0.178

사후 2.8 0.84

문항9 사전 2.4 0.55

2.138 0.099

사후 3.2 0.84

문항10 사전 3.2 0.84

4.000 0.016

사후 4.0 0.71

대상자 K-HTP 사전검사 K-HTP 중간검사 K-HTP 사후검사

A <그림 Ⅳ-3>

A의 K-HTP 사전그림 중앙에 집을 그리고 목과 몸 통의 절반만 있는 사람을 표현 하였다. 좌측 상단과 우픅하단 에 가지가 선으로 표현되어 있 는 나무를 그렸다. 그림의 하 단에 손주의 이름을 적었고, 집 그림에 마루와 방이라고 적 었다.

<그림 Ⅳ-4>

A의 K-HTP 중기그림 화면의 절반이 넘는 크기로 중 앙에 집을 그렸다. 집은 구획 으로 나눠서 글씨를 써 넣었 다. 집 안에 다리가 없는 사람 두명을 그렸으며 손가락이 선 으로 강조되었다. 집의 하단에 는 손녀의 이름을 적었다. 좌 측 상단에는 열매가 열리는 나 무를 그렸다.

<그림 Ⅳ-5>

A의 K-HTP 사후그림 좌측 상단에 집을 그렸고, 집 과 분리되어 춤을 추고있는 자 신의 모습을 그렸다. 우측에는 나무가 있으며 큰 열매가 맺었 다고 하였다.

유의수준 0.05로 Wilcoxon 검정을 실시한 결과 문항3, 문항4, 문항 7, 문항 10에서 자존감 수준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즉, 집단미술치료가 실패감 은 낮아지고 자기효능감과 만족도는 높아져 자존감 향상에 효과가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사전보다 사후의 점수가 낮은 문항인 문항 8에서 알 수 있 듯이, 집단미술치료는 자신에 대한 존경심에는 큰 효과가 없다고 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