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성과 기대인식과 LMX의 매개효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2-112)

다음은 Baron &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변수의 조건은

<표 23>과 같으며, 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변수에 대해 독 립변수가 유의해야 한다. 둘째, 종속변수에 대해 독립변수가 유의해야 한다. 셋 째, 종속변수에 대해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동시에 투입되었을 때 이들의 유의 성을 검토해야 한다. 그런데 셋째 단계에서 독립변수의 계수 값이 둘째 단계의 독립변수의 계수 값보다 적으면(유의하면서) 매개변수가 통제됨으로써 독립변수 의 영향력이 줄어들 것이므로 매개변수는 부분 매개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그런 데 만약 셋째 단계에서 독립변수의 계수 값이 유의성을 상실하게 되면 매개변수 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라고 판단되어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표 23> 매개변수의 조건

회 귀 식 조 건

① M = α1 + β1X1

② Y = α2 + β2X1

③ Y = α3 + β3X1 + β4M

1. 회귀식 ①에서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통 계적으로 유의해야 한다(β1이 유의해야 한 2. 회귀식 ②에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통다.) 계적으로 유의해야 한다(β2가 유의해야 한 다.)

3. 회귀식 ③에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종 속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확인해야 한다(β4가 유의해야 한다.)

주) X1 : 독립변수, Y:종속변수, M:잠정적인 매개변수, β:표준회귀계수

(1) 긍정의 LIFT→기대→LMX

먼저 긍정의 LIFT과 LMX를 고성과기대가 매개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24>와 같이 고성과 기대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1 단계는 독립변수에 대해 매개변수를 회귀시킨 결과에서 얻은 회귀계수이다.

긍정의 LIFT이 고성과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5)

2단계는 각 독립변수에 대해 결과변수인 LMX의 회귀 분석한 결과이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3단계는 독립변수인 긍정의 LIFT과 매개변수 고성과기대에 결과변수를 회귀시킨 결과이다. 3단계에서 긍정의 LIFT과 매개변수인 고성과 기대를 동시에 투입하여 LMX와의 회귀식을 분석한 결과 모두 LMX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단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매개변수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매개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표 24> Baron & Kenney의 매개효과 분석(1)

선행변수 매개변수 회귀단계 결과변수

LMX 판단

긍정의 LIFT 고성과 기대

1단계 2단계 3단계(독립) 3단계(매개)

R 2 F

.336* .192 .185 .023 .037 .661

기각

(2) 긍정의 LIFT→기대→부서성과

먼저 긍정의 LIFT과 부서성과를 고성과기대가 매개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25>와 같이 고성과 기대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1 단계는 독립변수에 대해 매개변수를 회귀시킨 결과에서 얻은 회귀계수이다.

긍정의 LIFT이 고성과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5)

2단계는 각 독립변수에 대해 결과변수인 부서성과의 회귀 분석한 결과이 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p=.000)

3단계는 독립변수인 긍정의 LIFT과 매개변수 고성과기대에 결과변수를 회 귀시킨 결과이다. 3단계에서 매개변수인 고성과 기대가 통제되었을 때 선행 변수인 긍정의 LIFT이 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다만 회귀계수 값이 2단계보다 낮게 나타나 (p<0.001).

다만 회귀 계수 값이 2단계보다 3단계가 낮게 나타났지만(2단계>3단계) 매개변수인 고성과 기대와 부서성과와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매개효과가 없다고 해석된다.

<표 25> Baron & Kenney의 매개효과 분석(2)

선행변수 매개변수 회귀단계 결과변수

부서성과 판단

긍정의 LIFT 고성과 기대

1단계 2단계 3단계(독립) 3단계(매개)

R 2 F

.336* .810***

.790***

.058 .638 32.761

기각

(3) 긍정의 LIFT→기대→장인적 직무수행

먼저 긍정의 LIFT과 장인적 직무수행을 고성과기대가 매개하는지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표 26>와 같이 고성과 기대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 과 1단계는 독립변수에 대해 매개변수를 회귀시킨 결과에서 얻은 회귀계수 이다. 긍정의 LIFT이 고성과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p<.05) 하지만 2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 어 매개효과의 조건이 충족되지 못하였고 3단계에서도 매개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6> Baron & Kenney의 매개효과 분석(3)

선행변수 매개변수 회귀단계 결과변수

장인적직무수행 판단

긍정의 LIFT 고성과 기대

1단계 2단계 3단계(독립) 3단계(매개)

