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5-55)

본 연구는 중학생의 성별과 표현활동 경험빈도가 상호작용하여 학생들의 수업참여의도와 수업만족 수준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했지만, 성별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본 연구에 참 여한 중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기인한 것인지는 알 수가 없지만, 한 가지 중요한 발견은 표현활동에 대한 경험빈도에 따라 표현활동 수업참여의도와 수업만족 수준에는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학생들의 수업참여의도와 만족은 교사의 지도방법, 학습내용, 수업환경, 학 생들의 성격과 수업과목 흥미도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가 있다(김윤희, 2002).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인들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방법론적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이들 요인들을 활용하여 중학생 들의 수업참여의도와 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의 효과를 심층 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음으로, 기존의 연구는 수업만족에 대한 경험 수준이 체육수업과 방과후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 믿음, 지속성, 참여의도, 정서 등과 관계가 있음을 보 고하고 있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 경험이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특정 활동에 만족감을 경험하는 사람일수록 그 활동에 참여하려는 내적 동기가 증 가하기 때문이다(Ryan & Deci, 2000).

따라서 표현활동을 지도하는 교사나 강사는 학생들의 수업만족 수준에 영 향을 끼치는 중요한 결정요소들 즉, 학생들의 개인차 변인을 모두 고려하여 지도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교수행동을 포함하여 다양한 심리적, 사회적, 환경 적 요소들을 이해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표현활동 수업에 대해 흥미와 재미를 느끼면서 열심히 노력할 수 있도록 만드는 학습동기전략을 강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수업만족 수준은 수업방식, 집단간 상호작용, 개인

및 학급 수준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체육수업에 만족한 학생일수록 방과 후 신체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의도나 실제 행동이 높으며, 수업만족 은 선행변인이나 결과로 작용한다(Cunningham, 2007)는 점에서, 추후 표현 활동 수업만족에 영향을 끼치는 선행변인이나 그 결과와의 관계를 규명할 필 요가 있다.

참 고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교육과학기술부(2011). 체육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김무영, 정주혁, 조남용(2011). 스포츠교육 모형을 통한 중학교 표현활동 수업 사례. 한국무용과학회지, 25, 1-18.

김석희, 유영규(2008). 경기지역 고등학생의 체육수업 만족도 조사. 한국체육 학회지, 47(3), 165-179.

김수미(2013). 춤 감상과 연계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 친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윤희(2001). 여자중학생의 무용수업에 대한 인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2), 103-121.

김윤희(2002). 여중생의 무용수업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 회지, 9(1), 109-127.

김은희(2009). 무용수업에서 지각된 동기 분위기와 내적 동기 및 연습 참여 의도 간의 인과모형 검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인숙, 정일홍, 황영성(2012). 중학교 학급유형에 따른 체육수업의 내적동기와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6(4), 53-65.

김인형(2015). 무용수업시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 피드백이 내적동기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2(1), 219-231.

류민정, 표내숙(2006). 체육교사의 교수행동과 중학생의 내적동기, 수업만족 간의 관계모형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5(2), 241-249.

박미자, 정상녀, 서현, 윤경선(2009).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5), 258-276.

박중길(2010). 체육수업 만족 검사지(PECSQ)의 교차 타당도 검증. 한국스포츠 심리학회지, 21(2), 131-149.

박중길(2011).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가치와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방과후 신 체활동에 영향을 주는가?: 종단적 접근. 한국체육학회지, 50(4), 53-65.

박진희(2010). 무용전공 유형별 내적동기와 무용활동만족의 관계. 한국체육과학 회지, 19(4), 1003-1015.

박현호, 김승재(2016). 체육수업 내 뉴스포츠 활동에 따른 수업만족도. 한국체육학 회지, 55(1), 311-321.

서연희(2016). 체육수업 상황에서 지각된 교수행동과 인과소재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모형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5(3), 213-223.

