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둘째, 다양한 학문을 막론하고 흔히 사용되는 Maslow의 5단계 욕구이론에서 한 단계 진화된 Maslow의 8단계 욕구이론을 소개하는 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셋째, 본 연구는 혼합연구로 설계되어 한부모가족의 욕구에 대한 생생한 목소리 와 가족역량강화지원사업의 만족도 및 사전/사후의 자기효능감 및 가족기능 척도검 사를 통하여 질적 및 양적접근을 진행하였다. 이렇게 한부모가족에 대한 가족사례 관리 개입이 과연 효과성이 있는지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을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 고 문 헌

강기정, 박수선 (2013).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족 사례관리 실천 경험 연구. 한국가족 자원경영학회지, 17(1), 39-61.

강기정, 박수선 (2013). 가족중심 사례관리의 지역사회 체계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 구: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지. 17(3), 125-144.

강기정, 이무영, 정은미 (2013). 다문화가족 사례관리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2), 149-171.

강욱모 (2004). 한부모가족과 빈곤: 영국에서의 정책변화. 한국사회복지학, 56(1), 127-153.

강지원 (2009). 국제비교를 통해서 본 한국의 한부모가족정책. 보건사회연구, 29(2), 30-54.

공선영 (2000). 모자가족의 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 변화정도, 대처전략, 적응 및 복지요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경애 (1999). 흔들리는 모성, 지속되는 모성역할 : 저소득층 모자가정의 여성가장.

한국여성학, 15(2), 1-30.

김도희 (2019).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에 근거한 한국판 5욕구 만족도 척토 타당화 연구. 재활심리연구, 26(4), 77-97.

김승권 (2010). 한부모가족 자립지원 및 자녀양육 지원강화 방안. 2010 한부모가족 지원정책현황과 과제 정책세미나 자료집.

김승권, 김미숙, 윤상용, 김성희 (2010). 취약계층의 생활안정을 위한 지원 확대. 보 건복지포럼, 166, 63-79.

김승권, 황성철, 김연우 (2013). 한국형 통합사례관리 모형에 관한 소고. 한국사회복 지 행정학.

김연우 (2013). 가구유형별 양육비 지출의 격차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199(0), 57-68.

김영숙, 임효연, 신소라 (2009), 사례관리자들의 실천 경험 연구, 『사회복지연구』, 40(2): 89-122.

김영주, 유병선 (2010). 저소득 가구 유형별 복지서비스를 통한 생활비 절감효과에 관한 사례조사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6), 169-181.

김은정 (2015).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례관리자의 실천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 연구, 46(3), 5-35.

김의철, 박영신 (1999).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 가정, 학교, 친구, 사 회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3(1).

김정현 (2012). 저소득 이혼여성의 빈곤화 과정 : 가족제도와 노동시장에서의 사회 적 배제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 38, 69-102.

김주수 (1982). 가족관계학. 진명출판사.

김재근 (2004)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사회적 지지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 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학주 (2004). 미국의 한부모가족 복지정책의 성과와 한계. 한국가족복지학, 13, 77-102.

김혜경, 도미향, 문혜숙, 박충선, 손홍숙, 오정옥, 홍달아기 (2015). 가족복지론. 공동 체.

김혜연 (2014). 건강가정사 역량강화 코칭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가족과삶의 질학회, 32(1), 101-115.

김희정 (2003). 저소득층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동덕여자대 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소영, 옥선화 (2005). “20,30대 이혼 남녀의 이혼 후 적응: 이혼 후 생활변화, 개인 적 자원, 대인관계 자원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3(3), 199-219.

권진숙, 박지영 (2010). 『사례관리 이론과 실제』 제2판, 서울 : 학지사.

남궁성녀 (2014). 저소득 여성 한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충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희수 (2009).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가족기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모자보호시설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문성희, 이대균 (2011). 한부모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가 겪는 어려움, 그리고 바람.

열린유아교육연구, 16(3), 313-335.

문은영, 전경옥 (2005). 일본의 가족, 노동시장, 복지정책을 통해 본 여성빈곤 : 여성 한부모 가구주 사례를 중심으로. 세계지역연구논총, 23(2), 31-59.

박명선 (2006). 독일의 여성 한부모가족을 위한 지속가능한 가족정책 연구. 사회과 학논총, 22, 85-109.

박복순 (2008). 한부모가족을 위한 외국의 법과 정책. 한국한부모가정학, 1(1), 41-73.

박정윤 (2010). 건강가정지원센터 내 한부모가정 관련 사업 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3), 167-178.

