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 론

1. 요약

제 6 결 론

1. 요약

가. 산학연계 교육인프라의 충실성

산업계 경력 교수 비율 분석 결과 전체 교수 대비 산업체 경력 교수 평균의 비율은 약 21.7%

로 경력 교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산업체 연계 교육과정의 적절성에서 연계 교육과정 참여율은 약 1.7%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고, 운영횟수는 1~2회로 적었음 또한, 운영의 적절성에서도 평균 1.3점으 로 낮게 평가됨

졸업생의 현장실습 운영 만족도는 평균 2.3으로 대체적으로 다소 미흡하다고 평가 하였으며, 대학별 편차도 0.8로 매우 낮음

현장실습 참여의 충실성 평가는 평균 참여율 7.7%로 참여율이 낮은 것으로 평가됨

나. 교육과정 일치도 및 운영의 적절성

산업계가 요구하는 전공 교과목 26개 중 대학에서 개설한 과목은 평균 67.3%의 일 치도를 나타냈고, 최대 90.5%의 강의가 개설되어 있는 대학도 있어서 대체적으로 산업계 요구를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선박기본설계, 공업수학, 조선해양공학 등의 순으로 교과목 운영이 적절한 것으로 평가됨

◦ 이상의 교과목 이외에 최근 조선업계 주력제품이 해양구조물의 설계와 생산으로 바뀌는데 비하여 대학 주요 교과목은 아직 선박위주로 되어 있어 나타난 결과임

◦ 조선업계는 유체/구조기술보다 의장 중심으로 제품이 바뀌고 있으며, 해양구조물 의 경우에도 의장중심의 설계와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맞는 교과목 편 성이 시급함

◦ 해양 Topside와 시추시스템에 대한 기자재산업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 기자재 관련 교과목 편성이 필요함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교과목의 개설뿐만 아니라 이수율을 통해 대학에서 해당 교과 의 운영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대학별 차이가 크게 나 타남

◦ 대학에서 산업계 요구 교과목의 운영 중요도 개선을 위해 교과목 개설과 함께 그 교과의 수강을 독려할 수 있도록 필수과목 지정 등을 고려할 수 있음

◦ 산업계에서 중요하다고 기술한 교과와 이수율을 기반으로 한 개설교과목의 부합도 를 평가한 결과, 부합도의 차이가 가장 큰 교과는 전기전자공학개론, 시스템안전공 학, 공업역학, 시추시스템설계 등으로 이들 교과목의 추가 개설 및 교과과정 운영 의 충실성이 강조됨

산업계 요구 교과목 이수율에 있어서는 다소 낮은 평가를 내리고 있음

해당 과목의 강의에 대한 내용적, 방법적 충실도를 높이고 현장의 요구를 반영해야할 필요가 있음

산업계 요구 교육과정 운영 시스템 평가 결과, 일반역량 함양 시스템은 3.93점, 전 문역량 함양 시스템의 경우 3.50으로 두 분야 모두 보통이상의 평가 결과를 보임 두 분야를 비교하면 전문역량 함양시스템이 일반역량 함양 시스템보다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으므로 전문역량 강화에 대하여 대학 측의 개선 노력이 요구됨

산업체 요구 교육과정 운영 시스템의 개선 실적 또한 평균 3.5점으로 개선실적이 있 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산업계 경향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좀 더 보완할 필요가 있음 졸업생들이 평가한 조선해양 분야의 대학 교육과정 운영 만족도는 보통 이상으로 평 가되었으나, 학과목 이외에 취업 후 실무를 위한 경영관련(원가회계 및 회계관리, 특허 및 법률 등)또는 기타 교양과목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

다. 교육 및 기술개발 성과의 우수성

전공 분야의 취업률 적절성 평가 결과, 전공 분야의 취업률이 각 평가 대학별로 72.53% ~ 92.67%로 다소 차이를 보이나, 평균 80.5%로 비교적 높은 적절성을 나 타냄

연평균 산업체 기술이전 금액은 평가대학별로 15,000,000원~2,901,833,000원으로 대 학 간 차이가 매우 심하게 나타났으며, 평가대학 전체의 평가결과는 평균 724,813,375원 임. 대학별 편차가 크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해보임

부서장의 일반직무 역량 평가에서 일반직무역량별 평정에 큰 차이는 없으나 대인관 계 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대해서는 비교적 역량 보유도를 높게 평가했고, 자원관리 능력과 조직이해 능력을 다소 낮게 평가함

전문직무역량 보유도 평가 결과는 전체 대학에서 일반직무역량 보유도에 비해 더 낮 게 나타났으며, 역량별 큰 편차는 없었으나 조선해양산업의 이해와 조선해양공학개 론의 이해 부분에 대한 전문직무역량 보유도 평가 다른 영역에 비해 다소 높았음 반면, subsea 시스템의 이해, topside의 이해와 설계, 해양구조물 위험성 평가 및 안전의 이해 등은 보유도를 다소 낮게 평가함

2. 제언

가. 산학연계 교육인프라의 충실성

산업체 경력 교수 비율 개선을 위한 교원 인사제도 및 처우 개선 필요

◦ 재학생들이 산업체와 연계된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산업체의 다양한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전임교수의 산업체 경력자 비율 확대가 필수적임

