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사분석의 내용

가. 평생교육기관의 인지도 분석

평생교육기관의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 313명 중 226명가 평생교육기관에 대하여 알고 있다고 대답하여 72.2%의 높은 인지율을 보였다. 독립변수별로 살펴 봤을 때 월평균소득과, 거주지를 제외한 성별, 연령, 최종학력, 직업별로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먼저 최종학력을 살펴보면 중졸이하는 약 60%의 낮은 인지율을 보인 반면, 학력 이 높을수록 점차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대학원이상은 83.3%의 아주 높아 인지도 가 p<.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저학력자보다 고 학력자들이 교육분야에 비교적 관심도가 높기 때문이다. 성별에서는 여성의 인지 도가 77.4%로 남성의 63.6%보다 월등히 높았고,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와 30대 가 거의 80% 가까운 인지율을 보이고 있는 반면, 20대는 58.7%의 비교적 낮은 인 지율을 보이고 있었다. 3,40대로 갈수록 자녀들이 성장하면서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있는 성인들이 교육에 대한 욕구가 커지면서 인지도도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 된다. 직업에서는 사무직이 87.8%로 가장 높은 반면, 학생이 48.7%로 가장 낮은 인 지율을 보였으며 대체적으로 화이트칼라계열의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현재 학교교육을 받고 있는 상태로 취업을 위한 공부에는 관심이 많지만 평생교육 에는 관심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별, 연령, 직업 모두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표 3-3-1> 평생교육 인지도

독립변수

평생교육 인지도

전체 (n=-313

) x²

알고있다 모르고있

성별 남 75(63.6) 43(36.4) 118

7.053**

여 151(77.4) 44(22.6) 195

연령

20대 44(58.7) 31(41.3) 75

11.874**

30대 70(77.8) 20(22.2) 90 40대 74(80.4) 18(19.6) 92 50대 이상 38(67.9) 18(32.1) 56

최종 학력

중졸이하 14(60.9) 9(39.1) 23

8.318* 고졸 76(66.7) 38(33.3) 114

전문대졸 53(70.7) 22(29.3) 75 4년제 대졸 73(82.0) 16(18.0) 89 대학원이상 10(83.3) 2(16.7) 12

<표 3-3-1> 계속

월평균소득

99만원이하 18(72.0) 7(28.0) 25

1.514 100~199만원 70(74.5) 24(25.5) 94

200~299만원 66(74.2) 23(25.8) 89 300~399만원 48(66.7) 24(33.3) 72 400만원 이상 24(72.7) 9(27.3) 33

직업

전문ㆍ기술ㆍ행

정관리직 40(70.2) 17(29.8) 57

19.351**

사무직 43(87.8) 6(12.2) 49 서비스ㆍ판매직 37(77.1) 11(22.9) 48

농수축산업

종사자 9(60.0) 6(40.0) 15 기능ㆍ기계

단순노무자 5(71.4) 2(28.6) 7 자영업 24(75.0) 8(25.0) 32 전업주부 29(70.7) 12(29.3) 41 학생 19(48.7) 20(51.3) 39 기타 20(80.0) 5(20.0) 25 거주지 산북 171(71.8) 67(28.2) 238

산남 55(73.3) 20(26.7) 75 .063 계 226(72.2) 87(27.8) 313(100)

*p<.1 **p<.05 ***p<.01

평생교육 최초인지경로에서도 평생교육 인지도와 마찬가지로 월평균소득, 거주 지를 제외하고 성별, 연령, 학력, 직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 다. 전체적으로 주변의 지인을 통한 인지경로가 93명인 41.2% 가장 많았고, 이어 서 신문이 40명(17.7%), 포스터가 34명(15%), 스스로 찾아서 24명(10.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 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주변지인(32%)을 통한 인지통로 다음으로 신 문 (22.6%)을 통한 인지율이 높았고, 이어서 포스터, 스스로 찾아서의 순서인 반 면, 여성은 주변지인(45.6%)을 통한 인지도가 남자에 비해 매우 높았고 다음으로 신문과 포스터가 15.2% 같은 비율로 나타나 성별 인지통로가 p<.1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남성은 여성에 비해 직장생활을 하면서 신문 등 매체를 접할 기회가 많기 때문에 신문을 통해 평생교육기관을 많이 인지하고 있었고, 여성들은 어떤 매체를 통하기 보다는 주위의 이웃이나 친분 있는 사람들 과 다니면서 평생교육에 대한 정보를 많이 얻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령별로 는 20∼50대 이상 모두 주변 지인을 통해서가 가장 많았지만 30대는 그 비율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서 낮았고, 20대는 2위로 포스터를 선택한 반면 30∼50대는 2

