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가구 및 가구원 특성

○ 가구의 일반적 특성

-1인 가구와 2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5년 1인 가구는 26.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음.

- 세대 구성을 살펴보면 2세대로 구성된 가구가 49.5%로 가장 많았음.

○ 가구원의 일반적 특성

- 연도별 성비 변화는 거의 없으며, 2015년 원표본 기준 남자 49.8%, 여자 50.3%, 통합표본 기준 남자 49.7%, 여자50.3%

로 여자가 남자보다 약간 많음.

- 조사가 장기화되면서 50세 이상의 연령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08년에 비해 기혼(유배우)은 감소하고 이혼, 별 거, 사별한 가구원의 비율이 증가하였음.

- 또한 분가 가구, 출생 자녀의 연령 증가에 따라 미혼인 가구원 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으며, 교육 수준 역시 대학교 졸업 이상 의 학력을 가진 가구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음.

⧠ 이탈 가구 분석

○ 이탈 가구와 유지 가구의 특성 차이

- 2008년 대비 4인 가구일수록,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서울, 인천, 경기 수도권 지역에 거주할수록 이탈률이 높게 나타남.

- 2014년 대비 3세대 가구일수록,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이탈

률이 높게 나타나나 가구 특성별로 이탈 가구와 유지 가구의 차이가 크지 않음.

○ 이탈 가구와 유지 가구의 의료 이용 및 의료비 지출 차이

- 이탈 가구의 2014년 응급·입원·외래 의료 이용률은 유지 가 구보다 낮게 나타남.

- 그러나 이탈 가구의 2014년 의료비는 유지 가구보다 높게 나 타나는데, 이는 의료비 지출이 매우 높은 가구가 탈락하기 때 문으로 예상됨.

⧠ 질병 이환 현황 및 유병 상태

○ 질병 이환 현황

- 2015년 데이터에 포함된 6,607가구 1만 8,130명 중 5,777 가구 1만 89명이 1개 이상의 질환을 앓고 있다고 응답함.

- 이들이 앓고 있는 질환 종류는 한국표준질병․사인 분류 (KCD-6)의 소분류(3단위 분류) 기준으로 총 431개이고 질환 건수는 총 2만 8,766건임.

- 다빈도 질환은 한국표준질병․사인 분류(KCD-6)의 대분류를 기준으로 볼 때, 근육골격계통․결합조직의 질환(M00-M99), 순환기계통의 질환(I00-I99), 내분비․영양 및 대사질환 (E00-E90), 소화기계통의 질환(K00-K93), 호흡기계통의 질 환(J00-J99) 순으로 질환 건수가 많음.

- 한국표준질병․사인 분류(KCD-6)의 소분류를 기준으로 질환 건수2)가 1%를 초과하는 질환은 총 22개이며, 최다빈도 질환 은 흔히 고혈압으로 일컫고 있는 본태성(원발성) 고혈압(I10)

으로 전체 질환 건수의 12.4%를 차지함.

관절병증(38.6%), 고지혈증(24.4%), 당뇨병(19.6%) 순으로 빈도가 높음.

- 18세 이상 조사 대상 가구원 중 고혈압과 당뇨병을 동시에 앓 고 있는 동반질환자는 6.4%이며, 가구원 중 고혈압과 당뇨병 을 동시에 앓고 있는 가구원 수가 1명 이상인 가구는 전체 가 구의 13.4%를 차지하고 있음.

○ 가구원 특성별 주요 만성질환 유병 상태

- 가구원 특성별 주요 만성질환 유병률를 살펴보면 남자 28.0%, 여자 34.0%로 여자에게서 더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연간 가구 소득 5분위 중 1분위에서 특히 높은 수준을 보임.

- 전체 가구원 중 31%가 1개 이상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65세 이상 연령대에서는 86.4%가 1개 이상 질환을 앓고 있음.

⧠ 의료 이용 및 의료비 지출

○ 가구의 연간 의료 이용 및 의료비 지출

- 가구의 응급·입원·외래 의료 이용률은 응급·입원 혹은 외래를 이용한 적이 있는 가구원이 있는 가구의 비율로 측정되었음.

- 2015년 원표본 기준 응급(20.1%), 입원(27.2%), 외래(97.4%) 와, 통합표본 기준 응급(19.5%), 입원(26.5%), 외래(97.5%)의 이용률은 전년 대비 변동이 없거나 약간 감소함.

