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을 향상시키는데 효 과가 있음이 검증되었으므로 학교현장에도 실시, 적용되어야 하겠다.

둘째, 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21세기 고도의 정보화 시대를 살아갈 청소년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분석․가공하

여 활용하는 능력과 합리적인 의사결정능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보다 효 과적이고 구조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진로와 직업에 대한 교육은 일정기간에 끝나는 것이 아니고 성인 이 된 후까지 일생에 걸친 생애교육이므로 연계성 있는 진로교육 프로그램 의 개발에도 관심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강무섭, 박영숙(1984). 학생의 진로결정 과정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강원도교육과학연구원(1995). 중․고교생의 진로성숙도 검사결과 분석. 강 원도교육연구원.

강창우(1995). 학습된 무력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 교 교육대학원.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2002).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중앙교육진흥연구소.

경상북도교육과학연구원(2001). 고등학교 진로교육프로그램. 경상북도교육과 학연구원.

교육인적자원부(2002). 중등학교 여학생용 진로지도 지침개발(지침서). 교 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2002). 도전:진로탐험(학생용 활동자료집). 교육인적자원부.

김봉한, 김병석, 정철영(2000).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김수자(1991).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고교생의 진로성숙 내외통제성 및 자 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연미(1997). 진로탐색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옥희(2003). 진로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과 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1-13, 한국진로교육학회.

김용태(1996).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석 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원중(1984). 진로의식 성숙과 사회 심리적 변인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충기(1986). 진로교육과 진로지도. 배영사.

(1999). 진로발달접근을 통한 진로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교육연구

소논문집, 제23집, 건국대교육연구소, 189-227.

(2000). 생활지도․상담․진로지도. 교육과학사.

(2000).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동문사.

김충기 외(1993).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건국대학교 출판부.

김충기, 김현옥(1989).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진로교 육연구 제8집 제1호, 한국직업교육학회.

김현옥(1989).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간의 상관관계.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김홍혜(1998).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 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노경희(1992).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자아개념과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대구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2002). 진로교육프로그램 Ⅲ : 고등학생용. 대구 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박미숙(2001).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 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선애(1999). 집단상담이 실업계 고교생의 진로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원규(1999). 상업계 고등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을 위한 진로집단상담프 로그램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특별시교육과학연구원(1999). 고등학교진로교육프로그램. 서울특별시교 육과학연구원.

성경숙(2001).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송재홍, 천성문(1995). 청소년 진로발달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서강대 인문이해 제16집, 서강대 학생생활상담연구소, 43-69.

(1996). 청소년 진로발달과 의사결정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 램. 서강대 인문이해 제17집, 서강대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신봉호(1996). 중학생의 진로성숙수준 향상을 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의 효

과.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우성옥(2001).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윤미경(2003). 실업계 등교태만 고교생의 자아존중감․진로성숙도와의 상관연 구. 한국진로교육학회, 제15권 제1호, 157-168.

이승국(2001). 중등학생의 진로성숙 수준과 개인의 내․외적 변인과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제 11집, 한국진로교육학회.

이영대(2002). 디지털 시대의 진로상담과 지도. 정민사.

이영덕, 정원식(1998). 생활지도의 원리와 실제. 교육과학사.

이장호, 김정희(1993).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법문사.

이재창(2001).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진로교육. 서울특별시교육과학연구원, 15-18.

이재창, 김원중(1990). “진로탐색프로그램” 「상담 현장 연구개발」. 제1권 1 호, 한국카운슬러협회.

이정근(1988). 진로지도와 진로상담. 중앙적성연구소.

이현림(1994). 청소년의 진로의식성숙에 의한 진로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 구. 인문연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335-357.

이현림, 이분택(2003).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여중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의식성 숙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2호, 한국청소년학 회, 155-169.

임두순(2000). 진로상담과 진로교육. 원미사.

임언 외(2001). 진로성숙도 검사개발 보고서. 연구자료 01-19,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임은미(2003). 진로성숙도 증진을 위한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진로교육연구 제16집 제2호, 한국진로교육학회.

임은미 외(2001). 사이버 진로상담 지침서, 한국청소년 상담원.

장대운 외(1996). 청소년 진로상담. 청소년 대화의 광장.

장석민(1991). 중․고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요강. 한국교육개발원.

장석민 외(1986).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개발원.

장석민 외(1998). 진로교육 연구사업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장인자(1995).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정호경(2002). 진로집단상담이 아동의 진로의식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 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제주학생문화원(2000). 제주진로교육. 제주학생문화원.

조철수(1998). 진로집단상담이 여고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 석사 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진미석(2000). 사이버시대의 진로교육. 서울교육 제159집, 31-36.

