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5장 중국의 농산물 품목별 지역분포 변동요인

제1절 분석의 시각

농업지역의 형성은 자연적인 요인과 사회경제적인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타 지역에 비해 특정 작물의 재배면적 또는 생산량 이 대량으로 집중된 지역’으로 정의할 수 있는 주산지의 형성 요인과 과 정 역시 이들 요인을 중심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농업 생산은 사람과 자연계가 상호 교류하는 생산부문으로서 자연자 원 조건, 특히 빛, 온도, 수분, 토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자 연자원 조건은 주산지의 형성과 발전에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영 향 요인이다. 자연지리적 측면에서 보면 농작물의 주산지 변동은 해당 농작물의 생산이 최적지역으로 집중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농작물의 주산지 변동은 개혁개방 이후 농가토지도급경영제 가 도입되어 농가들이 작목 선택의 자유를 가지게 된 것이 중요한 계기 이다. 중국의 경제체제가 시장경제체제로 전환된 이후 농민들은 작목 선 택시 수요변화, 투입재와 생산물의 가격 변동, 소비시장의 근접성 등 경

제적 요인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하는데 점차 익숙해졌다. 특히 품목별 상대적 수익성은 농가와 지역 단위의 작목 선택에서 중요한 변수로 부상 하였다. 중국 농업에서도 경제적 요인이 특정 품목의 주산지 형성과 변 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중국에서 농작물의 주산지 형성과 변동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은 정책적 요인이다. 굳이 중국이 아니더라도 한 국가에서 농작물의 주산지 형성과 변동 과정에서 정책변수는 중요한 영향요인의 하나이다.

그러나 정치적으로는 사회주의, 경제적으로는 시장경제를 결합한 사회주 의시장경제체제를 표방하고 있는 중국에서 정책변수는 좀 더 특별한 의 미가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중국의 농가토지도급경영제는 토지소유권 과 사용권의 분리를 전제로 한 농촌 토지제도에 근거한다. 농가토지도급 경영제의 실시는 농민으로 하여금 작목선택의 자율권을 보장하였지만 토지소유권과 토지사용권이 분리된 토지제도로 인해 이러저러한 이유로 토지사용권이 제약될 경우 농민들의 자율적인 의사결정 또한 제약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장에서는 주산지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자연지리적 요인, 경제적 요인, 정책적 요인으로 대별하여 중국의 농작물 품목별 주 산지 변동 요인을 분석한다. 다만 선험적으로 사회주의시장경제체제라는 중국 특색의 제도적 특성상 중국의 농작물 품목별 주산지 변동에서 정책 적 요인이 좀 더 규정적인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자료를 최대한 제시하는데 주력하고자 한다.

제2절 자연지리적 요인 1. 식량작물

가. 쌀

중국의 식량작물을 대표하는 쌀은 최대 생산지역인 장강중하류와 함 께 남부연해와 서남내륙 등 남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밀 생산은 북부지역 황하중하류와 남부지역 장강중하류에 집중되어 있다. 옥수수 생산은 북부지역 황하중하류, 동북3성 그리고 서북지역에 집중되어 있 다. 대두는 북부지역인 동북3성과 황하중하류이 대표적인 생산지역이다.

중국의 쌀 생산은 1980년 이후 남다북소(南多北少)의 주산지구조가 기 본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남부지역의 비중이 점차 감소하고 북부 지역(특히 동북3성)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동 북3성은 기후조건에서 작물생장기 기온의 안정성이 크게 떨어져 적산온 도 또는 평균온도의 연간 변화율이 20%에 달하며 이로 인해 한해(寒害) 피해가 심하다.

표 5-1 중국 동북지역의 토지개발 잠재력

단위: 만 ha, % 갈대

지역 간석지 황무지 염지 소택지 모래땅 나대지 합계

개발 잠재면적 59.8 165.4 570.4 56.0 345.5 46.6 3.1 1,246.8 개발 가능면적 9.0 66.2 456.3 39.2 51.8 14.0 2.5 639.0 개발 가능비율 15.0 40.0 80.0 70.0 15.0 30.0 80.0 51.2 자료: 石玉林主编(2007), p.106에서 인용

그러나 동북3성은 쌀 생장조건은 남부지역에 비해 불리하지만 토지개 발 잠재력은 풍부하여 생산확대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표 5-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북지역의 토지개발 잠재력은 1,247만 ha, 이 중 실제 개발이 가능한 면적은 약 640만 ha 정도이다. 이는 2006년 동북 지역 농작물 재배면적 1,650만 ha의 약 40%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1980년 이후 동북3성의 쌀 재배면적이 빠른 속도로 증가한 것은 개간

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주로 ‘흑룡강 농간계통(农垦系统)’20)에서 이루

불과하여 수자원 부족이 농업생산의 가장 커다란 제약요인이다. 이 지역 의 1인당 수자원 점유량은 전국 평균의 1/4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 지역 은 쌀 재배에 부적합하고 밀과 옥수수가 비교우위 작물이다. 황하중하류 지역의 밀 생산 집중은 자연지리적 조건에 기초한 적지적작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다. 옥수수

중국의 옥수수 생산은 최대 주산지인 황하중하류와 서남내륙지역의 비중이 감소하고, 동북3성과 서북·청장고원의 비중이 증가한 것이 주요 특징이다. 동북3성-내몽고자치구-황하하류(황회해)-서남지역을 잇는 중국 의 옥수수 생산벨트는 세계 3대 황금 옥수수벨트의 하나로 옥수수 주산 지이다.