서예원(2003).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4(1), 15- 32

송미숙(2015). 예비 초등 교사의 무용 수업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우리춤과 과학기술, 62, 45-54.

심윤식(2013). 체육수업 중 지각한 케어링 분위기, 태도, 만족도 및 재미거리 관계에서 내적 동기의 매개역할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4(2), 75-87.

양선미(2007). 무용수업의 재미와 수업만족 및 무용지속의사의 관계. 공주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진, 백민경(2009). 무용신명상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검증. 대한무용학회논 문집, 67, 181-199.

유혜강(2011). 중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 중 표현 활동(무용) 단원의 만족도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옥주, 유연옥(2010). 전통놀이 활동에 기초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 능력과 창의적 신체표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2),

205- 229.

이병준, 이종옥, 김동환(2009).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정서경험, 원인, 표현, 조 절의 성차. 한국체육학회지, 48(2), 195-208.

이삼선(2001). 신체표현활동 지도가 입문기 아동의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 육학회지, 40(4), 287-296.

이선영(2008). 중학교 무용수업에 대한 대안 탐색.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이소정(2004). 초등학교 무용특기·적성 교육활동 운영 실태에 따른 만족도 분석. 계 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숙재(2009). 대학생의 지각된 무용참여 목적에 관한 탐색적 접근. 한국체육학 회지, 48(6), 429-439.

이아림(2016). 중학교 자유학기제 무용수업 운영 실태 및 수업만족도 분석:

부산지역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옥선(2013).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정 현황과 전망. 교육연구와 실천, 79, 101-115.

이주현(2013). 중학교 여학생의 표현활동 영역이 체육교과 인식 및 만족에 미 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주현, 김태현, 김경숙(2015). 중학교 여학생의 표현활동 영역이 체육교과 인식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4(2), 963-978.

이해준, 최효진(2011). 무용수업 만족 질문지의 개념구조 검증. 한국무용기록 학회지, 23, 119-137.

임진선, 이철원(2011). 대학생의 교양체육 수업만족, 심리적 웰빙과 지속의도 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0(5), 275-283.

정희자(2011). 놀이활용 신체표현활동이 초등학생의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2, 109-126.

조남용(2011). 중학교 체육교사의 성과 연령에 따른 "표현활동" 수업에 관한 가

치정향 우선순위 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25, 1-10.

조은숙, 백민경(2009). 중학교 무용예술강사 무용수업의 재미요인과 수업만족의 관계.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0(3), 99-118.

조은영(2007). 무용교육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교육학회, 5(2), 79-91.

천경민, 표내숙(2008). 여고생의 창의적 신체활동이 신체적 표현 자심감에 미 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2(1), 507-515.

최민정(2009). 신체표현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학예발표회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지영, 황선자(2010). 통합적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 및 창의적 신체표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2), 261-282

최혜선(2008). 무용교육이 중학생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최효진, 이해준(2011). 무용수업 만족 질문지의 개념구조 검증. 한국무용기록학회, 23, 119-136.

추나영(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교과서 표현활동 영역체 제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4(4), 257-269.

한태용, 이계석, 최성범(2013). 대학생의 생활체육 인식이 참여만족, 몰입 및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2(3), 213-223.

홍희정(2014). 체육과 표현 활동 영역의 창의‧인성 요소 탐색.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4(4), 391-411.

황숙영(2007). 초등학교 표현활동수업 실천의 어려움.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4 (2), 41-61.

황숙영, 손천택(2006). 초등학교 표현활동 수업의 실천 과정. 한국스포츠교육 학회지, 13(2), 25-40.

황지혜, 이화석(2014). 무용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신체 자아효능감, 무용

활동만족, 학교생활만족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31(1), 37-51.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ecesses, 50

, 179-221

Ajzen, I., & Fishbein, M. (1980). Scaling and testing multiplicative combinations in the expectancy-value model of attitude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8

(9)

,

2222-2247.

