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경의 정체성과 특수성

Ⅳ. 한국 조경의 명칭과 정체성

4. 조경의 정체성과 특수성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는 기존의 직능과는 다른 새 로운 전문 분야를 주장하며 탄생한 것이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기존의 원예 나 조원과 유사한 의미, 혹은 주위경관이나 환경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 어 오던 용어가 새로운 역할을 획득하며 제도화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한 국 조경의 정체성 문제에는 조경의 용례 차이로 인해 조경의 직능과 사회 인식 사이의 합의가 형성되지 못한 이 초기 과정의 난맥이 적지 않은 영향 을 미쳤을 수 있다. 즉 1970년대 이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주로 식재를 활용 하여 소규모의 경관을 아름답게 꾸미는 의미”의 “조경a”와 1972년 랜드스케 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를 번역하여 도입한 “국토 보존에 기여 하기 위해 토지와 경관을 계획ž설계ž조성하는 문화적 행위”로서의 “조경b”가 공존하면서 조경 정체성의 혼동을 가져오고 있다. <그림 4-8>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하나의 전문 용어가 번역되어 정착되기 위해서 는 등가의 개념이 가장 중요하며, 이때 일대일 대응이 일어나야 혼란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조경의 도입 과정에서는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 landscape architecture와 조경 간의 관계가 일대일 대응이 일어나지 않고, 조경이라는 하나의 기표를 가진 두 개의 기호에 대응하는 일대다 관계가 성 립되었다. 원예 및 조원과 관련되어 사용되어 오던 기존의 “조경a”와 새로 운 분야의 전문 명칭을 주장하며 도입된 “조경b” 간의 혼동이 생기면서 일 의성, 투명성, 일관성 등을 가지지 못해 전문용어의 의미전달에 혼란을 가져 왔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4-9>

즉 새로운 전문 분야로서 조경은, 사회적 인식이나 실천적 분야에서는 같 은 명칭을 사용하며 상대적으로 기존에 쓰이던 조경으로 잘못 인식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것은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의 번역

전문영역의 주창자인 옴스테드가 아키텍트architect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 써 얻고자 했던 효과, 즉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를 주 로 식물 및 정원과 관련된 것으로만 여겨지는 경향을 완화하고자 했던 의도 와 반대되는 결과를 낳았다.<그림 4-10>

조경의 사회적 인식과 관련하여 초창기 한국조경학회에 임학이나 원예학 분야의 교수나 전문가들이 많이 참여하다 보니 조경학이 조경 수목에 치중 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경향이 조경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형성하는 데도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견해가 있다.140) 아직까지도 일반 인들의 조경 분야에 대한 인식이 조경 수목을 심는 일로 협소하게 인식하는 것의 일부 원인은 초창기의 조경학회의 인적 구성에 영향을 받은 때문이기 도 할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러한 문제는 전문 분야의 명칭으로 조경이 라는 용어가 사용되면서 근본적으로 이전과 다른 명확한 정체성을 획득하지 못한 점 역시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림 4-8. 조경의 언어학적 해석

140) 조세환, 앞의 글. p.22.

그림 4-9. 조경의 정체성 혼동

그림 4-10. 한국 조경의 정체성과 특수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