위로 신문을 선택하였으며, 20대를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는 tv광고로도 평생교육

<표 3-3-2> 계속

로 인지하고 있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3.589 5.696 1.716 1.724 5.712

학력

*p<.1 **p<.05 ***p<.01 2.781 18.358*** 5.407 7.343 5.408

월평균

14.5%의 비율로 3,40대의 참여율이 전체의 75%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참여자의 연령층 대

<표 3-4-1> 계속

<표 3-4-2> 이용년수 30대 25(58.1) 7(16.3) 8(18.6) 3(7) 43

40대 18(40) 16(35.5) 2(4.4) 5(11.1) 4(8.9) 45 50대 이상 8(47.1) 3(17.6) 1(5.9) 1(5.9) 4(23.5) 17

최종 학력

중졸이하 2(66.6) 1(33.3) 3

22.422 고졸 23(53.5) 11(25.6) 4(9.3) 5(11.6) 43

전문대졸 19(63.3) 5(16.7) 4(13.3) 1(3.3) 1(3.3) 30 4년제 대졸 15(39.4) 11(29) 3(7.9) 5(13.1) 4(10.5) 38 100~199만원 21(60) 9(25.7) 3(8.6) 2(5.7) 35

200~299만원 12(41.4) 5(17.2) 5(17.2) 3(10.3) 4(13.8) 29 300~399만원 17(56.6) 8(26.7) 1(3.3) 1(3.3) 3(10) 30 400만원이상 4(30.8) 5(38.5) 3(23) 1(7.7) 13

직업 전업주부 10(45.4) 4(18.2) 3(13.6) 3(13.6) 2(9.1) 22

학생 5(100) 5

기타 5(45.4) 2(18.2) 2(18.2) 1(9.1) 1(9.1) 11 거주지 산북 51(55.4) 18(19.6) 9(9.8) 6(6.5) 8(8.7) 92

7.380 산남 8(32) 11(44) 2(8) 1(4) 3(12) 25

계 59(50.4) 29(24.8) 11(9.4) 7(6) 11(9.4) 117

참여기관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대학부설기관 참여율이 54%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정부보조기관 12%, 사설문화센터 11.3%, 주민자치센터 8.7%, 지역사회복 지관 8%, 시민단체부설기관이 6%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는 평생교육 참여자를 대학부설기관 대상자 위주로 조사하여 대학부설기관의 참여율이 가장 높게 나타 난 것이고, 그 외로 도민들은 정부보조기관(박물관, 도서관 등)과 사설문화센터, 주민자치센터, 지역사회복지관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성별을 살펴보면 남성의 85.7%가 대학부설기관 평생교육시설에 참여했던 경험 이 있었고, 다음으로 정부보조기관(11.4%), 주민자치센터와 사설문화센터가 각각 8.6%, 시민단체부설이 5.7%의 분포를 보였고, 지역사회복지관에 참여한 사람은 없었다. 이에 반해 여성은 대학부설기관 참여경험(68.3%)이 남성보다 적은 반면 여러 기관에 골고루 참여하고 있었는데, 정부보조기관에 19.5%, 사설문화센터 (15.9%), 지역사회복지관과 주민자치센터 각각 13.4%, 시민단체부설기관 8.5%의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성별로 대학부설기관에서는 p<.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사회복지관에서는 p<.05 수준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집 근처의 지역사회복지관 이나 주민자치센터 등에서는 여성 위주의 프로그램이 비교적 많이 개설되어 있었 고, 대학부설기관에는 남성도 들을 수 있는 부동산재테크, 화술지도자과정 등이 개 설되어 있어 남성들은 대부분이 대학부설기관에 참여하고 있었다.

연령대를 살펴보면 대학부설기관에 2,3,40대는 70%이상의 참여율을 보이고 있 는 반면,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58.8%의 참여율을 보이고 있었고, 20대는 주 민자치센터에 참여자가 없고, 정부보조기관과 시민단체부설, 지역사회복지관의 참여경험자도 각 1명으로 대부분 대학부설기관과 사설문화센터에 참여경험이 있 었다. 반면 연령대가 높을수록 시민단체부설기관에 참여율(40대 11.1%, 50대 이 상 17.6%)을 보였고, 주민자치센터도 20대를 제외한 연령대에서는 모두 10%이상 의 참여율을 보이고 있었다. 연령대에서는 정부보조기관과 시민단체부설기관에서 p<.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소득별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대학부설기관에 참여경험이 있었고, 99만 원이하 소득자는 사설문화센터, 시민단체부설, 지역사회복지관에 참여경험이 없 었다. 소득이 높을수록 사설문화센터, 지역사회복지관의 참여율이 높게 나타났다.

