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여건 종합분석

문서에서 최종보고서 (페이지 140-146)

제조업 중 가공조립형의 비중이 높음

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서 기초소재형, 가공조립형, 생활관련형으 로 분류하며, 인천은 가공조립형 산업의 비중이 사업체 및 종사자 수 기 준 각각 60.2%, 63.5%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초소재형 제조업 생산액은 최근 10년(2008년~2017년)간 1.15% 증가세 를 보이며, 업종별로는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의 증가율이 26.85%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인다. 특히 코로나 여파로 인해 타제조업 의 부진속에서 의약품분야는 전년 4월대비 +16.7%→+73.0%의 상승률로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가공조립형 제조업은 사업체 수 기준 ‘금속가공제품 제조업의 비중이 37.6%로 가장 높았으며,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의 사업체 수가 28.6%로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인천의 주력산업 - 전자부품

- 자동차 - 기계 제조업

인천의 주력산업으로 분류되어 온 전자부품, 자동차, 기계 제조업이 여전 히 중핵적 위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종사자 수 또한 지속해서 증가해 왔 다.

그러나,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인천의 지역경제 내에서 제조업 이 차지하는 비중을 추세로 보면 다소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있다. 전체 부가가치 생산액 중 제조업의 비중은 30.7%에서 27.6%로 하락하였고, 전 체 고용 중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7.3%에서 24.2%로 낮아졌다.

다만 전체 사업체 수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2.3%에서 12.6%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천 경제 전체의 양적인 규모 증가 속도보다 제조업 규모 증가 속 도가 상대적으로 더디다는 것을 나타내며, 특히 전체 사업체수 중에서 제 조업체 수가 지난 10년간 소폭의 증가가 있었음에도 부가가치 생산액 및 고용자 수의 비중이 감소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결과적으로 인천지역 제조업의 고도화가 지연되고 있거나, 중견 이상 기 업은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고 소기업의 유입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될 수 도 있는 부분이다.

구분 생산 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수입

유발효과 취업

유발효과

상용근로자 1인당 연간평균

급여액(백만원)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306 0.672 0.332 8.9 36.4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021 0.563 0.430 8.0 36.6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2.030 0.610 0.378 8.9 34.9

전기장비 제조업 2.021 0.563 0.430 8.0 33.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301 0.656 0.339 9.2 42.9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474 0.665 0.328 8.1 58.5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474 0.665 0.328 8.1 35.2 자료 : 지역산업연관표(2013)

[표 Ⅲ-22] 인천광역시 제조업 사업체 현황

인천시의

입지여건에 따른 수소산업과의 연계성 확인

제조업 중분류 기준 2017년 생산액 10조 원 이상의 유일한 업종은 ‘자동 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으로 인천의 최상위 주력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과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 장비 제조업’이 큰 증가세를 보이는 이유는 바이오 대기업 및 반도체 대 기업의 연이은 인천지역 투자유치 성공에서 발전 요인이 발견된다.

하지만, 아직 바이오산업이 주력업종이라고 할 수는 없으며, 품목 중심의 타겟산업 육성정책에서 제조업 전반의 융·복합적 고도화 방식으로의 정책 전환을 하거나 신규 유망산업의 원부자재 및 부품 설비가 지역 내에서 공급될 수 있도록 기존 중소제조업의 업종 전환 또는 역량 강화를 위해 인천시의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

인천시의 입지여건을 통해 산업현황 및 제조업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 를 수소산업 연계를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 인천 지역적 특수성

인천광역시는 항만과 국제공항을 보유하고 있어 인적·물적 자원 수송에 있 어 국내·외 여타 도시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

가. 인천항만

인천광역시는 128개의 선석을 접안할 수 있는 인천항만 보유

인천광역시의 항만은 북항, 내항, 남항, 연안항 등이 있으며 인천신항 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여객부두는 2개소로 연안여객부두, 국제여객부두가 있으며 현재 접안능력 6선석(최대 1만 2천 TEU급 등), 하역능력 210만 TEU/년 규모의 인천신항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구분 접안능력

부두길이(m) 하역능력

선박규모(DWT) 선석(개) BULK(천RT) CONT(천TEU)

신항 2,000~3,000TEU 6 1,600 - 2,100

내항 2,000~50,000 46 9,838 38,161

-남항 2,000~100,000 28 3,841.5 17,600 1,100

연안항 500~50,000 9 1,429 -

-북항 5,000~100,000 26 6,421 13,900

-송도 3,000~75,000 4 1,300 -

-영흥도 1,000~200,000 5 1,126 14,690

-거첨도 5,000 4 675 8,320

-계루시설 - - 2,505 -

-합계 128 28,735.5 92,671 3,210

자료 : 인천항만공사 [표 Ⅲ-23] 인천항 현황

두 번째로 높은 물동량을 처리하고 있음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을 기준으로 볼 때, 인천항은 3,048천 TEU(전국항의 11.1%) 수준으로 부산항에 이어 두 번째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증가율 (13.8%)을 보이고 있다.