진미석 외(2002). 진로탐색 프로그램 「아로 Plus」개발 보고서. 연구자료 02-2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1985).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6).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8). 한국인의 진로유형에 따른 진로교육모형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화 연구. 한국직업능 력개발원.

(2001). 사이버 상담을 통한 효과적인 진학/진로상담 모 형 개발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진로교육학회(2000).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허철수(1998). 집단경험학습을 통한 학교생활 적응력 신장 방안. 제주학생생 활연구 제19집, 제주대학교학생생활연구소, 75-102.

홍기형, 박효정, 김홍주(1983). 초․중학생의 직업성숙도 발달 특성 조사연 구. 한국교육개발원.

황응연, 이정근(1981). 중등학교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 국교육개발원.

Bailey, Larry J. and Ronald Stadt.(1973), Career Education : New

approaches to human development,

Bloomington : McNight Publishing Company.

Chapman, E. N.(1976).

Career Search,

Chicago : Science Research Associate. Crites, J. O.(1978), Career Maturity Inventory : Test Material. CTB/McGrawhill, Inc.

Crites, J. O.(1978),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Monterey, CA : CTB/McGraw - Hill.

(1981). Career Counseling : Models, Methods & Materials, New York : McGraw-Hill Book Co.

Ginzberg, E.(1951). Occupational choice : An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New York : Columbia University Press.

Herr, E. L. and Crammer(1979). Career guidance through the life span.

New York: Little, Brown and Company, 1979.

Hyot, K. B.(1974). An Introduction to Career Education. Policy Paper of the U. S. Office of Education.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Washington, D.C.

(1977). Career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Salt Lake City, Utaa: Olympus Publishing Co.

Johnson, N, Johnson, J, & Yates C.(1979). Effect of the use of the vocational exploration group on career matur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6, 368-370.

Marland, S. P.(1974). Career Education, New York : McGraw-Hill.

Parsons, Frank.(1909). Choosing a Vocation, Boston : Houghton Miffin Company.

Smith R. D. & Evants J. R.(1973). Comparison of experimental group guidance and individual counseling as facilitators of vocational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0, 202-208.

Smith G. E.(1981).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guidance class: An organizational comparis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2, 120-124.

Super.(1953). The dimensions and measurements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57, 151-163.

Super.(1957).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 Harper. & Row Publisher.

Tiedeman, D. V., & O'Hara, R.P.(1963). Career development : Choice and

adjustment, New York :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Tolbert, E. L.(1980).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Boston : Houghton Mifflin Co.

Tuckman, B. W.(1974). An age-graded model for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2), 193-212.

Willion, J., Daniel, R.(1981). The effect of a career - option workshop on social and vocational stereotypes.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참 고 사 이 트>

http://guidance.co.kr(한국가이던스) http://viva.re.kr(viva 실고)

http://www.careernet.re.kr(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진로정보센터) http://www.edunet.4u.net(에듀넷)

http://www.kcce.or.kr(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http://kcue.or.kr(한국대학교육협의회)

http://www.kofa.org(여성취업정보)

http://www.sads.or.kr(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앙인력개발센타) http://www.work.go.kr(노동부 워크넷)

<abstract>2)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on Career on high school students' Vocational Maturity

O Hee Suk

Counseling Psychology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Hur, Chul-S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Group Counseling on Career has any effect on Vocational Maturity appling to high school students or not. And we set up study problems like following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is there any effect of Group Counseling on Career on Vocational Maturity?

Second, is there any effect of Group Counseling on low ranks of Vocational Maturity?

The subjects of 24 students among 32 students were drawn from first grade classes of J girl's vocational high school located in jeju city. And they sere divided into two groups ; 12 students in counseling group and

* This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4.

the other 12 students in control group, respectively. And we fulfilled pretest to be convinced that they were the same kind of groups.

The program of Group Counseling on Career used in this study was reconstructed as researcher modified and supplemented previous literatures(The development of guidance for career guidance for middle school girl students’ provided by Ministry of Educati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2) and various kinds of programs related with the career loaded on homepages related with the career) to b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used ‘Test of Vocational Maturity Degree’ develop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developer : Im, Eon, Jung, Yun-Gyeong, and Sang, Gyeong-A, 2001) as a measure tool for Vocational Maturity. We used t-test(verification) to analyze data using SPSS WIN computing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of Group Counseling on Career has an effect on growing Career Consciousness which high school students have.

Second, The program of Group Counseling on Career has an effect on improving sub-factors of Vocational Maturity such as independency, planning quality, and self-understanding, personal role cognition.

To sum up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program of Group Counseling on Career has an effect on growing Career Consciousness which high school students have and also has an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most of sub-factors of Vocational Maturity. That is, it provided opportunities and experiences which help high school students in career exploration stage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to design their career concretely.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