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HP를 통해 도출한 다섯 가지 기준들의 최종 중요도를 종합한 것 이 <표 16>이다. 우선, 상위계층의 쌍대비교 결과 소비측면 0.69, 시 장측면 0.31로 추정되어 소비측면이 시장측면보다 상대적으로 소비 자들의 체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하위계층의 쌍대비교 결과, 평균지출액비중이 0.36으로 가장 높고, 구매빈도수 0.30, 물가파급효과 0.19, 소득2분위이하계층 지출액비중 0.13, 가격변동성 0.11 순으로 계측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체감소비자물가에 있어 평균지출액비중과 구매빈도수의 영향력 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요도가 큰 기준일수록 소비자의 체감정도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 을 미치게 된다. 즉, 평균지출액비중을 가중치로 사용하고 있는 기 존소비자물가지수가 어느 정도는 소비자들의 체감을 나타내고 있다 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평균지출액비중 뿐 아니라 소비자 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기준들을 추가로 고려하는 본 연구방법은 엄밀한 소비자체감물가지수 산정에 알맞다고 사료된다.

상위계층 상위계층

중요도 하위계층 하위계층

중요도

최종 중요도 소비측면 0.69

평균지출액비중 0.51 0.36 구매빈도수 0.30 0.21 소득2분위이하

계층지출액비중 0.18 0.13 시장측면 0.31 물가파급효과 0.62 0.19 가격변동성 0.38 0.11

계 1.00 1.00

<표 16> 소비자체감물가지수 가중치 기준별 중요도

<표 16>이 각 항목별 최종 중요도를 계측한 결과를 요약한 것 이 라면, <표 17>∼<표 19>는 의사결정자들을 세 그룹(물가정책전문 가, 물가지수산정전문가, 물가연구전문가)으로 나누어 각 그룹 별 가 중치 기준에 대한 중요도를 보여준다.

<표 17>는 물가정책전문가그룹의 기준별 중요도 순위를 나타낸 것이다. 물가정책전문가들은 평균지출액비중(0.34), 물가파급효과 (0.20), 구매빈도수(0.19), 소득2분위이하계층지출액비중(0.16), 가격변 동성(0.11) 순으로 중요도를 평가하고 있다.

이는 종합한 결과에서 구매빈도수의 중요도가 물가파급효과의 중 요도보다 더 높은 것과 비교할 때 차이점이 있다. 또한 평균지출액 비중과 구매빈도수는 각 0.2씩 중요도가 하락한 반면, 소득2분위이 하계층지출액비중은 0.3, 물가파급효과는 0.1씩 그 중요도가 상승하 였다. 즉, 여타 그룹에 비해 물가정책전문가 그룹에서 평균지출액비 중과 구매빈도수는 덜 중요시하며 소득2분위이하계층지출액비중과 물가파급효과를 중요시 한다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상위계층 상위계층

가중치 하위계층 하위계층

가중치

최종 가중치 소비측면 0.69

평균지출액비중 0.49 0.34 구매빈도수 0.28 0.19 소득2분위이하

계층지출액비중 0.23 0.16 시장측면 0.31 물가파급효과 0.65 0.20 가격변동성 0.35 0.11

계 1.00 1.00

<표 17> 소비자체감물가지수 가중치 항목별 중요도 - 물가정책전문가

<표 18>은 실제 소비자물가지수의 산정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 그룹의 가중치 항목별 중요도이다. 이 그룹에서의 기준별 순위를 살 펴보면 평균지출액비중(0.38), 구매빈도수(0.22), 물가파급효과(0.17), 가격변동성(0.14), 소득2분위이하계층지출액비중(0.09) 순이다.

이는 종합한 결과에서 소득2분위이하계층지출액비중의 중요도가 가격변동성의 중요도보다 더 높은 것과 비교하였을 때 차이점이 있 다. 또한 소득2분위이하계층지출액비중과 물가파급효과는 종합한 항 목별 중요도에 비해 각 0.04 와 0.02 만큼 하락한데 비해, 평균지출 액비중은 0.02, 구매빈도수는 0.01, 가격변동성은 0.03만큼 상승하였 다. 즉, 여타 그룹에 비해 소비자물가지수의 산정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 그룹에서는 소득2분위이하계층지출액비중과 물가파급효과를 덜 중요시하며 평균지출액비중과 구매빈도수, 가격변동성을 더 중요 시 한다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상위계층 상위계층

순위 평균

제 5장 체감가중치 및 소비자체감물가지수 산정 결과

제 1절 체감가중치

4장에서 구한 다섯 가지 기준의 중요도를 활용하여 소비자체감물가 지수의 산정에 필요한 체감가중치를 도출할 수 있다. 다섯 가지 기준 을 활용한 체감가중치와 기존가중치를 비교한 것이 <표 21>이다.

기존가중치와 체감가중치가 같은 경우에는 현 소비자물가지수가 소비자들의 물가변동에 대한 체감정도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가중치와 체감가중치 사이에 차이가 발 생할 경우에는 현 소비자물가지수가 소비자들의 체감정도를 왜곡하 게 된다.

기존가중치가 체감가중치 보다 더 큰 품목으로는 김치, 분유, 빵, 아이스크림, 과실주, 우유 등이 있다. 전체 가공식품 품목 54개 중 20개가 이에 해당한다. 기존가중치는 이들 품목의 가격 변화에 대해 소비자들이 실제 체감하는 정도보다 더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기존가중치는 소비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도보다 더 큰 가 중치를 부여함으로서 현 소비자물가지수를 왜곡하고 있다.