박정윤, 박연숙, 전미경 (2019). 가족사례관리사업 운영 현황 및 효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 원경영학회지, 23(1), 35-60.

박종원 (2020). 『NVivo R1』. 글로벌콘텐츠.

박재산, 이미순, 문재우 (2011) 가족의 기능적 결손 정도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우 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4(2), 199-209.

박진영 (2000). 결손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임 파워먼트 요소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선희 (1986). 가족은 유용한 분석단위인가. 가족학논집 3.

성미애, 진미정 (2009). 빈곤 한부모 여성의 부모권 보장과 일·가족 양립. 가족과 문 화, 21(3), 1-28.

손서희 (2013). 이혼한 여성 한부모의 홀로서기 경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59-75.

송혜림, 박정윤, 진미정, 정지영 (2015). 가족정책 전달체계 통합 논의에 대한 제언.

한국가족원경영학회지, 19(1), 49-71.

신희정 (2013). 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권 지원 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13(7), 311-321.

심창학 (2003). 프랑스의 한부모 및 가족 복지 정책의 특징; 명시적, 포괄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2(0), 125-154.

양호정, 윤귀선 (2017). 사례관리 참여자의 경험과 변화에 대한 질적연구-서대문종 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2017년 추계 한국사례관리학회 학술대회, 109-112.

여성가족부 (2018). 『2018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21). 『2020년 가족실태조사 분석 연구』.

여성가족부 (2021). 『2021년 가족사업안내(Ⅱ)』.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오명근, 이종수 (1989). 사회학. 서울: 대영사.

오승환 (2001).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유영주 (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 학회지, 9(2), 119-151.

유영주 외 (2004). 새로운 가족학. 도서출판 신정

이경희, 유영달 (2006). 동거부모 형태에 따른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기능성과 심리 적 안녕. 가족과 문화, 18(2), 115-138.

이기연ᆞ, 박현정 (2015). 저소득 한부모 가구주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경험. 사회복 지연구, 46(1), 59-83.

이영관, 지은구 (2017). 자기효능감척도 개발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 36(1), 5-31.

이정희, 김영숙 (2017). 사례관리를 이용한 클라이언트의 경험 연구–Giorgi 현상학 적 연구 접근–.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9(3), 65-96.

이재림, 옥선화 (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생 활 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5), 49-63.

이현철, 김영천, 김경식 (2013). 『통합연구방법론: 질적연구+양적연구』. 파주: 아카 데미프레스.

임효연, 이사라 (2013). 가족복지실천을 위한 종합사회복지관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 및 관계에 대한 질적연구. 학국보육지원학회지, 9(2), 75-95.

장재인 (2020). 욕구이론과 교회교육의 관계연구 –매슬로우를 중심으로-. 장로회신 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혜경, 김영란 (2001). 북한이탈주민가족의 가족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연구, 60, 174-197.

전영주, 이숙현 (2000). 청소년의 자살 구상과 관련 변인분석. 청소년학연구, 7(1), 221-246.

정민자 (2014). 다문화-건강가정지원센터의 통합화를 통한 가족센터의 전달체계 구 성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59-64.

정지영, 박정윤, 고선강, 이희윤 (2015). 위기가족지원 서비스 운영 실태에 관한 연 구 :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역량강화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지, 19(3), 101-119.

정지영, 박정윤, 장진이 (2015). 가족사례관리 모델개발연구 연구보고서. 한국건강가 정진흥원.

정순둘 (2005). 『사례관리실천의 이해: 한국적 경험』. 서울: 학지사.

정순둘, 조지혜, 신수정 (2015). 사회복지관과 노인복지관의 사례관리 평가체계 및 평가 지표 변화분석. 사회복지실천과 연구. 12(2), 5-32.

정혜경 (2002). 단친가족의 가족구조 및 기능이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희선, 전보영 (2013). 생애사를 통해 본 이혼 한부모 여성가장의 삶과 적응. 한국 가족관계학회지, 18(3), 179-207.

주정 (2014). 가족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적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강가정지 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통합개편에 관해서. 젠더와문화, 7(2), 245-285.

진미정, 김은정 (2005). 빈곤 여성가장 가족의 소득구성과 물질적 곤궁 경험. 사회복 지연구, 27(27), 163-189.

최경화 (2020).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양육스트레스가 심리적 안 녕감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적용-.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최명선 외 (2007).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경험에 대한 연구-심리·정서적, 사회·경제 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2(3). 75-95.

최새은, 김미영, 손서희 (2020). 서울시 자치구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자 의 통합서비스 이용 경험 연구 : 혼합방법론 접근. 가정과삶의질연구, 38(3), 99-116.

