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체 장애 학생의 지원

교강사의 장애 학생 학습 활동 지원

1. 장애 학생의 학습을 위한 지원의 일반적 원칙

▹장애 학생의 학습 지원을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학생과 개별적인 상담을 통하여 학생을 이해하고 필요한 지원을 개별화하는 것입니다[참고 13, 14].

참고13 장애 학생과의 첫 상담 시 물어볼 수 있는 질문들의 예

ㆍ시각 장애 학생의 경우, 학생이 실제로 어느 정도 볼 수 있 는가?

ㆍ청각 장애 학생의 경우, 학생이 어느 정도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가?

ㆍ지체 장애 학생의 경우, 장애의 특성이 무엇인가?

ㆍ학생의 학업 수준과 해당 교과목에 대한 배경 지식의 수준은 어떠한가? (강점과 약점)

ㆍ도우미 학생이 있는가? 있다면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전담 도우미 학생이 없다면 어떤 면에서 그리고 어느 정도의 도움 이 필요한가?

ㆍ부가적인 지원이 없이 어느 정도 독립적으로 수강할 수 있 는가?

ㆍ수강을 하는 데 있어서 교수가 배려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강의 진행의 측면에서

–교재, 유인물 등의 정보의 제공 측면에서 –출석, 다양한 형태의 수업 참여의 측면에서

–수업 중 발표 등의 측면에서 –과제물의 부과와 제출의 측면에서 –퀴즈, 시험 등의 측면에서

ㆍ강의실 환경은 어떠한 면의 지원이 필요한가?

ㆍ그 동안의 강의에서 제공 받은 지원은 어떤 것들이었으며 어 떤 도움이 되었는가? 필요 없었던 것은 무엇인가?

ㆍ학생과 함께 수강하는 학생들 중 가까운 동료가 있는가? 그 동료와 어떻게 협력을 하는가?

ㆍ수강에 필요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특별한 기기가 있는가?

ㆍ수강에 필요한 기기 등의 지원이 필요한가?

ㆍ장애의 특성상 특별히 감안해야 하는 사항이 있는가?

(예, 신진대사적 특징)

ㆍ학생을 대할 때 특별히 필요한 에티켓이 있는가?

ㆍ학생과 연락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

(교수의 연락처와 방법을 제공)

ㆍ교수와 상시적인 만남의 시간이 필요한가?

(주기적 또는 필요 시 만남을 위해 교수의 상담 시간을 알려줌)

참고14 장애 학생을 위한 학습 지원 Checklist

학년도/학기:

강좌명/교수명:

장애 학생의 이름/장애/학과 및 학번:

장애 학생 연락처:

상담 가능 시간:

장애 학생의 특징 ㆍ의사 소통:

ㆍ이동 능력:

ㆍ수업 및 과제 수행:

ㆍ기타:

장애 학생의 일반적 지원 사항 ㆍ자리(seating):

ㆍ강의실 환경:

ㆍ교재 및 유인물:

ㆍ강의 진행:

ㆍ과제:

ㆍ시험:

ㆍ기타:

(날짜) 강의 주제 수업 형태/

수강생 활동

교재/

수업 자료

장애 학생 지원 사항

▹장애 학생이 수강에 필요한 지원을 요구할 때, 교수 혼자 서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거나 강의의 목표나 평가 기 준 적용에 합당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교육지원과에 문 의합니다.

▹장애 학생들에게 학습에 필요한 지원이 특혜나 차별로 느 껴지지 않도록 유의합니다.

▹장애 학생에게 강의, 실습, 과제, 시험 등 일체의 수강 과 정을 다른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적용하고 학생으 로서의 책임감을 역시 부여합니다.

▹시험 등에 있어서 다른 학생들보다 미리 보기를 원하거나 더 오랜 시간을 요구하는 등의 시간적인 문제는 시험의 성 격 등을 교수가 판단하여 정할 사안입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수강하는 다른 학생들에게 공지를 하는 것이 좋습니 다. 시험을 보는 데 있어서 필요한 기기 등이 학교에 없는 등의 이유로 집에서 보기를 원할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수강생 중에 장애 학생이 있는 경우 학교에(교육지원과) 수강생의 정보를 요구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학생의 신상 및 장애 등에 대한 것들은 절대 비밀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장애 학생이라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학교의 제반 규칙 을 동일하게 적용합니다. 출석이나 과제, 시험 등에 있어 서의 부정한 행위에 대해서는 일반 학생들과 같은 조치를 취합니다.

▹특수교육 대상자로서 특례 입학한 장애 학생들은 절대 평 가 방법을 적용합니다. 특례 입학생의 경우 우리 대학에서 요구하는 기본적 수강 능력을 충족하고 있는 학생들이기 때문에 평가에 있어서는 원칙적으로 일반 학생과 동일한 기준을 적용합니다. 즉 장애 학생이라고 하여 무조건 기준 을 낮추어 적용하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하지만 장애 유형 과 학생에 따라 학업 성취 수준이 다양할 수 있습니다. 따 라서 이를 감안하여 개별적인 학업 성취 수준을 학기초에 정하고 학기를 마칠 때까지 애초의 목표 수준, 수업 참여 의 정도, 노력의 정도 등의 기준을 정하여 이를 토대로 절 대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즉, 수행 평가의 비중을 높임으 로써 일제 필기 시험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불리함을 없애 줍니다.

▹장애 학생을 위한 별도의 조정이나 지원을 제공하는 것도 형평성이나 공정성 등의 원칙을 지켜나가는 가운데 이루어 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수강생들의 이해는 꼭 필요합 니다. 불필요한 오해 등의 소지를 없애기 위하여 수강생 전체의 공개적인 동의를 구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다만 극 히 사적인 정보 등에 대한 공개는 장애 학생 본인의 동의 를 거쳐야 합니다.

