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조경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에서 출발했다. 전문 분야로서 1860년대를 전후로 탄생한 현대 조경은 한 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이론과 실천의 분야에서 꾸준히 성장해왔으며 최근 예측할 수 없는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비평가들은 전문 분야로서 조경의 가치, 영 역, 대상, 과제와 정체성이 분명히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했으며, 그 담 론의 중심에는 명칭과 관련된 논의가 위치하고 있었다. 필자는 최근 확장된 영역과 전문 분야로서의 정체성 문제가 한국 조경에도 유효함에도 불구하고, 전문 분야의 명칭과 정체성에 관한 논의가 국내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 분야로서 조경의 명칭과 정체성에 관한 국내외의 논의를 고찰하고 둘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전문 분야의 특성과 정체성, 그리고 명칭에 관해 살펴보았다. 전문 분야의 정체성 과 명칭에 관한 연구는 분야의 특수성과 학문적 기반, 정체성 등을 확고히 하고자 하는 시도로 해석되었다. 특히 전문 분야의 명칭은 사회적 인식뿐만 아니라 구성원의 주관적 평가에도 영향을 미쳐 전문 분야의 정당성과 존립 기반을 위해서도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조경의 명칭과 정체성 문제는 단순히 특정한 국가에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전문 분야 자체에 내재된 문제라고 볼 수 있었다. 처 음으로 현대적 의미의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가 탄생 한 미국의 경우에도 전문 분야의 명칭과 정체성과 관한 다양한 논쟁이 있었 다.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의 주창자인 옴스테드는 경 관landscape과 건축architecture이 결합된 이 전문 분야의 명칭이 대중에게 새로운 영역을 알리는 데 도움을 주고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가 주로 식물 및 정원과 관련된 것으로만 잘못 여겨지는 경향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용어를 옹호했다. 한편 세계조경가협회가 설 립되며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가 국제적인 명칭으로 확정된 이후에도, 전문 분야를 대변하는 뚜렷한 정체성과 그것을 대변하는 명칭이 부재하다는 문제점이 지속해서 제기되었다. 전문 분야로서 랜드스케 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의 명칭과 정체성에 관한 논쟁을 종합해 보면, 전문 분야로서 직능과 전문성 그리고 업무 범위 등이 명확하게 정의되 지 않아 다양한 담론이 형성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지속해서 전문 분야의 명칭과 정체성에 관한 담론을 형성하고 있는 미국 이나 유럽과 달리 오늘날의 한국 조경은 정부 주도로 급속하게 제도화된 이 후 성장에 집중하며 이와 같은 논의가 많이 진행되지 못했다. 초기 미국의 전문 분야로서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에 대한 사회적 공인은 도시 계획, 공원 조성, 시카고 박람회 설계, 도시 오픈 스페이스 제안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반면 한국의 경우 1970년대 조경이 제도화되던 시기 에 전문 분야에 대한 이해관계와 역사적 이해를 통해 신중하게 명칭을 결정 하고 그를 통해 사회적 인식을 명확히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지 못했 다. 전문 분야로서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가 수십 년 에 걸쳐 자리 잡은 것에 비해,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 의 한국적 분야 명칭으로서의 조경은 그 발생이나 타당성 등에 대한 깊이 있는 검토와 반성적 토론이 거의 없어 왔다.

본 연구는 새로운 전문 영역으로서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가 번역되어 도입된 조경造景이라는 명칭의 몇 가지 기원을 추적 했다. 전문 영역으로서 조경이 사회적인 인정을 받고 대중적으로 사용된 것

문 분야를 주장하며 탄생한 것이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이미 원예나 조원과 관련되어 사용되어 오던 용어가 새로운 역할을 획득하며 제도화된 경우라고 볼 수 있었다. 조경이라는 용어는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를 번역하여 도입된 것이 맞지만 이것은 새롭게 용어를 조어했다 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가진 용어를 가져와 새로운 의미를 부 여했다고 보는 것이 옳다. 이 과정에서 등가 개념이 성립하지 못한 번역의 문제로 인해 전문 분야의 명칭이 동일한 기표와 기의를 공유하지 못한 채 기형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즉 전문 분야로서의 조경의 명칭에는 번역의 문제와 분야 자체의 문제가 공존한다.