- 가구의 평균 의료 이용 횟수는 응급, 입원 혹은 외래별로 의료 이용이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평균 횟수를 산출하였음.

- 각 연도별 응급과 입원의 평균 의료 이용 횟수는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외래 이용 횟수는 최근 감소 추세임.

- 가구의 연간 의료비 추이를 보면 꾸준히 증가하다가 최근 들어

가하였음.

복약을 중단하는 것으로 조사됨.

⧠ 건강 행태와 건강 수준

○ 주요 건강 행태의 변화

- 주요 건강 행태 중 현재 흡연율과 고위험 음주율, 중등도 이상 (걷기 포함) 신체활동 실천율의 변화 추이 분석 결과, 현재 흡 연율, 고위험 음주율은 2009년 대비 모두 감소함.

 흡연율은 최근 거의 변화가 없고, 고위험 음주율은 2013년 대비 약간 증가함.

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009년 대비 감소하였으나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음.

○ 가구원 특성에 따른 주요 건강 행태 차이

- 2015년 연간 데이터에서 나타난 주요 건강 행태를 보면, 현재 흡연율은 20.3%, 고위험 음주율은 17.7%,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은 12.7%,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은 13.8%로 나타남.

- 현재 흡연율은 여자보다 남자에서 더 높았고 남자의 경우 30~50대, 고등학교 졸업의 학력을 가진 경우 높게 나타났지 만, 여자의 경우 연령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고 중학교 졸업 의 학력을 가진 경우 높게 나타남.

- 고위험 음주율도 여자에 비해 남자가 더 높았고 남자는 40~50대에서, 여자는 20~40대에서 높았지만 여자의 경우 60세 미만에서는 연령별 차이가 크지 않았음.

-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과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은 여자보 다는 남자가 높았음.

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은 소득 수준이나 교육 수준이 높을 수록 높았지만,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은 교육 수준이 낮을 수록 높았음.

 격렬한 신체활동은 20대에서 가장 높았고, 50대 이하의 연 령층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중등도 신체활동은 50대에서 가장 높았고, 상대적으로 50~60대 고연령층에서 높게 나타남.

- ADL 장애율과 IADL 장애율, ADL/IADL 전체 장애율로 활동 제한을 분석하였으며, 55세 이상 가구원의 ADL 장애율은 3.2%, IADL 장애율은 11.1%, ADL/IADL 전체 장애율은 11.2%로 나타남.

○ 복합적 건강 위험 행동

- 주요 건강 행태인 흡연, 고위험 음주, 신체활동의 복합적인 건강 위험 행동 양상을 파악한 결과, 2015년에 흡연과 고위험 음주를 하고 운동이 부족한 집단은 5.1%이며, 세 가지 건강 위험 행동 을 모두 하지 않은 건강한 집단은 29.0%로 나타남.

-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집단은 운동이 부족한 집단으로 36.4%를 차지함.

4. 결론

⧠ 연구의 의의

○ 2015년 한국의료패널 기초분석보고서(Ⅱ)는 2017년에 진행된 한국의료패널 조사 개요를 보고하고 2015년 연간 데이터 자료를

활용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음.

○ 2015년 한국의료패널 기초분석보고서(Ⅱ)는 정책 기여도가 높은 심층 분석 연구가 수행될 수 있도록 기초 근거 자료를 제공하였음.

○ 질병 분류, 질병 이환 및 유병 상태에 대한 기준을 수립하였으며, 주요 만성질환을 선정하여 각 질환별로 의료 이용과 의료비 지출 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선정 기준과 근거를 제공하였음.

○ 2015년 한국의료패널 기초분석보고서(Ⅱ)는 주요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제시하여 가독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가구 및 가구원 특성별 질병 이환, 의료 이용 및 의료비 지출, 건강 행태와 건강 수준은 부록에 표로 제시하여 독자가 활용하기 쉽도록 구성하였음.

○ 한국의료패널 조사의 방대함에 비하여 지면은 제한돼 있어 내용 상 우선순위를 선정하였음. 연구진 회의 및 자문회의를 통해 기초 분석보고서 포함 내용 및 분석 방향, 추가 산출이 필요한 통계지 표 등에 대한 논의를 구체화하는 노력을 지속하겠음.

*주요용어: 한국의료패널, 만성질환, 의료 이용, 의료비, 건강 행태

서 론

제1절 한국의료패널 구축 배경 및 목적 제2절 2017년 한국의료패널 조사 개요 제3절 2015년 한국의료패널 기초 분석 개요

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