Chatzisarantis, N., & Hagger, M. (2008). Influences of personality traits and continuation intention o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with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Psychology and Health

,

23

(3), 347-367.

Chelladurai, P., & Riemer, H. A. (1997). A classification of facets of athlete satisfactio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11

(2), 133-159.

Chen, A., Martin, R., Sun, H., & Ennis, C. D. (2007). Is in-class physical activity at risk in constructivist physical education?.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8

(5), 500-509.

Ciskszentmihalyi, M. (1975).

Finding flow

. New York: Basic.

Courneya, K. S. (1995). Understanding readiness for regular physical activity in older individuals: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ealth Psychology, 14

, 80-87.

Cunningham, G. B. (2007). Development of the physical activity class satisfaction questionnaire (PACSQ).

Measurement in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Science, 11

(3), 161-176.

Fein, A. J., Plotnikoff, R. C., Wild, T. C., & Spence, J. C. (2004).

Perceived environment and physical activity in youth.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1

(3)

,

135-142.

Fox, L., Rejeski, I., & Cauvin, E. (2000).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enjoyment on physical activity attitudes and intentions.

Health Education, 45

, 23-40.

Godin, G., Valois, L., & LePage, L. (1993). The pattern of influence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upon exercising behavior. An application of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

16

, 81-102

Hein, V., & Murr, M. (2004). The mediating role of cognitive variables between learning oriented climate and physical activity intention.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16

, 270-305.

Lim, B. S. C., & Wang, C. K. J. (2009). Perceived autonomy support, behavioral regul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intention.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

10

, 52-60

Locke, E. A. (1969). Satisfiers and disatisfiers among white collar and blue collar employe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58

, 67-76.

Rhodes, R. E., Macdodonald, H. M.. & McKay, H. A. (2006). Predicting physical activity intention and behavior among children in a longitudinal sample.

Social Science & Medicine, 62

, 3146-3156.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 68-78.

Vierling, J. M. (2007). The immunology of hepatitis.

Clinics in Liver

Disease, 11

(4)

,

727-760.

[부록] 설문조사용 질문지

안 내 문

안녕하십니까?

이 설문조사는 중학생의 성별과 표현활동(무용) 수업의 경험횟수에 따른 수업참여 의도와 수업만족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추후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참여의도와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 설문조사의 결과는 연구목적 이외에 다른 어떤 용도로도 이용되지 않으며, 개인의 정보에 대한 사항은 절대 보장이 됩니다.

질문지의 내용은 옳고 그름이 없습니다. 제시된 문항을 주의 깊게 읽으시고, 각 문항마다 빠짐없이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무엇보다 여러분의 생각을 솔직하게 응답해 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쁘신 가운데도 협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16년 10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 전공 석사과정 김 현 재

※ 다음은 여러분의 개인적인 사항입니다. 해당되는 번호에 ✔표하여 주십시오.

1. 성 별 : ① 남자 ② 여자

2. 학 년 : ① 1학년 ② 2학년 ③ 3학년

3. 중학교에 입학하기 전, 초등학교 정규 수업시간 또는 방과 후 활시간에 무용을 배워본 경험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4. 표현활동(무용) 수업에 지금까지 몇 차례 참여했습니까?

① 1회(1학기) ② 2회(2학기) ③ 3회 (3학기) ④ 4회(4학기) ⑤ 5회 이상

▣ 표현활동 참여의도 질문지

[질문] 전혀

아니다 약간아니

적당히그렇다 많이그렇

그렇다매우

1. 나는 표현활동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관심이 많다. ① ② ③ ④ ⑤

2. 나는 다음에도 열심히 표현활동 수업에 참여할 생각

이다. ① ② ③ ④ ⑤

3. 나는 다음에도 표현활동 시간에 주어진 과제를 열심

히 연습할 생각이다. ① ② ③ ④ ⑤

4. 나는 표현활동 과제를 잘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

하고 싶다. ① ② ③ ④ 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5-5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