한국에서 조경으로 번역되어 사용되는 과정의 초기에는 몇몇 이견이 있 었으나 정부 주도로 빠르게 전문 분야로 자리 잡고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면 서 오히려 정체성이 불투명해진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이것을 단순히 전문 지식과 인력의 부족이나, 사회적 상황으로 단정 짓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한편으로 이러한 문제는 전문 분야의 명칭으로 조경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면 서 근본적으로 이전과 다른 명확한 정체성을 획득하지 못해 사회적 인식 형 성에 영향을 준 점 역시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한국에 조경이 도입되고 약 40여년의 시간동안 이론과 실천의 영역에서 다양한 성과를 낳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경이라는 전문 분야는 대중의 인식뿐만 아니라 사회 다방면에서 정체성의 혼동을 경험하고 있다. 전문 분 야로서 조경의 명칭과 정체성에 관한 논의에서 한국 조경은 다소 동떨어져 있다. 조경은 전문 분야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새로운 명칭을 필요로 하는가?

조경이라는 명칭에 대한 혼동이 단순히 번역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전문 분 야에 내재된 문제라면, 무엇이 전문 분야를 위한 새로운 정체성으로 자리를 잡아야 할까? 이와 같은 담론의 형성은 어떠한 명칭이 옳고 그르냐의 문제

를 넘어서 전문 분야로서 조경을 다양한 시각에서 연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제기를 통해 세계 속에 한국 조경이 어떠한 모습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나아갈 길은 무엇인가를 모색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문 분야로서 조경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의식과 새로운 담 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 자체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인용문헌

김태경(1993) “한국조경학회 20년사,” 한국조경학회지 20(40), pp.102-115.

김현수(2003) 『전문직 자격 제도화의 현황과 과제』,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양병이, “조경학과의 설립과 한국조경학회의 창립,” 라펜트기사[website], <http://www.lafent.com/

inews/news_view.html?news_id=108637>. 2013.

전병재, 안계춘, 박종연, 『한국사회의 전문직업성 연구』, 서울: 사회비평사, 1995.

Antonetti, Nina(2012) “William Andrews Nesfield and the origins of the landscape architect,”

Landscape History 33(1) pp.69-86.

Baird, Timothy and Szczygiel, Bonj(2008) “Sociology of Professions: The Evolu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United States,” Landscape Riew 12(1), pp.3-25.

Beck, John and Young, Michael F. D.(2005) “The Assault on the Professions and the Restructuring of Academic and Professional Identities: a Bernsteinian analysis,”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6(2), pp. 183-197.

Beveridge, Charles E. and Schuyler, David eds.(1983) The Papers of Frederick Law Olmsted, Vol.

3: Creating Central Park, 1857–1861,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owker, Lynne(1998) Terminology. In Mona Baker and Kirsten Malmkjær, eds., Routledge Encyclopedia of Translation Studies, London: Routledge, p.286.

Cleveland Horace W. S.(1873) Landscape Architecture, as Applied to the Wants of the West, Chicago: Jansen, McClurg & Co., p.17.

Cobley, Paul and Jansz, Litza, 조성택, 변진경 역(2002) 『기호학』, 서울:김영사.

Davis, Brian and Oles, Thomas(2014) “From Architecture to Landscape,” Places Journal[website],

<https://placesjournal.org/article/from-architecture-to-landscape/>.

Tradition and Innovation in French Garden Art: Chapters of a New History, eds. John Dixon Hunt and Michael Conan,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p.135-159.

Disponzio, Joseph(2007) “History of the profession,” In Leonard J. Hopper ed., Landscape Architecture Graphic Standards.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5-9.

Disponzio, Joseph(2014) “Landscape architect/ure. a brief account of origins,”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and Designed Landscapes 34(3), pp. 192-200.

Dumpelmann, Sonja(2014) “What’s in a word: on the politics pf language in landscape architecture,”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and Designed Landscapes 34(3), p.213.

Dyck, Robert G.(1994) “Discipline vs. Profession: A Comment on the Meaning of Design,”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13(2), pp.143-146.

Eco, Umberto, 김광현 역(2010) 『기호: 개념과 역사』, 서울:열린책들.

Eigen, Edward(2014). “Claiming landscape as architecture,”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and Designed Landscapes 34(3), pp. 226-247.

Eilot, Charles W.(1902) Eilot, Charles Eliot: Landscape Architect, a lover of nature and of his kind, who trained himself for a new profession, practised it happily and through it wrought much good. Boston: Houghton Mifflin.

Ettege, Rudi van, Thompson, Ian H. and Vicenzotti, Vera(2016) “Aesthetic creation theory and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11(1), pp. 80-91.

Fein, Albert(1972) “Report on the profess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63(1), pp. 34-47.

Fein, Albert(1972) “A Report on Landscape Architectur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p.112.

