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한국어 학습자들에 대한 한국어 발음교육 방안

3. 조사의 예측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는 용언이나 체언에 교착하여 자음 뒤에 서는 연음법칙 현상이 적용된다. 이런 경우 체언의 형태도 변하고 조사의 형태도 같이 변하게 되므로 모어가 고립어권 학습자들은 발 음된 글자들을 인지하기 힘들게 된다. 조사의 형태를 기억하여 자 음과 모음의 원래의 형태를 추측하는 연습을 반복하면 문장의 뜻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예 11)

발음 예측

그거시 → 그것이

이거슨 → 이것은 수어블 → 수업을 지베서 → 집에서 채그로 → 책으로 부어케서 → 부엌에서

한국어의 조사는 그 형태상 최대한 가능하면 다른 어휘의 일부가 되지 않도록 선택되어졌다. 모음인 조사에 자음 음소가 부착되어서 비슷한 어휘가 많이 존재 한다면 어휘의 구별이 힘들기 때문이다고 사료된다. 예를 들면 ‘에서’라는 조사는 그 자체로도 어떤 어휘의 일부가 되지도 않고 자음 음소가 부착된 ‘게서, 네서, 데서, 레서, 메서, 베서...’들의 글자들도 어떤 어휘의 일부가 되는 것이 쉽게 보이지 않는다. 위의 예제에서 ‘지베서’라는 발음을 들으면 ‘베서’라 는 어휘가 포함된 어휘는 없기 때문에

지베서 = 지+ ㅂ +에서 = 집+에서 = 집에서

에서 보듯이 음소를 분해하고 재결합하는 연습을 반복하는 교육 을 한다. 이와 유사한 이유로 나시’라는 말은 한국어에는 없으므로

‘낫이’의 연음이라 할 수 있고 ‘나치’라는 한국어는 없으므로 ‘낯이’

의 연음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조사의 형태를 기억해서 음소 분해 를 반복해서 연습하면 한국어의 ‘듣기’를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을 것이다.

Ⅴ. 결론

고립어권 학생들이 갖는 공통적인 어려움은 한국어 교육과 관련 된 여러 학습 분야 중에서 ‘듣기’가 가장 힘들다고 한다. 교착어인

한국어는 같은 단어라고 해도 수 많은 조사와 접미사를 갖기 때문 에 발음이 변형되어 음가들이 항상 고정되어 있는 고립어권 학생들 이 한국어 학습에 어려움을 갖는다고 사료된다.

제 2장에서는 고대 중국에서는 존재했으나 현대 북경어에서는 사라진 폐쇄음 운미([p], [t], [k]) 등을 비롯한 받침(종성)의 존재 성을 살펴보았다. {ㄴ, ㅇ}을 제외한 종성들이 사라진 중국어에서는 음운변동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현대의 베트 남어 에서는 폐쇄음 운미들이 그대로 남아 있는 관계로 음운변동을 회피하려는 수 많은 노력를 조사하였다. 더우기 단어들의 뜻을 잘 이해하고 어휘력 향상을 위하여 한자어권에서의 단어들의 상호 발 음 비교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한글 발음의 원인을 유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3국간의 발음 유사점들을 비교하여 어휘력 향상 을 도모 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 3장에서는 중국과 베트남에서 각 단어들을 음가대로 정확하 게 발음하려는 특성에 의하여 음운변동 회피를 위한 노력을 살펴보 았다. 모음과 관련해서는 비음을 첨가하거나 자음을 첨가하여 음운 변동 회피를 하였고 자음과 관련해서는 경음화 및 격음화를 미리 적용하여 고립어의 특징을 유지하려 하였음을 살펴보았다.

제 4장에서는 교착어인 한국어의 ‘듣기’분야의 난해함을 보완하고 자, 발음된 단어의 분해 분석 방식을 통하여 원래의 단어를 예측하 는 학습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 방식에 의하여 고립어권 학습자들 의 한국어 습득 해결 방법을 찾고 여러 과정을 통하여 한국어 학습 자들이 발음된 어휘의 올바른 글자 인지를 위하여 효과적인 학습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 글을 통하여 고립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어휘들을 정확하게 듣고 그 내용들을 잘 인지 할 수 있도록 하기를 바라며 학습자들의 한국어 습득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엄익상. 2012.『중국어 음운론과 응용』서울: 한국문화사.

린 얜후이. 2010.『중국어 말소리』(엄익상외 역) 서울: 역락.

杨耐思, 1981.『中原音韵音系』北京: 中國社会科学出版社.

<논문>

김정연,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특성 연구」, 『석사학위 논문』,계명대학교 대학원, 2018.

민정식,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한 조합형코드의 음운변동 프로토콜」, 『국학연구론총』, 16집, 2015, 275-304쪽.

민정식 「중국어의 성조를 포함한 한글표기 연구」, 『국학연구론총』, 22집, 2018, 137-170쪽.

Cho, Myeong Sook. 「한국어, 베트남어 대조언어학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6, 363-391쪽.

허용. 「외국어 발음 습득과 음운 지식에 대한 연구」, 『언어와 문화』, 9(3), (2013).

377-397쪽.

■ Abstract

Korean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s for Learner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