구분 2016년 2017년

수출입 환적 전체 수출입 환적 전체 비중 증감율

전국물량 15,414 10,329 26,005 16,311 10,710 27,468 100.0 5.6 인천항 2,655 16 2,680 2,978 24 3,048 11.1 13.8 부산항 9,620 9,836 19,456 10,186 10,225 20,493 74.6 5.3 광양항 1,806 443 2,250 1,754 442 2,233 8.1 -0.7

평택항 611 12 623 636 5 643 2.3 3.2

울산항 412 11 423 453 2 466 1.7 10.7

자료 : 해양수산부(2017), 항만별 컨테이너 화물처리 실적

[표 Ⅲ-24] 국내 주요 항만별 컨테이너 물동량 현황(단위 : 천TEU, %)

인천항 물동량은 최근 10년 동안 연평균 1.7% 소폭 증가하였으나, 내항물 동량은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5.3% 감소하였다. 내항물동량이 인천 항만 물동량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2008년 27%에서 2017년 14%로 감소하였다.

내항의 비중은 20% 미만으로 하락하였으며, 인천 신항 컨테이너 터미널 개 장 시 컨테이너 물동량이 내항으로부터 급격하게 이탈할 것이 예상되고 있 다.

구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6월) 신항 - 296,834 822,309 1,491,887 1,676,739 1,695,274 900,220 남항 1,576,858 1,376,244 1,202,955 1,089,863 966,534 977,635 457,584 내항 549,234 507,154 442,589 236,278 238,367 211,407 81,039

북항 133 1,384 5 14 32 43 35

여객부두 208,714 195,381 211,646 230,374 229,696 207,596 107,602 합계 2,334,939 2,376,996 2,679,504 3,048,415 3,121,368 3,091,955 1,546,479 자료 : 인천항만공사

[표 Ⅲ-25] 인천항 항별 컨테이너 물동량 추이(단위 : TEU)

화물과 여객 수송량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나, 2014년 과 2015년 사이에 급격하게 감소한 이후 2016년에는 반등하였다.

구분 합계 연안여객선 외항선

여객 화물 여객 화물 여객 화물

2011년 2,595,626 1,092,434 1,552,396 683,183 1,043,230 409,251 2012년 2,695,626 1,129,651 1,710,913 736,111 984,713 393,540 2013년 2,700,671 1,721,349 1,782,234 1,338,436 918,437 382,913 2014년 2,447,907 709,243 1,480,271 311,776 967,636 397,467 2015년 2,188,775 709,225 1,375,366 317,196 813,409 392,029 2016년 2,284,244 1,092,130 1,363,853 676,696 920,391 415,434 자료 : 인천광역시(2016), 인천광역시 기본통계

[표 Ⅲ-26] 인천항 여객선 수송량(단위 : 명, 톤)

나. 인천국제공항

409만 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인천국제공항 보유

인천국제공항은 국내 항공물류의 중심지이며, 2016년 국제화물 처리실적 에서 4위를 차지하였다. 2018년 기준 7개사가 8개의 화물터미널을 운영하 고 있으며 총 화물처리 능력은 409만 톤 수준이다.

현재 공항물류단지에는 34개 업체가 입주하여 운영 중이며, 21개 화물항공 사가 90개 도시로 취항하여 전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화물 터미널 인근에 물류센터, 배송센터 등을 입지시켜 집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공항물류단지 개발이 2단계까지 완료되었고 3단계 물류단지개발이

2021년 완공 될 예정이다.

구분 연면적(m²) 처리능력(만톤)

대한항공 제1터미널 73,761 143

제2터미널 37,466 26

아시아나항공 70,509 110

외항사 75,805 52

미군사우편시설 1,973 2

국제우편물류시설 33,584 35

DHL 19,947 22

AACT 15,746 19

합계 328,791 409

자료 : 인천국제공항공사 웹사이트

[표 Ⅲ-27] 인천국제공항 화물터미널 운영현황(단위 : m², 만톤)

2017년 기준 연간 36만회 항공편이 운항하였고 6,208만 명을 수송하여 역 대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화물 수송량은 2013년 209만 톤에서 2017년 280 만 톤 수송을 기록하며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구분 항공기 운항 횟수(회) 여객(천명) 화물(천톤)

2012년 254,037 38,970,864 2,456,724

2013년 271,224 41,482,828 3,097,572

2014년 290,043 45,512,099 3,243,111

2015년 305,446 49,281,210 3,330,750

2016년 339,673 57,765,397 3,542,643

2017년 360,295 62,082,032 3,806,251

자료 : 인천국제공항공사(2018), 2017 인천공항 항공통계 분석 보고서 [표 Ⅲ-28] 인천국제공항 항공 운송 현황(단위 : 회, 천명, 천톤)

제2절 권역별 수소산업 잠재력

문서에서 최종보고서 (페이지 140-14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