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종합: 농촌학교의 활성화 요인

◦ 농촌학교의 사례조사를 통해 농촌학교 활성화에는 혁신을 주도한 교장의 리더십, 그 리더십을 따라주는 교사, 이들 학교 구성원이 만들어낸 농촌형 프로그램, 지역주민의 활발한 학교 운영 참여가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설문조사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농촌학교 활성화에는 학 교의 도시와의 접근성도 중요한 요인이었지만, 교사가 한 학교에 오래 근무 하면서 농촌 학생에 대한 높은 기대 수준과 함께, 전문성(학생 이해, 소규모 학급 운영, 학부모와의 교류, 지역자원 활용)을 발휘하면서 학교 변화를 주 도하고, 학교장은 학교 발전의 비전을 설정한 후 지역주민과 교류를 통해 학교 운영에 참여시켰고, 지역주민은 높은 혁신 의식을 바탕으로 학교 운영 에 적극 참여하였고, 학교 운영에 필요한 재정, 인력, 시설·장비 등의 지원 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활성화된 학교는 정규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해 자존감 회복, 직업체험, 문화·예술, 지역배우기, 학생자치/동아리, 방과 후 공부방 프로그램 등 도시에서는 사교육으로 보충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은 공교육을 통해 모두 제공하고, 학생들의 학업/진로와 관련한 학부모 상담, 각종 사회교육 프로그램 등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의 평생교육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 농촌학교 활성화에는 혁신을 주도할 교장의 리더십(역량)이 무엇보다 중요 하다.

- 폐교 직전이던 학교가 불과 몇 년후 학생이 너무 몰려 도시 학생이 오고 싶어도 올 수 없는 학교로 바뀐 경우, 그 이면에는 학교 변화를 주도적으 로 이끈 교장의 리더십이 있었다.

- 교사에게 초임시절 가졌던 교육에 대한 열정을 다시 불러 일으키고, 이 들을 움직여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실현하여 학생의 기초학력을 증진 시키고,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전인 교육을 실현하고, 나아가 학부모

와 지역주민과의 교류 그리고 이들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이 들이 학교 운영과 활동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함께 만들어 가는 학교를 만들었다.

- 학교 활성화 초기에는 이끌어가는 리더십이 중요하지만, 어느 정도 활성 화된 후에는 혁신적 학교 문화의 정착을 위해 교사에 대한 권한위임과 학부모와 지역의 지속적 참여를 유도하는 리더십이 필요하였다. 특히 교 사가 자신의 소신을 펼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중요한데, 활성화 이후에 는 교장이 중심에 서지 않고 환경 조성의 리더십을 발휘함으로써 혁신의 분위기가 학교 풍토로 자리잡도록 하였다.

◦ 농촌 교육에 열정을 발휘하는 교사가 필요하다.

- 상당수 농촌학교의 활성화가 교장의 리더십이 먼저 있었기에 가능했지 만 교사들이 그 리더십에 동참하여 교육에 대한 열정을 발휘하여 학교의 변화를 만들어 냈다. 특히 도시 아이, 학부모와 비교해 자신감이 부족하 고 패배감에 사로잡혀 있는 농촌 아이와 학부모를 이해하고 오히려 이들 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고, 농촌은 떠나야 할 곳이 아닌 소중한 삶의 터전 이며, 미래를 한번 걸어볼 만한 곳임을 깨닫게 해주는 교사가 있기에 학 교 변화가 가능했다. 또한 학생의 학업이나 진로와 관련하여 학부모와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교육 활동에 적극적으로 지역의 자원을 활용함으 로써 지역 특성이 반영된 농촌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학교 운영이 되도록 하였다.

- 강력한 리더십을 지닌 혁신적인 교장이 떠나간 이후에도 학교가 지속적 으로 활성화되는 데에는 무엇보다 학교의 의사결정이 상향식으로 이루 어지는 학교 풍토를 만들고 지켜낸 교사의 노력이 필요했다.

◦ 농촌에도 아이들이 미래(희망)를 꿈꾸게 하는 농촌형 교육 프로그램이 구현 되어야 한다.

- 활성화된 농촌학교는 도시 학교와는 달리,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가정

에서의 돌봄 기능이 가미된 방과 후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학생의 기초학력 증진과 더불어 사교육 없이는 힘든 다양한 특기 적성 교육을 학교에서 제공하고 있었다.

- 자존감 회복을 위한 인성 교육, 다양한 직업에 대한 경험을 통해 성공해 야 하는 이유,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발견하게 하고 있었다. 농업·농촌의 다원적 가치 및 지역의 성공사례 등 지역 배우기, 지역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농촌은 떠나야 할 곳이 아니라, 살만한 곳이고 희망이 있는 곳이라 는 인식을 심어주고 있었다. 또한 농촌 지역사회의 사라져가는 문화를 발굴, 보존하고, 이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농촌형 교육 프로그램을 구현하 고 있었다.

