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행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실태와 문제점

III. 현행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1. 현행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실태와 문제점

제 7차 교육과정 개정과 더불어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들은 이전 교과서와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에 대한 배경과 더불어 어떻게 달라 졌는지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를 통하여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보자.

앞서 연구동향에서도 언급했듯이 제7차 교육과정 개발을 앞두고 많은 연구 자들은 새로운 사회과 교과서의 모형으로 ‘의사결정 모형’과 ‘수준별 교육과정’

을 제시하였다.

이 주장들이 반영되어 김정호(1998)는 제7차 교육과정 개발에 직접 참여하면 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연결시킨 예시안의 기본체제를 [그림 3]과 같이 제시 하고 내용에 따라 변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교육과정> <교과서>

단원(주제)

성취기준

내용 요소

행동 요소

교수ㆍ학습 방법 평가 방법

단원(주제)명

학습 목표

개관(내용ㆍ방법 안내)

학습 자료 내용설명ㆍ 탐구소재

(이론사례화)

과제(학습 활동)

▶ 기본 과제

▶ 선택 과제→ 수준별 학습 안내

정리

(수행 과정 반성) (학습내용 일반화)

[그림 3] 교과서 모형 체제 구성도 자료: 김정호(1998), p.194

이는 사회현상을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의사결정을 학습자 가 해나가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면서 수준별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과서 모형 체제라 할 수 있는데 대체로 이 모형이 반영되어 제7차 교육과정 사회과 교과 서가 개발되었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사회과를 ‘사회 현상을 올바르게 인식하기 위해, 사 회 현상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능을 익히며, 민주 사회 의 구성원에게 요청되는 가치와 태도를 내면화함으로써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 질을 육성하는 교과’로 정의하고 있다.45)

그리고 이에 따른 사회과의 총괄 목표를 [그림 4]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46)

[그림 4] 사회과 총괄 목표의 구성 자료: 조미령(2001), p.12

제 7차 교육과정 사회과 교과서는 이러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 여 국정에서 검정으로 바뀌어 편찬되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제 7차 교육 과정 개정과 더불어 사회과 교과서가 국정에서 검정체제로 바뀌면서 교육부로

45) (주)도서출판 디딤돌, 중학교 1학년 사회 교사용 지도서, 11.

46) 조미령, 2001, 제 7차 중학교 사회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부터 검정 업무를 이관 받아, 1999년부터 검정관리위원회를 설치하고 교과서

제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이러한 변화는 학교 현장에서 교사나 학생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박희두․이은진(2002)49)의 연구에 의하면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사 회교과서에 대한 학생과 교사들의 반응은 대체로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에 대해 학생들은 65.3%, 교사들은 69.4%가 ‘매우 좋다’와 ‘좋다’는 반 응을 보였다. 좋은 점은 이전 교과서에 비해 천연색으로 바뀐 점과 체제의 구 조화가 잘된 점 등을 들고 있다. 교과서의 지질이나 글자의 크기, 내용 구성 체 제 등은 모두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새 교과서에서 고쳐야 할 점으로 학생들은 ‘탐구문제’가 많음을, 교사 들은 ‘내용 구성’을 들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와 개선이 요구된다고 보고 있다.

또한 교과서의 활용 가치에 대해서 학생들은 학습에의 흥미 유발에 대해 미 흡하다는 의견이 높았고, 교사들은 개별 학습의 용이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6차․7차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와 미국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이 용숙․전영미(2002)50)의 연구에서도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는 과거에 비해 개 선의 폭이 상당히 커서 특히 6차와 비교할 때 확실히 차별화되는 외형적인 체 제 개선과 선택학습활동의 제시 및 활동 중심 학습의 강조가 눈에 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미국 교과서와 비교하여, 다양하고 흥미 있는 읽기 자료가 부족하 다는 점, 단원내 주제들 간의 통합뿐 아니라 사회과학내의 통합 혹은 다른 학 문과의 통합이 미흡하다는 점, 문제 해결의 절차에 대한 구체적 안내를 포함하 는 활동의 제시가 미흡하다는 점, 사회과 지적 기능이 본문 내용과의 연계 속 에 충분히 제시되지 않고 있는 점, 그리고 매 차시 활용할 수 있는 심화․보충 과제가 부족하다는 점 등을 지적하고 있다.

위의 두 연구는 사회과 교과서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자들이 획 득해야 할 성취 표준으로서의 핵심적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함은 물론 탐구, 문 제 해결, 의사 결정 등의 자기 주도적 학습 활동에 의한 고등 사고 능력을 함 양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상황이나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며 미래를 준비할

49) 박희두․이은진, 전게서.

50) 이용숙․전영미, 전게서.

소제목 화산의 보물 창고

물론 이러한 구성은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사실이나 개념, 일반화된 지식을 가르치는 데는 충분히 효과가 있을 것이다. 반면 학습 내용에 깊이가 없을 뿐 만 아니라,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교과목을 암기과목으로 인식하게 하여 외워야 할 방대한 내용에 겁을 집어먹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둘째, 탐구활동이 본문 내용과 유리되어 있다.

D교과서의 단원 구성 체계를 보면 몇 개의 소제목이 주어지고 그 소제목과 관련된 내용을 학습한 이후 탐구활동 과제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대체로 본 문 내용에서 다루지 못한 것을 탐구활동 과제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본문 내 용이나 자료에서 해답을 찾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수업 시간 안에 탐구활동 과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관련되는 자료를 찾기 위해 시간을 따로 내 거나 가정학습 과제로 제시해야 하며, 결국 학습 효과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 고 있다.

셋째, 보충과정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7차 교육과정의 내용상 특성은 수준별로 차별화한 내용을 성취 기준 형태로 제시하였다는 점이며, 교과서는 이 특성을 반영하여 구성되었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두 가지 형식인 단계형 수준별과 심화․보충형 수준별 중에서 사회과는 심화․보충형을 적용하였다.51)

이는 학습과정에서, 이해도가 깊은 학생들에게는 동일한 또는 관련되는 교육 내용을 심도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고차적 사고의 기회를 강화하고 넓힐 수 있는 과제를 부여하고, 이해도가 떨어지거나 학습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보 충 과정의 학습자에게는 보다 쉬운 내용과 흥미를 느낄 수 있는 활동 중심의 교육 내용을 제공하여 기본 과정의 학습 결손을 보충할 기회를 주도록 하는 것 이다. 그리고 시간은 기본 과정에 80% 배분하고 나머지 20%의 시간에 심화․

보충 학습을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위의 < 그림 3 >에서 보듯이, 실제 교과서에는 기본과정을 학습한 이후에 심화과정은 제시되고 있으나 보충과정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보충과정이 필요한 학생들을 배려하지 않는 이러한 교과서 구성으로 인해 교사들은 이들을 위하여 따로 보충학습지를 만들어 제공하거나 별도의 시간을

51) 김정호, 1998, 전게서, 166

할애하여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실적으 로, 매번 학습 시간마다 이러한 방법을 취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다 보니 이러 한 학생들은 쉽게 학습에 흥미를 잃어버리고, 그 결과 오히려 더욱 수준 차를 낳게 되는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