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사분석결과

문서에서 인천지방과학기술 진흥종합계획 (페이지 49-53)

5 장

2. 조사분석결과

가. 과학기술정책 수요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인지도

전체 유효표본(n=300)을 대상으로 인천시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인지도에 대해 응답결과, 열에 한 개 정도인 10%의 기업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5-1>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인지도

과학기술정책 필요성

전체 유효표본(n=300)을 대상으로 인천시 과학기술정책 필요성에 대한 응답 결과, 약 60% 정도가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필요하다는 의견은 3.7%로 나타남

5점 척도로 분석해보면, 평균 약 3.68점으로 나타나 필요성에 대한 공감도가 대체로 높은 수준으로 분석됨

<그림 5-2> 과학기술정책 필요성

(단위 : %)

과학기술정책 목표

전체 유효표본(n=300)을 대상으로 과학기술정책 목표에 대한 응답 결과, 일자리창출이 29.6%로 가장 중요한 목표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기업의 기술개발 역량강화 22.9%, 핵심인재양성 16.1%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5-3> 과학기술정책 목표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반영사항

전체 유효표본(n=300)을 대상으로 과학기술진흥계획 반영사항에 대한 응답 결과, 연구개발 자금 지원 확대가 32.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통합지원 체계구축 24.8%, 전문 연구인력 양성 기반구축 18.8%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5-4>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반영사항

전략산업별로 보면, 전반적으로 연구개발자금 확대의 수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환경/에너지산업은 연구개발 자금지원 확대 보다 통합지원 체계구축에 대한 수요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남

<그림 5-5> 전략산업별 과학기술진흥계획 반영사항

나. R&D 역량 및 수요 R&D 방법

전체 유효표본(n=300)을 대상으로 R&D 방법에 대한 응답 결과, 43.7%의 기업이 연구소나 전담 부서 운영을 통해 상시적으로 R&D를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반면 1/3 정도의 기업은 R&D를 현재 수행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5-6> R&D 방법

전략산업별 R&D방법 중 연구소 운영방식은 바이오/헬스케어산업이 가장 높은 34.7%, 기계소재 33.3%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에너지산업은 가장 낮은 12.5%로 나타남

<그림 5-7> 전략산업별 R&D 방법

R&D 현황

전체 유효표본(n=300)을 대상으로 R&D 현황에 대한 응답 결과, R&D 투자비율은 기업 당 평균 약 5.8%, R&D 인력 수는 평균 약 2.8명으로 나타남

표준편차가 평균보다 크게 나타나 기업 간에 차이가 크며, 기업체 고용인원에서 R&D 인력이 차지하는 인력비중은 약 9.8%로 나타남

<그림 5-8> R&D 현황

기술혁신활동 주체

전체 유효표본(n=300)을 대상으로 기술혁신활동 주체에 대한 응답 결과, 내부수행이 평균 약 81.2%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외부수행 10.6%, 공동수행 8.3% 순으로 나타남. 이는 기술혁 신을 주로 회사내부에서 자체적으로만 수행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그림 5-9> 기술혁신활동 주체

기술혁신활동 애로사항

전체 유효표본(n=300)을 대상으로 기술혁신활동 애로사항에 대한 응답 결과, 연구/기술인력 확보, 기술 정보획득, 연구개발 자금부족 등이 주요 애로사항으로 나타남

<그림 5-10> 기술혁신활동 애로사항

R&D지원 필요단계

전체 유효표본(n=300)을 대상으로 R&D 지원 필요단계에 대한 응답결과, 기술사업화와 시험개발 단계가 5점 만점에 평균 약 3.3점대로 가장 R&D 지원이 필요한 단계로 나타났으며 R&D 기획단계는 3.07점 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수요를 나타냄

<그림 5-11> R&D 지원 필요단계

R&D 장비용도

전체 유효표본(n=300)을 대상으로 R&D 장비용도에 대한 응답 결과, 연구개발 용도가 95.3%로 가장 비중 이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제품생산과 시험이 각각 51.6%, 50.0%로 비슷하게 나타남 (중복응답)

<그림 5-12> R&D 장비용도

공동연구 희망분야

전체 유효표본(n=300)을 대상으로 공동연구 희망분야에 대한 응답 결과, 기술개발 분야가 71.0%로 가장 비 중이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기술사업화 54.8%, R&D 기획 38.7% 등의 순으로 나타남 (중복응답)

<그림 5-13> 공동연구 희망분야

보유/개발 기술수준

전체 유효표본(n=300)을 대상으로 보유/개발 기술수준에 대한 응답 결과, 현재 보유한 기술수준은 5점 만점에 3.73점으로 나타났고, 향후 개발해야할 기술수준은 3.50점으로 나타남. 이는 전체적으로 향후 개발해야할 기술에 대한 목표치를 현재수준보다 다소 낮게 잡은 것으로 분석됨

<그림 5-14> 보유/개발 기술수준

문서에서 인천지방과학기술 진흥종합계획 (페이지 4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