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호 태풍 ‘꼰선(Conson)’

문서에서 국가태풍센터 (페이지 108-117)

3.2.3 종관상황

- 7월 13일 00UTC까지 차츰 동쪽으로 물러나는 듯 보였으나 이 후 서쪽으로 다시 확장하였으며, 16일 12UTC 이후 다시 동쪽으로 물러나는 추세를 보였다.

발생당시 (7월 12일 00UTC, 1004hPa ) 12시간 후 (7월 12일 12UTC, 985hPa )

24시간 후 (7월 13일 00UTC, 975hPa) 36시간 후 (7월 13일 12UTC, 985hPa)

48시간 후 (7월 14일 00UTC, 990hPa ) 60시간 후 (7월 14일 12UTC, 992hPa )

72시간 후 (7월 15일 00UTC, 990hPa) 84시간 후 (7월 15일 12UTC, 980hPa)

96시간 후 (7월 16일 00UTC, 980hPa ) 108시간 후 (7월 16일 12UTC, 975hPa )

120시간 후 (7월 17일 00UTC, 980hPa) 132시간 후 (7월 17일 12UTC, 990hPa)

144시간 후 (7월 18일 00UTC, 1000hPa )

3.2.4 위성영상

발생당시 (7월 12일 00UTC, 1004hPa ) 12시간 후 (7월 12일 12UTC, 985hPa )

24시간 후 (7월 13일 00UTC, 975hPa) 36시간 후 (7월 13일 12UTC, 985hPa)

48시간 후 (7월 14일 00UTC, 990hPa ) 60시간 후 (7월 14일 12UTC, 992hPa )

72시간 후 (7월 15일 00UTC, 990hPa) 84시간 후 (7월 15일 12UTC, 980hPa)

96시간 후 (7월 16일 00UTC, 980hPa ) 108시간 후 (7월 16일 12UTC, 975hPa )

120시간 후 (7월 17일 00UTC, 980hPa) 132시간 후 (7월 17일 12UTC, 990hPa)

144시간 후 (7월 18일 00UTC, 1000hPa )

- 필리핀 상륙전(7월 12일 12UTC)까지 태풍의 모양과 대류의 중심은 뚜렷하 며, 필리핀 통과동안(7월 13일)에도 그 중심은 대체로 유지되는 편이다. 그러나 통과 후에는 모양까지 흐트러진다. 하지만 남중국해를 지나는 동안(7월 14일-

7월 16일 00UTC)에 대류의 중심은 다시 뚜렷하게 관측되며, 하이난 섬과 인도 차이나 반도의 지형 영향을 받기 시작(7월 16일 12UTC)하면서 약화된다.

3.2.5 해수면온도

발생당시 (7월 12일 00UTC, 1004hPa ) 24시간 후 (7월 13일 00UTC, 975hPa)

48시간 후 (7월 14일 00UTC, 990hPa ) 72시간 후 (7월 15일 00UTC, 990hPa)

96시간 후 (7월 16일 00UTC, 980hPa ) 120시간 후 (7월 17일 00UTC, 980hPa)

144시간 후 (7월 18일 00UTC, 1000hPa )

- 태풍은 7월 16일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시간동안 30℃이상의 고수온 역에서 이

3.2.6 중심기압, 진행속도 변화

필리핀 영향 시작

필리핀

영향 종료 하이난 섬

통과 후 베트남 영향

베트남 발생 상륙

소멸

— 발생 후 필리핀 상륙전 단계(7월 13일 00UTC)동안에는 따뜻한 해수위를 이동함 으로 인해 중심기압이 1004hPa에서 975hPa까지 약 30hPa 감소하였다.

— 필리핀에 상륙하는 7월 13일 12UTC에는 중심기압이 985hPa로서 12시간 전보 다 약 10hPa 증가하였으며, 통과한 후인 7월 14일 12UTC에는 992hPa을 나타 냄으로서 지형효과로 인해 필리핀 상륙시보다 약 7hPa 증가하였다.

— 이후 다시 남중국해의 따뜻한 해수위를 이동하면서 중심기압이 점차 감소하 다가 하이난 섬과 인도차이나 반도지형의 영향을 받기 시작하면서 중심기압 이 다시 상승하였다. 결국 태풍 ‘꼰선’은 중심기압 1002hPa로 소멸하게 된다.

- 점차적으로 태풍의 진행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것은 태풍이 초기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남쪽에 위치하여 동풍의 지향류를 받아 속도가 빨랐으나 북태평양고기압의 서쪽 가장자리에 들면서 차츰 진행속도

3.2.7 진로 예보오차 24 시간

제1호 KMA JMA JTWC CMA GDAPS RDAPS TWRF DBAR UM MTM JGSM TEPS NOGAPS GFS ECMWF 오차 145.7 143.1 89.2 112.6 316.6 282.4 129.2 115.4 129.1 239.6 127.9 157.5 173.3 128.1 92.1

표본수 20 40 19 28 12 9 8 20 18 10 10 16 9 8 7

48 시간

제1호 KMA JMA JTWC CMA GDAPS RDAPS TWRF DBAR UM MTM JGSM TEPS NOGAPS GFS ECMWF 오차 277.2 286.4 203.5 255.3 515.4 311.5 305.8 214.4 233.1 513.5 280.4 289.4 283.1 325.5 214.4

표본수 16 16 15 20 3 3 7 16 14 8 7 13 7 5 6

72 시간

제1호 KMA JMA JTWC CMA GDAPS TWRF DBAR UM MTM JGSM TEPS NOGAPS GFS ECMWF 오차 440.6 411.3 389.9 389.2 890.5 714.0 266.4 233.6 739.5 419.3 434.8 419.1 673.2 278.7

표본수 12 12 11 12 1 5 12 8 6 5 9 5 3 4

KMA 진로예보 JMA 진로예보

JTWC 진로예보 CMA 진로예보

UM 진로예보 ECMWF 진로예보 모델별 진로예보

- KMA, JMA, JTWC, JGSM은 초기에 홍콩 부근지역으로 이동 할 것이라고 예 상한 반면, UM, ECMWF는 좀 더 서쪽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따라 서 북태평양고기압이 예상외로 약화되지 않아 전자의 모델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쪽으로 예측을 변경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2.8 각국 피해상황

— 필리핀 : 필리핀 북동쪽 퀘존 지방에 상륙한 지난 13일 이후 65명이 숨 지고 87명이 실종되었다. 강풍과 폭우를 동반한 태풍에 농가가 침수되 고 도로와 각종 시설이 파괴되는 등 50억 원에 이르는 재산피해가 났다.

— 중국 : 하이난 섬 산야시 주민 4만여 명이 산사태와 침수를 피해 대피 하였고 한 중국 중남부 일대에 폭우가 내리면서 10개성에서 200명이 넘는 사망자 및 실종자가 발생했다.

— 베트남 : 어선이 침몰해 7명이 실종했고, 침수나 해일 피해가 우려되는 해안 지역 주민 15만명이 대피했다.

문서에서 국가태풍센터 (페이지 108-11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