모든 기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직업별로 보면 농수축산업종사자와 기능ㆍ기계ㆍ단순노무자, 학생의 평생교육 기관 참여비율이 매우 낮았다. 자영업자와 전업주부는 모든 기관을 다 이용해 보 았고, 사무직과 서비스판매직은 시민단체부설기관을 제외한 다양한 기관에 참여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사설문화센터만이 p<.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별로 살펴보면, 산북지역은 대학부설기관에 참여경험이 가장 많았고, 이

1.616 3.530 2.940 2.932 4.402 2.054

월평균

2.192 5.452 6.370 4.432 5.209 2.956

<표 3-4-3> 계속 x² 9.229 13.743* 6.321 9.065 6.081 7.183

거주지 산북

계 81(54) 17(11.3) 18(12) 9(6) 12(8) 13(8.7) 150

<표 3-4-4> 참여과정(다중응답)

<표 3-4-5> 참여시간

여 23(28) 29(35.4) 10(12.2) 15(18.3) 5(6.1) 82

연령

20대 6(50) 3(25) 3(25) 12

15.163 30대 8(18.6) 12(27.9) 5(11.6) 12(27.9) 6(14) 43

40대 9(20) 17(37.8) 3(6.6) 13(28.9) 3(6.6) 45 50대 이상 4(23.5) 6(35.3) 4(23.5) 3(17.6) 17

최종 학력

중졸이하 1(33.3) 2(66.7) 3

15.790 고졸 10(23.2) 16(37.2) 3(7) 13(30.2) 1(2.3) 43

전문대졸 9(30) 8(26.7) 5(16.6) 5(16.6) 3(10) 30 100~199만원 11(31.4) 11(31.4) 2(5.7) 9(25.7) 2(5.7) 35

200~299만원 2(6.9) 10(34.5) 6(20.7) 8(27.6) 3(10.3) 29 300~399만원 7(23.3) 10(33.3) 1(3.3) 9(30) 3(10) 30 400만원이상 4(30.7) 4(30.7) 1(7.7) 4(30.7) 13

직업

전문ㆍ기술 ㆍ행정관리

2(10.5) 3(15.8) 5(26.3) 8(42.1) 1(5.2) 19

35.737 사무직 2(8.3) 8(33.3) 1(4.2) 9(37.5) 4(16.5) 24

서비스ㆍ판

매직 5(29.4) 6(35.3) 2(11.7) 4(23.3) 17 농수축산업

산북 23(24.7) 26(28) 11(11.8) 28(30.1) 5(5.4) 93

9.877**

산남 4(16.7) 12(50) 1(4.2) 3(12.5) 4(16.7) 24 계 27(23.1) 38(32.5) 12(10.2) 31(26.5) 9(7.7) 117

개인적 특성별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도움정도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비교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종속변수인 도움정도에 5점 척도를 사 용하여 1점(매우 도움 됨)에 가까울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하 였다.

전체의 약 77%가 평생교육과정 참여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22.2%는 보통이다.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응답도 1명 있었다. 독립변수별로 살펴본 다면 모든 요인에서 약간의 차이는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성별을 살펴보면 남성는 약 74%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여성는 약 78%가 도 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여 여성의 경우가 더욱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반면 여자 응답자 중 1명이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응답도 있었다. 연령별로는 40대의 82%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여 삶의 질 향상을 매우 느끼고 있었고, 이어서 50대 이 상 76.5%, 30대 74.5%, 20대 66.7%의 순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젊은 층보다 고령층이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소득별로는 고소득으로 갈수록 도움되었다는 응답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고, 직업별로는 농수축산업종사자와 단순노무자는 100%가 삶의질 향상에 도 움이 되었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이어서 사무직과 자영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83.3%가 서비스판매직과 전업주부도 80% 이상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반면, 학생과, 전문ㆍ기술ㆍ행정관리직은 보통이다라는 응답이 많았다. 그리고 거주지 별로는 산북지역은 77.5%가 평생교육이 삶의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 는데, 그 중 매우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도 30%이상의 비율을 보였다. 산남지역은 75%가 평생교육이 삶의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지만 매우 도움이 되었 다는 응답율은 12.5%로 산북지역보다 비교적 낮았다.

<표 3-4-6> 만족도 분석(도움정도)

<표 3-4-6> 만족도 분석(도움정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