Freidson, Eilot(1986) Professional Powers: A Study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ormal Kno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Greenwood, Ernest, “Attributes of a profession,” Social Work 2(3). 1957. pp.44-55.

Gustavasson, Eva(2012) “Meaning Versus Signification: Toward a More Nuanced View of Landscape Aesthetics,”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7(2), pp. 28-31.

Hohmann, Heidi and Langhorst, Joern(2004) “Landscape Architecture: An Apocalyptic Manifesto”

[website], <http://www.public.iastate.edu/ ˜ isitdead/>,

Jakobson, Roman and Halle, Morris(1956) Fundamentals of Language, s-Gravenhage : Mouton.

Kimball, Theodora and Olmsted, Frederick Law Jr.(1928) Forty Years of Landscape Architecture;

Being the Professional Papers of Frederick Law Olmsted, Senior, Vol.2: Central Park as a Work of Art and as a Great Municipal Enterprise, 1853–1895, New York: G. P. Putnam’s Sons.

Kullmann. Karl(2016) “Disciplinary convergence: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spatial design disciplines,”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11(1), pp. 30-41.

MacKinnon, Neil J. and Langford, Tom(1994) “The Meaning of Occupational Prestige Scores: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 Sociological Quarterly 35(2).

Mayhew, Lewis B. and Ford, Patrick J.(1974) Reform in Graduate and Professional Education, London: Jossey-Bass Publishers.

Merriam, Sharan B. and Brockett, Ralph G.(2007) The Profession and Practice of Adult Education:

An Introduction, New York: Jossey-Bass.

Meyer, Elizabeth(2008) “Sustaing Beauty. The Performance of Appearance.”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3(1), pp. 6-23.

Nida, Eugene A.(1969) “Science of Translation,” Language 45(3), p.483.

Peirce, Charles S., James Hoopes eds., 김동식, 이유선 역(2008) 『퍼스의 기호학』, 서울: 나남.

Simo, Melanie L.(1999), 100 Years of Landscape Architecture: Some Patterns of a Century, Washington DC: ASLA Press, 1999.

________________(2000) The Coalescing of Different Forces and Ideas: A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at Harvard, 1900–1999,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Swaffield. Simon(2002) “Social Change and the Profess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Twenty-First Century,” Landscape Journal 21(1), pp. 183–189.

Swaffield, Simon and Deming, M. Elen(2011) “Research strategies in landscape architecture:

mapping the terrain,”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6(1), pp. 34-45.

Thompson, Cathrine W.(1993) “Historic American Parks and Contemporary Need,” Landscape Journal 17(1).

Thompson, Ian H.(2014) Landscape Architecture: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p.6.

Waldheim, Charles.(2014) “Landscape as architecture,”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and Designed Landscapes 34(3): 187-191.

Walker. Peter(2005) “These Warnings May Focus Debate in an Overly Conservative and Complacent Body,” Landscape Architecture 95(4), pp. 44–45.

Wilensky, Harold L.(1964) “The Professionalization to everyon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0(2). pp.137-158.

進士五十八(2016) “歴史の流れの中でみる職能問題,” 『ランドスケ一プ研究』 79(4), p.303.

__________(2016), “ランドスケ一プの職能のこれまでとこれから,” 『ランドスケ一プ研究』 79(4), p.304.

__________(2016) “職能問題に対する学会の動き,” 『ランドスケ一プ研究』 79(4), p.306.

浅川昭一郎(1997) “造園学における歴史教育,” 『ランドスケ一プ研究』 60(4), p.296.

ABSTRACT

Nomenclature and Identity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Profession

Woo, Sungbaek

Advised by Prof. Pae, Jeong-Han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As a profession, the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created around the 1860s has been steadily growing in the field of theory and practice worldwide for more than a century and is experiencing unpredictable changes in recent years. Critics have noted that the value, territory, object, task and identity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profession are evidently changing, and at the heart of the discourse is the discussion on nomenclatur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1972, the Korean landscape has grown through the turbulence of modern history. Nevertheless, the distance between the function and the social awareness that landscape architecture pursues is not narrowed, and a clear boundary between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As a profession, the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created around the 1860s has been steadily growing in the field of theory and practice worldwide for more than a century and is experiencing unpredictable changes in recent years. Critics have noted that the value, territory, object, task and identity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profession are evidently changing, and at the heart of the discourse is the discussion on nomenclatur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1972, the Korean landscape has grown through the turbulence of modern history. Nevertheless, the distance between the function and the social awareness that landscape architecture pursues is not narrowed, and a clear boundary between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