◦ 주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지역이 함께하는 농촌학교를 만들어야 한다.

- 농촌학교의 혁신이 지속적이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학교를 혁신시킨 교장과 교사가 다 떠나가더라도 지역주민의 혁신적 참 여가 보장된다면 그 학교의 활성화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 한 지역주민 참여 풍토 조성을 위해 대부분의 활성화된 학교는 먼저 지 역주민에게 다가가고 있었다. 학교에서 학생을 위한 질 높은 교육 프로 그램을 제공하고, 동시에 그 프로그램의 운영에 학부모와 지역주민을 참 여시키고 있었다.

- 농촌학교를 학생을 위한 교육 이상의 장소로 활용하고 있었다. 오후 5시 이후에도 지역주민이 이용할 수 있게 시설을 개방하고, 방과 후나 주말 등을 이용하여 학부모와 지역주민을 위한 평생 교육의 장을 마련하고 있 었다. 특히 아이들에 대한 지식과 더불어 아이들을 대하는 태도 교육, 아 이들 문제에 대한 상담 지원을 통해 학부모로서 자녀 교육에 대한 자신 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었다.

5

농촌 발전을 위한 농촌학교 역할 강화 방안

◦ 이 장에는 농촌학교 활성화 사례 조사와 농촌학교 대상 설문 조사, 농촌학 교 교육 관련 전문가 면담 등을 토대로 앞으로 농촌 발전과 농촌학교의 연 계 강화, 즉 농촌 발전을 위한 농촌학교의 역할 강화 측면에서 추진되어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1. 기본 방향

◦ 농촌 발전과 농촌학교 활성화의 관계를 재정립해야 한다.

- 귀농·귀촌 인구가 많아져 지역이 살아남으로써 농촌학교가 살아나기도 하 지만, 농촌학교가 살아나 농촌 지역이 다시 활력을 되찾기도 한다.

- 지금까지 농촌학교 문제를 농촌 활성화를 위한 부차적 문제로 접근한 측 면이 있는데, 최근의 많은 농촌학교 활성화 사례는 학교가 돌아오는 농 촌을 위해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농촌 지역 공동체를 다시 살리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농촌학교를 살리는 것이다.

- 학교가 존재하면 농촌의 주민은 학교를 중심으로 지역 문화를 생성하거 나 유지할 수 있다. 결국 학교가 존재해야 농촌이 살 수 있으며 농촌의 주민이 존재해야 ‘느끼며 배우며’ 능동적인 농촌 공간이 만들어져 도시 민에게 새로운 배움의 장으로 자리잡으며 다시 찾고 싶은 욕구를 불러일 으킬 수 있다.

◦ 농촌 지역개발 차원에서 농촌학교에 대한 집중 투자가 필요하다.

- 농촌학교가 살면 농촌이 살고, 이를 통해 국가의 균형적 발전이 가능하 다. 도시민 유치에 관심이 많은 농촌 기반 지방자치단체와 농촌 활성화 를 위해 각종 농업·농촌 개발 정책을 수행하는 농림수산식품부는 농촌학 교에 대한 보다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 농촌은 도시와 달리 학교 이외에 사교육, 문화, 체육시설 등의 교육·문화 하드웨어 인프라가 매우 부족하다. 농촌학교에 집중 투자를 통해 학생 및 일반 주민의 교육뿐만 아니라 지역 활성화의 구심점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 농촌학교와 농촌 지역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다양한 사업(프로그램)이 추진 되어야 한다.

- 농촌학교의 방과 후 유휴 시설을 지역의 복지 문제 해결과 지역 발전을 위해 다양하게 활용하고, 지역의 인재로서 농촌학교 교사의 전문성이 충 분히 활용되어야 한다.

- 지역 주민은 지역 살리기 차원에서 각종 학교 활동에 활발히 동참해야 한다. 동시에 농촌 마을은 교육 공간으로서도 활용되어야 한다. 이를 통 해 농촌 지역사회의 강점을 살리고 동시에 지역을 살리는 농촌형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그림 5-1. 농촌 발전을 위한 농촌학교 역할 강화 방안

연계 강화기반

구축

관련 주체역량

강화

연계 프로그램

강화

농촌학교를 통한 농촌 지역 활성화

농촌 발전과 농촌학교의 관계 재정립 농촌학교에 대한 집중 투자

농촌학교와 농촌 지역의 연계 강화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