1980~2009년 동안 중국의 옥수수 재배면적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동 북3성과 내몽고자치구의 옥수수 재배면적이 최대 주산지인 황하중하류 지역보다 크게 증가함에 따라 동북3성과 내몽고자치구를 포함한 서북·

청장고원의 비중이 증가한 반면 황하중하류는 감소하였다. 같은 기간 흑 룡강성과 길림성의 재배면적 증가 규모는 각각 211.7만 ha, 126.7만 ha로 전국 1위와 3위를 차지하였다. 서북·청장고원에 속한 내몽고자치구는 179.5만 ha로 2위를 차지하였다.

라. 대두

중국의 대두 생산은 황하중하류지역의 재배면적 점유율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동북3성(주로 흑룡강성)과 서북·청장고원지역(주로 내몽고자치 구)의 생산 집중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동북3성과 내 몽고자치구를 아우르는 북부 봄대두 생산지역은 독특한 자연조건 때문

에 유분(油分) 형성과 축적에 유리하고 함량이 높아 전통적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고함유(高油) 대두의 주산지이다. 송눈평야, 삼강평야, 요하평 야에 위치한 동북3성과 내몽고자치구는 위도가 높고 일교차가 크며 토 양이 비옥하고 우기와 여름철이 겹쳐 유분의 축적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대두는 황하하류의 여름대두지역과 남부 대두지역에 비해 기름함유량이 1~2% 포인트 높아 고함유 대두의 생산잠재력이 매우 큰 주산지이다. 동북3성과 내몽고지역은 재배면적, 단수, 총생산량, 품질과 상품화율 등 중국의 대두 생산에서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두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원예작물 및 축산물

가. 채소류

중국은 국토면적이 넓고 다양한 기후대가 존재하기 때문에 자연지리 적 조건에 기초하여 계절별 채소 주산지가 형성되었다. 이로 인해 전국 적인 범위에서 채소류의 주년 생산이 가능하다.

먼저 황하(黃河)·회하(淮河)유역, 강소성과 안휘성 북부, 산동성과 하남 성 남부지역은 봄 채소 주산지이다. 초봄에 신선채소를 생산하여 전국에 공급한다. 6개 농업지역 구분법에 의하면 황하중하류와 장강중하류에 포 함되는 지역이다.

다음으로 여름·가을 채소 주산지는 두 곳이다. 북경시 연경현(延慶縣), 하북성 장가구시(張家口市) 및 승덕시(承德市), 내몽고자치구는 여름철과 가을철에 신선채소를 생산하여 주로 북경과 천진의 소비시장에 공급한 다. 서북지역의 내몽고자치구를 제외하고 모두 황하중하류에 속하는 지 역이다. 한편 섬서성, 감숙성, 영하자치구, 내몽고자치구, 황토고원지대, 황하유역 관개지구, 산서성 중부지역은 고원(高原) 기후를 이용하여 채소

를 생산하며 주요 소비지인 동부지역에 공급한다. 이른바 ‘西菜东运(서부 지역에서 채소를 생산하여 동부지역으로 운송)’ 채소 생산기지이다. 내몽 고자치구, 감숙성, 영하자치구는 서북지역, 섬서성, 황토고원지대, 황하유 역 관개지구, 산서성은 황하중하류지역에 속한다.

산동성, 하북성, 하남성은 유명한 가을 채소, 특히 가을배추 주산지로 이 지역에서 생산된 가을배추는 전국으로 공급된다. 이들 3개 성(省)은 중국의 대표적인 채소 주산지 성(省)이며 모두 황하중하류지역에 속한다.

마지막으로 중국 남부지역에 위치한 해남성, 광서자치구, 운남성, 사천 성, 광동성 서부, 복건성 동남부는 온화한 동절기 기후를 이용하여 과채 류 및 엽채류를 생산하여 북부지역에 공급한다. 해남성, 광서자치구, 광 동성, 복건성은 남부연해, 운남성과 사천성은 서남내륙지역에 속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5대 계절별 채소 주산지는 지역별 기후조 건에 기초하여 형성되었으며 대부분 황하중하류지역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황하중하류지역이 채소 생산의 집중도가 높은 것은 다른 지역에 비해 자연지리적 조건상 비교우위가 발현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나. 과실류

1) 사과

1980년 이후 중국의 사과 생산은 전통적인 주산지인 발해만지역의 재

1980년 이후 중국의 사과 생산은 전통적인 주산지인 발해만지역의 재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