◦ 일부 대학에서 또는 상대적으로 전임 교수에 대한 산업체 경력자 비율이 낮은 이유 는 업체 경력 보다는 강의 경력 및 논문 실적 등을 우선시 하는 전임 교수의 일반 적인 채용 기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됨

◦ 우수 인력을 대학교원으로 초빙하기 위하여 보다나은 처우가 가능하도록 교원트랙

을 여러 가지로 구분 하는 등의 대학 측의 인사 제도 개선이 필요함 산업계 연계 교육과정의 운영 충실성 개선 필요

◦ 산업계 관점에서는 현장 실습 경험학생이 직무 적응도가 높다는 의견이 제시되었 으나, 대학에서 제공하는 현장실습 교육과정이 형식적으로 운영되거나 이벤트성에 그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

◦ 단순한 현장 실습 차원을 넘어선 의미의 산업체 연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은 보편화되어 있지 않아 대학별 차이가 크므로 진행 횟수나 전문성, 규모 등의 개선 이 필요함

◦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일부 학교는 설문조사 결과를 교육목표 설정에 반영하여 운영하는 모범사례가 있음.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의 체계적인 제도적 지원 을 통하여 대학의 산업체 연계 교육과정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산업계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

현장 실습 프로그램 만족도 개선 및 지원 체제 구축 필요

◦ 현장 실습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결과 대학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영역에 비 해 낮게 나타나 대학의 현장 실습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함

◦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형식적인 현장실습 프로그램보다는 직무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고자 하는 대학 및 기업들의 노력이 요구됨

◦ 기업 입장에서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어려운 상황인 경우 요청시 이를 컨 설팅해주거나, 파견 형식으로 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인력 풀을 구 성하는 등 제도적 장치 필요함

◦ 대학의 경우 학생들을 파견하는 기업이 요청할 경우, 프로그램 기획에 적극적인 참 여가 필요함

나. 교육과정 일치도 및 운영의 적절성

산업계가 요구하는 교과목 일치도 정교화 및 해양관련과목 개설 필요

◦ 산업계가 요구하는 교과목 편성 과목에 대한 개설 비율은 비교적 높은 편이나, 일 부 대학에서는 산업계 요구 교과목을 개설하지 않은 경우도 있고, 이수율도 낮은

경우가 있어서 대학측의 교과목 편성에 있어 산업계의 요구를 빠르게 반영할 수 있 는 대응전략 필요함

◦ 전공 편성에서 세부 내용을 분석 하면 많은 대학들이 이론 중심의 전공 과목 강좌 를 진행 하고 있는바, 실습이 반드시 수반되는 산업체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과목 운영이 필요할 것임

◦ 산업계 요구에 따르면, 해양산업 진출과 신시장 진입을 위하여 변신을 꾀하며 노력 하고 있으므로, 대학에서도 공학기초이론 뿐 아니라 해양 분야에 대한 교과목 개설 이 필요함

◦ 조선업계의 주력 제품이 해양 구조물의 설계와 생산으로 바뀌는 데 비하여 대학개 설 과목은 선박 위주로 되어 있음. Drillship과 Drill System 그리고 FPSO, FSRH 등 해양 Topside의 설계와 생산 및 시운전 관련 교과목 편성이 필요함

◦ 주요 조선업계는 유체/구조기술보다 의장 중심의 제품이 바뀌고 있으며, 해양구조 물 경우, 의장중심의 설계와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맞는 교과목 편성과 교육이 필요함

◦ 해양 Topside와 시추시스템에 대한 기자재 국산화가 시급하므로, 대학에서 기기장 비재에 관한 교과목 편성이 필요함

다. 교육 및 기술개발 성과의 우수성 전공 분야 취업률 개선 필요

◦ 조선해양 분야는 상대적으로 취업률이 높은 편이나, 대학마다 편차가 존재하므로, 전공 취업률이 낮은 일부 대학에서는 관련 분야의 특성화 및 산학 연계 프로그램의 활성화 등을 통해서 지속적이고 다양한 산업체 연계 강화로 전공 분야의 취업률이 개선되어져야 함

전공 분야 산업체 기술 이전 금액 개선 필요

◦ 평가 대학 별로 기술이전 금액의 차이가 매우 크며 기술이전이 미흡한 각 대학에서 는 우수 대학의 사례 연구 등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개선시켜 전체적인 대학 간 편 차를 줄일 필요가 있음

대졸 직원 직무역량 보유도의 지속적인 개선 및 보완 필요

◦ 일반직무역량 중 대졸자에 대한 부서장 평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분야는 자원관리 능력과 조직이해 능력 등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관련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프 로그램이 보완되어야 할 것임

◦ 전문직무역량 보유도 평가 결과, 대체로 일반직무역량보다는 낮은 평가 결과를 나 타냄. subsea 시스템의 이해, topside의 이해와 설계, 해양구조물 위험성 평가 및 안전의 이해공정의 이해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대학의 과목 보완이 요구됨.

◦ 조선해양 부문에서 해양구조물 설계 및 생산, 해양 Topside의 설계 생산 및 시운전 관련 교과목이 조선업계의 현재 주력제품임을 전문위원들이 지적한 바 있음

◦ 향후 필요한 전문직무역량 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한 강의를 위해 각 하위 역량 요소 등을 추출하여 이를 강화할 수 있는 교과목을 개발해야 할 것임

문서에서 조선 분야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페이지 93-12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