▹학기 중 상시적으로 학생에게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를 먼 저 물은 후 요구한 도움을 제공합니다. 학기 도중 학생에 게 필요한 지원을 어떻게 제공해야 되는지 잘 모를 때에

는, 공개된 장소보다는 가급적 개인적으로 만나 지원 방법 을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강의 첫 시간에 장애로 인해 특별한 조정이나 지원이 필요 한 경우 교수와 만날 것을 알립니다. [참고 15]와 같이 강 의 계획서의 세부 사항에 이와 같은 내용을 미리 적어 넣 도록 합니다. 교내 지원부서 연락처를 함께 적을 수도 있 습니다.

참고15 강의 계획서에서 장애 학생 지원에 관한 안내

ㆍ이 강좌를 수강하는 데 있어서 장애나 질병 등의 이유로 교 수로부터의 별도의 지원이 필요한 학생은 교수와 상의하도록 합니다. 교내 교육지원과에 신청을 할 수도 있습니다.

ㆍ이 강좌에 수강하는 학생 중 장애 등의 이유로 학습을 위해 교수로부터의 지원이 필요한 경우 전체 수강생의 양해를 전 제로 수업 노트의 제공, 대필자 서비스, 대안적 평가 방법 등 의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단 이 강좌에서 기대되는 모 든 책임을 다른 수강생과 동일하게 가지게 되며 최종 평가 기준 또한 동일합니다.

▹화재 등 위급 상황 발생 시 장애 학생의 대처 요령을 미리 알고 있도록 합니다. 도움이 필요한 학생의 경우, 그러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생에게도 요령을 알게 하는 것이 좋 습니다.

참고16

<표 5> 장애 학생 지원에 대한 오해와 사실

편 견 바른 이해

학습 지원을 요구하는 장 애 대학생들은 공부를 될 수 있으면 덜 하려고 하 거나 쉽게 하려고 한다.

동일한 학습량에 대하여 장애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에 비해 더 많은 노력을 기 울여야 합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장애 학생들은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원치 않습니다.

학습 지원이나 조정을 한 다는 것은 성취 기준을 낮추는 것이다.

우리 대학의 규정은 장애 학생들에 대 하여 기준을 낮추도록 하지 않습니다.

학습 지원이나 조정은 성취 기준에 도 달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장애 학생이 다른 학생들 과 같은 수준의 학업을 하지 못한다면, 대학에 소속되어 있다고 볼 수 없다.

장애 대학생이라고 해서 다른 학생들보 다 지적인 능력이 떨어지는 것이 아닙 니다. 우리 대학에 합격을 하여 등록이 되었다면 대학에 다닐 자격이 주어지는 것이고 학습권 보장을 위해 필요한 조 정을 요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장애 학생을 위한 학습 지원이나 조정은 교수들 에게 너무 많은 시간적 부담을 준다.

연구에 의하면 장애 학생을 위한 학습 자원이나 조정에 90% 이상이 최소한의 시간과 비용을 들인다고 합니다. 사실 장 애 학생을 위한 지원 방법은 일반 학생 들에게도 똑같이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

2. 시각 장애(맹ㆍ저시력) 학생의 지원

시각 장애 학생은 전혀 보이지 않는 수준인 전맹(全盲)과 잔 존 시력의 정도에 따라 어느 정도 볼 수 있는 저시력(底視力) 또는 약시(弱視) 학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시각 장애 학생을 위한 일반적 지원 방법은 전맹과 저시력 학생에게 크게 다르지 않게 적용할 수 있으나 일부는 특성상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 지원 방법

▹인지 능력과 언어에 장애가 없다면 시각 장애 학생들은 다 른 학생들과 다름없이 학습할 수 있으며 다양한 교과 영역 의 학습 또한 시각 기관을 이용하지 않고도 학습할 수 있 습니다.

▹일상적인 대화, 예를 들어 “조금 있다 수업 시간에 보자”

라는 말은 충분히 이해합니다.

▹시각 장애 학생들에게 말을 하거나 인사를 건낼 때 보통 크기의 말소리로 충분합니다. 대부분의 시각 장애인들은 청력에 문제가 없으며 혹 문제가 있을 경우 시각 장애인이 알려 줄 것입니다.

▹강의실에 들어갈 때와 수업을 마치고 나갈 때 수강생들에 게 이야기를 합니다.

▹시각 장애 학생에게 말을 할 때 이름을 분명히 말합니다.

▹시각 장애 학생과 말을 시작할 때는 먼저 자신이 누구인지 를 말합니다. 또한 시각 장애 학생과 함께 있는 사람을 통 해 말을 할 필요가 없으며, 시각 장애 학생에게 직접 말을 할 때에는 학생의 이름을 부른 후 시작합니다.

예, “김철수 학생, 안녕하세요, ○○○○을 강의하는 홍길 동 교수입니다”

▹저시력 학생은 대화 상대의 표정 등을 잘 알기 어려워 상 대방의 기분이나 반응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자신의 기분을 솔직히 이야기 해주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

▹저시력 학생은 사람을 잘 알아보지 못하여 아는 사람을 보 고도 그냥 지나칠 수 있습니다. 먼저 아는 체를 하도록 합 니다.

▹시각 장애를 가지고 있더라도 빛을 인식하거나 저시력 학 생의 경우 사물의 일부를 어느 정도 볼 수 있습니다. 이 때 시각 장애 학생이 눈을 찡그리거나 표정을 지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 불필요한 오해를 갖지 않도록 합니다.

▹일부 저시력 학생은 길을 걷는 데는 큰 어려움은 없으나 문서의 글씨를 읽을 수는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방향 등을 알려줄 때에는 시각 장애인의 위치를 기준으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