반대로 체감가중치가 기존가중치보다 큰 경우를 살펴보자. 이에 해 당하는 품목은 소금, 밀가루, 기능성음료, 당면, 초코파이 등으로 전 체 54개 중 34개 품목이 이에 해당한다. 평균지출액비중만을 사용하 여 도출된 기존가중치의 경우 소비자들의 주관적인 물가에 대한 민 감도를 실제보다 무시하게 되는데 이들 품목이 이에 해당한다. 즉, 기존가중치는 해당품목에 대한 소비자들의 민감도를 과소평가함으 로서 현 소비자물가지수의 왜곡을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두 가중치 사이에 발생하는 차이의 크기에 대해 나타낸 것이 <표

품목 기존가중치 2011년도

생선통조림 1.1 1.5 35.16

기울기가 1인 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직선의 왼쪽에 위치한 품목들 은 <표 21>에서 증감률이 음수에 해당하는 품목들로서 기존가중치 가 체감가중치보다 큰 품목이다. 그래프에서 눈에 띄는 품목은 우유 와 빵이다. 대부분의 품목들은 (3,3) 좌표 안에 위치하고 있는데 우 유와 빵의 경우에는 각 (4.1,5.8), (3.0,4.6)으로 다른 품목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가중치를 가지고 있다. 이는 가공식품의 소비자물가 지수를 산정 시 다른 품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 로 예상된다. 기울기 1 직선의 오른쪽에 속하는 품목은 체감가중치 가 기존가중치 보다 큰 경우에 속하는 품목들로서 두부, 초콜릿 등 이 이에 해당한다.

<그림 2> 체감가중치와 기존가중치의 크기 비교

현 소비자물가지수의 가중치는 5년 마다 한 번씩 개정되므로 이로 인한 편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중치가 5년 동 안 고정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비자물가지수의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 매년 체감가중치를 도출하였다.

2005년부터 2011년 기간 동안의 체감가중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간 동안의 다섯 가지 기준별 값이 필요하다. 우선, 평균지출 액의 경우 각 연도별 ‘가계동향조사’를 통해 품목별 지출액을 계산 하였다. 이 산출방법의 타당성에 대해 검토해 보기 위해 2010년 평 균지출액비중을 가중치로 사용하고 있는 기존가중치의 값과 2010년

‘가계동향조사’를 사용하여 도출한 평균지출액값을 비교해 본 결과 두 가지 경우에서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두 번째 기준인 구매빈도수는 매 해 같은 값으로 고정 시켰다. 본 연구에서 폼목별 소비자들의 구매빈도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한 자료는 농촌진흥청에서 발표하는 2010년 ‘농식품 소비자패널조사 데 이터’인데, 이 데이터는 2010년을 대상으로 처음 만들어졌으므로 그 이전 기간에 대한 자료를 구할 수가 없었다. 2011년에 대한 데이터 의 경우에도 아직 데이터를 완성한 상태가 아니었으므로 2010년의 구매빈도수를 그대로 원용한 것이다. 구매빈도수 기준에 대한 중요 도는 0.21로서 평균지출액 비중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값이므로 이 에 대한 연도별 데이터를 구할 수 있다면 소비자체감물가지수를 좀 더 정교하게 얻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구매빈도수에 대한 데이터 는 농업진흥청에서 2010년 이후로 계속 구축하고 있으므로, 2010년 이후의 소비자체감물가지수 추정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 로 예상한다.

세 번째 기준인 소득 2분위이하계측 지출액 비중의 경우, 평균지출 액비중과 같이 ‘가계동향조사’를 근간으로 계산되는 것이기 때문에 각 연도별 값을 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네 번째 기준인 물가파급효과를 한국은행의 2009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한국은행은 산업연관표를 4년을

품목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간장 0.6 0.6 0.6 0.7 0.7 0.7 0.7 고추장 0.6 0.6 0.6 0.5 0.5 0.5 0.6 고춧가루 1.6 1.7 1.6 1.5 1.6 1.4 2.0 과실주 0.2 0.2 0.3 0.2 0.2 0.2 0.2 과실통조림 0.6 0.7 0.6 0.6 0.7 0.7 0.6 주기로 발표하고 있으므로 연도별 체감가중치 산정 시 물가파급효 과 기준에 대한 값은 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가격변동성 기준에 대한 값은 해당 연도를 기준으로 하여 5년 간 해당 품목의 변이계수를 추정한 값을 사용하였다. 즉, 2011년의 가격변동성 값은 2006년부터 2011년 동안의 변이계수 값 이고, 2010년의 가격변동성 값은 2005년부터 2010년 동안의 변이계 수 값을 사용한 것이다.

<표 22>는 다섯 가지 기준에 대해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연도 별 체감가중치를 도출한 것이다. <표 22>를 살펴보면 총 세 가지 추세가 있는데, 첫 번째는 2005년부터 2011년까지의 시간변화와 상 관없이 체감가중치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해당하 는 품목으로는 과실주와 두유 등이 있다.

<표 22>는 다섯 가지 기준에 대해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연도 별 체감가중치를 도출한 것이다. <표 22>를 살펴보면 총 세 가지 추세가 있는데, 첫 번째는 2005년부터 2011년까지의 시간변화와 상 관없이 체감가중치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해당하 는 품목으로는 과실주와 두유 등이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