최연실 (2005). 한국에서의 한부모가족을 위한 복지정책과 서비스의 현황과 방향.

사회과학연구, 20, 1-15.

최영진 (2021). 한부모가족지원 정책 및 법적과제. 법학연구, 29(2), 27-48.

최지선 (2012). 장애인복지관 사례관리자의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

지조사연구, 33, 229-264.

최현숙 (2004). 결손가정환경이 청소년의 심리적응 및 가족 기능에 미치는 영향. 경 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 (1985~2000). 인구 및 주택 센서스 보고서.

통계청 (2005~2015).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2016). 장래가구특별추계: 2017~2047.

통계청 (2018). 가계금융·복지조사.

통계청 (2018).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2020). 인구총조사.

통계청 (2020). 장래가구추계.

한은주 (2021). 건강가정기본계획에 따른 현장 적용 논의 – 시군구 건강가정·다문화 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16-126.

한정원 (2014). 한부모가족지원사업의 효과성 연구-한부모가족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 여성학연구, 24(2), 159-195.

현은민 (2007). 한부모가족의 적응-가족탄력성의 완충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07-126.

현은민 (2008). 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여성 한부모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효과연 구. 한국가족복지학, 13(4), 59-84.

홍지은 (2018). 스포츠에 투영된 젠더 고정관념: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혼합연구.고려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은숙 (2007). 모자가정과 부자가정의 고충 비교 연구. 한부모가정연구, 2(1), 1-20.

황정임, 정가원, 김유나, 이호택 (2015). 『한부모가족 지원 강화를 위한 협력적 네 트워크 운영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황재경 (2021).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 경험과 의미에 관한 연구. 가톨 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Abraham H. Maslow (1992). Motivation and Personality, 조대봉 역, 『인간의 동 기와 성격』 서울: 교육과학사.

Arditte, K. A., Morabito, D. M., Shaw, A. M., & Timpano, K. R (2016). Interpers onal risk for suicide in social anxiety: the roles of shame and depression.

Psychiatry Research, 239, 139-144.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 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Bandura, A(1998).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W.H. Freeman and Company.

Bryman, A.(2006). Integr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how is it

done?. Qualitative research, 6(1), 97-113.

Creswell. J. W.(2017). 『(알기쉬운) 혼합연구방법』. 김동렬 역. 서울;학지사.

Creswell, J. W., & Plano Clark. V. L. (2018).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 m ethods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https://doi.org/10.1111/j.1753-6405.2007.00096.x

Edwin A. Locke, Gary P. Latham. (1990). “Work Motivation and Satisfaction: Li ght at the End of the Tunnel”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240-24 6.

Friedman, A. S. Utad, A, & Morrissy, N. R. (1987). Familied of adolescent drug abusers are "rigid". Are these families either "disengaged" or both. Famil y Process, 25, 131-148.

Friedman, M.M., Bowden, Y.R., & Jones, E.G. (2003). Family nurs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Gavriel Salomon. (1984). “Media's Effects on Children's Thinking Patterns”, Taylor & Francis Educational Media International, 21(4), 2-7.

Green, R. G., Kolenzon, M., & Vosler, N. R. (1985). The behaviors-timberlawn model of family competence and the circumflex model of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separate butequal? Family Process, 24, 385-398.

King, R., Bas, J. L., and Spooner, D., (2000). “The impact of caseload on the personal efficacy of mental health case managers”, Psychiatric Services, 51(3): 364-368.

King, G., & Meyer, K. (2006). Service integration and co-or dination: A framew ork of approaches for the delivery of co-ordinated care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2(4), 477-492. https://doi.org/10.1111/j.1365-2214.2006.00610.x

Lisbeth T. Pike (2003). The Adjustment of Australian Children Growing up in Si ngle-Parent Families as Measured by Their Competence and Self-Estee m. Childhood, 10(2), 181-200.

Maddux, J. E.(1995), “Self-efficacy Theory: An Introduction”, In J. E. Maddux (Ed.), The Plenum Series in Social/Clinical Psychology, Self-efficacy, Ad aptation, and Adjustment: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pp. 3-33), Ne w York, NY, US: Plenum Press.

Maslow, A. (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 No. 4:370-396.

Maslow, Abraham H (2010).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소슬기 역. 『매슬 로의 동기이론』. 서울: 유엑스리뷰.

Minuchin, S. (1974). Family and family therapy .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Murdock, G. P. (1949). Social structure. New York: Macmillan.

NASW (2013). 『NASW Standards for Social Work Case Management』.