R 2 F

.336* .243 -.085

.058 .065 2.187

기각

(4) 긍정의 LIFT→ LMX →부서성과/장인적 직무수행

마지막으로 LMX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동일한 방법으로 3단계 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매개조건 중 가장 첫 번째인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간의 유의성을 검증하는 단계에서 이미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 로 나타나 2단계와 3단계의 진행에 의미가 없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긍정의 LIFT은 부서성과와 장인적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칠 때 LMX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또한 고성과 기대 역시 매개역할을 하기보다는 직접적으로 부서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7> 연구가설 검증결과

가 설 연 구 가 설 가설검증

긍정의 LIFT는 리더의 성과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지

긍정의 LIFT는 LMX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긍정의 성과기대는 LMX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



긍정의 성과기대는 부서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긍정의 성과기대는 장인적 직무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지 기각





LMX는 부서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LMX는 장인적 직무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지지







LIFT와 LMX의 관계는 성과기대가 매개할 것이다.

LIFT와 부서성과의 관계는 성과기대가 매개할 것이다.

LIFT와 장인적 직무수행의 관계는 성과기대가 매개할 것이다.

기각 기각 기각





LIFT와 부서성과의 관계는 LMX가 매개할 것이다.

LIFT와 장인적 직무수행의 관계는 LMX가 매개할 것이다.

기각 기각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본 연구는 제조업과 금융기관(리더)의 긍정의 내재적 팔로워십이 종업원의 부 서성과와 장인적 직무수행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긍정주의와 낙관주의적 리더의 효과가 조직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 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강조되어 오고 있으며, 개인수준뿐만 아니라 조직이나 집 단수준의 성과를 중요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회귀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직접효과를 검증한 가설 가운데, 3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긍정 의 LIFT는 고성과 기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긍정의 성과기대 는 부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LMX는 장인적 직무수행에 긍정적 영향 미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추론하고 있는 매개가설은 모두 증명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현대 기업 경영에 있어서 기업의 성과를 향상 시키기 위해 과정보다는 결과만을 중요시하는 리더보다는 직원들에게 관심과 격 려로 보이며 직원들의 자신감을 고취시켜 동기를 유발시키는 리더가 조직의 성 과에 긍정적인 리더라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고, 개인단위가 아닌 조직과 팀 차 원의 동기부여의 중요성도 다시 한 번 일깨워 주고 있다.

제2절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인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제시 할 수 있다. 첫째, 피그말리온 효과의 검증과 관련된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리 더의 긍정적인 기대가 부서 혹은 개인의 성과를 높인다고 주장하고 또한 실험

을 통하여 이러한 관계성이 부분적으로 입증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피그말 리온 효과성을 검토한 연구들은 실험조사를 통해 처치효과를 검증하려 했고 그 결과 조작된 통제 상황의 유효성을 확인한 바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실험조 사 방법은 연구윤리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또한 유사실험 설계 (pseudo experimental design)를 포함하여 실험조사 방법에 대한 의문점이 제 기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험조사 연구의 윤리적 측면과 한계점을 보완하여 일반 업무현장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상황을 측정하기 위한 비 실험 조사를 수행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기존의 실험조사 연구 결과와 비교 하여 상호 일관성 있는 결론이 이루어진 경우 그 의미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리더의 부서에 대한 성과기대는 긍정적인 부서 성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기존의 피그말리온 효과의 논리와 동일한 것으로 리더의 긍정적 성과 기대는 부서 성과를 높이는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피그말리온 효과의 논리가 제기되어 왔지만 막연하게 리더가 개인이나 부서에 대한 성과기대가 실제 성과로 나타난다는 주장이 추상적이었다. 또한 리더의 성과기대에 미치는 선행적 요인들에 대한 명확한 증명이 되지 않아 리 더의 성과기대의 효과성을 신뢰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이 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팔로워에 대한 리더의 긍정적 사고와 느낌, 즉 긍정의 LIFT는 팔로워 혹은 부서 집단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형성하게 하는 선행적 요인이 되고 있다. 즉 피그말리온 효과는 단순히 리더로부터 팔로워에 영향 미 치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는 점이다. 왜 리더가 팔로워에 대해서 긍정적 성 과를 기대하는가는 결국 팔로워의 과거 성과 실적이나 혹은 집단의 성과를 유 발할 수 있는 특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이 리더로 하여금 팔로워 에 대한 긍정의 느낌을 형성하게끔 하는 순환적 논리를 강조할 수 있다.

결국 본 연구는 그 동안에 이론적으로 피그말리온 효과를 검증하는데 결핍된 요소를 부분적으로 보완했다고 볼 수 있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리더의 긍정적 기대가 중요하지만 결국 리더의 노력이나 역할, 태도 등이 선행적으로 존재하 기 때문에 리더는 이러한 긍정적인 느낌과 판단을 기초로 하여 팔로워 혹은 부 서에 대한 높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2-11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