Nieuwenhuis, R., & Maldonado, N. C. (2018). The triple bind of single-parent families. Policy Press.

Olson, D.H., Russell,C & Sprenkle,D.H.(1979).Circumplexmodelof marital and family system: I. Cohension and adaptibility dimensions, family types and crinical applications. Family Process,16,3-28.

Olson, D. H,, Porter, J. & Lavee, Y. (1985). FACES- (Family Ⅲ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St. Paul, MN:Department of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Padgett, K. D. (199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유태균(역)(2001). 사회복지질적연구방법론. 경기:나남.

Teddlie, C., & Tashakkori, A.(2015). 통합방법 연구의 기초: 사회・행동과학에서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의 통합. 강현석・김경식・박창언・백상수・조영남・

주동범・황윤세 역. 파주: 아카데미프레스.(원서 2005년 출판)

Schmidt, A. M., and DeShon, R. P.(2010),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formance Ambigu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5(3), 572-581.

Schunk, D.H.(1984). Self-efficacy perspective on achievment behavior.

Educational Psychologist, 1, 48-58.

Snyder, C. R. & Lopez, S. J. (2002).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부 록

부록 1 : 서비스 이용 신청서 부록 2 : 서비스 이용 동의서

부록 3 :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부록 4 : 종합정보 기록지

부록 5 : 욕구강점 사정지 부록 6 : 자기효능감 척도 부록 7 : 가족기능 척도 부록 8 : 종결기록지

[부록 1]

[부록 2]

[부록 3]

[부록 4]

[부록 5]

[부록 6]

[부록 7]

[부록 8]

Abstract

An Analysis on the Needs of Single-Parent Family and the Effectiveness of Family Case Work

: Focused on Recipients of Family Empowerment Services

Lee Sujeong Superviser : Professor Jung Minja 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Ulsan

Single-parent family, one of the many different types of families appearing in Korea, has increased by two to three times in 30 years since 1990. Some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may adapt themselves positively to life through a strength like adaptability to school or independence. However, they should resolve various problems derived from the burden for the role in which the father or mother should deal well alone with child-rearing and working activities, which are the basic functions of the family. The present actual survey of single-parent families only examined the conditions of single-parent families’

living, but it would be almost impossible to collect data related to the needs of which single-parent families complain.

Thus,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needs of which single-parent families complained, who experienced the family empowerment service as the recipients of family case management, conducted at a family center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case management. Through this, this study would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the provision of empirical basic data and policy for single-parent families so that single-parent families could serve as the resources of a healthy society. In addition, through family case management effectiveness analysis, this study would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the family empowerment service and utilize them as the baseline data for program development for single-parent famil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research questions, “What would be the needs of single-parent families?” “What would be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interventions?” 23 families that were judged to be appropriate for the study were selected of 156 families that were the recipients of the family case management of the family empowerment service at a family center in N.

District, U. City from January 2018 through December 2019. Then, with the exploratory sequential design method of the mixed research methods, the needs of which the study subjects complained were classified based on Maslow’s theory of 8-level hierarchy of needs to conduct a content analysis. In addition, the details of the case management interventions,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and the results of the family functioning scale test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87.5% of the needs of which they complained remained deficient needs (physiological, safety, belonging and affection, self-esteem), and 12.5% were growth needs (cognitive, aesthetic, self-actualization, self-transcendence), which were still not concrete. As policies for single-parent families, which are in progress, interventions for resolving deficiency needs such as income guarantee, housing support, and employment support are provided in priority; however, they are still insufficient. For the relief of economic needs that appeared to be the biggest difficulty,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preferential connection to a babysitter and diversify the self-support work area in the concept of connecting careers for women whose career has been discontinu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 family-friendly workplace culture emphasizing the work-family balance and work-life balance, improve policies extensively like bridging the wage gap between men and women and call upon sustainable social interest.

Second, it turned out that family case management service intervention in the family empowerment service was effective in the aspects of self-efficacy and family function. In particular, family case management should be the platform for initial support when single-parent families are formed and should be in the direction for supporting them to lead healthy and happy families through self-reliance not staying in the voluntary vulnerable class. Thus, the case manager should play the role in helping single-parent families lead lives as self-fulfilling beings, resolving challenges to improve external (physical) capabilities for them and drawing the improvement of internal capabilities.

Third, since their representative needs complained of, economic and labor activity, are in an area that cannot directly be supported by the family empowerment service at the family center, it is essential to prepare a plan for the enhancement of the case management network.

Fourth, despite it has been more than about 20 years since there was a tendency of increase in divorces and single-parent families in our society for the first time, it turned out that single parents were still intimidated themselves du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