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5-78)

이 연구에 대한 제한점과 후속연구 및 안내견 활성화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 다.

첫째, 이 연구는 광주지역에서 안내견과 함께 하고 있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광주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안내견은 2마리뿐이었기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전국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안내견과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안내견에 대한 인식은 높아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안내견에 대하여 정확 히 명시되어 있는 장애인복지법이나 장애인 차별 금지법에 대한 인식이 전무한 경 우가 여전히 존재하므로, 식당, 업소나 가게, 그 밖의 편의시설 등을 대상으로 정기 적인 교육이나 홍보가 이루어져야 하며 끊임없는 관심으로 사회 구성원들이 인식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관련 문제에 대해 노출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안내견 양성을 위한 시스템의 정비이다. 실제 안내견을 이용하고 있 는 시각장애인의 의견을 들어보면 다년간의 경력과 경험을 갖고 있는 훌륭한 훈련 사들이 이른 퇴직으로 안내견 양성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너무 일찍 잃게 된다는 것이었다. 우리나라는 안내견을 양성은 두 군데 중 대부분 삼성화재 안내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안내견 양성을 위한 인프라가 부족한 시점에 좀 더 효

율적인 방법을 구축하기 위해서라도 그에 대한 대안이 꼭 있어야 할 것이다. 더 나 아가 사설 기관이 아닌 국가적인 지원과 시스템 정비가 이루어져야 시각장애인의 장애 극복을 위한 제대로 된 밑거름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응렬 (2001). 사회조사방법론의 이해.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김영수, 윤동경, 장원석, 윤승태, 이홍직 (2021). 시각장애인의 안내견 필요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 한국웰니스학회지, 16(3), 167-171.

김영일 (2010). 시각장애인복지론. 집문당.

소병철 (2019). 인간과 동물의 반려 관계에 대한 윤리적 소론. 용봉인문논총, 0(54), 163-192.

양승호 (2011). 시각장애인의 실내 독립보행을 위한 보조기기 인터페이스 연구. 석 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 전문대학원, 서울.

유석종 (2016). 안내견 보행. 사단법인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https://www.youtube.com/watch?v=BWDRHGv6jyk.

이성진 (2013). 안내견 보행. (재)정인욱복지재단, 시각장애인 보행의 이론과 실제 (pp.

311-340). 서울: 시그마프레스.

이미용 (2002). 형태인지능력 측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서울.

이은희 (2021). 인간-동물 유대 기반 안내견에 대한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 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임안수 (2010). 시각장애아교육. 서울: 학지사.

임안수, 정광윤, 서인환 (1999). 신보행학 개론. 서울:한국맹인복지연합회.

전가일 (2021). 질적연구; 계획에서 글쓰기까지. 서울:학이시습.

정재영 (2009). 시각장애인의 안내견 이용 전후의 삶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조성재 (2013). 보행의 역사적 개관, (재)정인욱복지재단, 시각장애인보행의 이론과 실제 (pp. 3-33). 서울: 시그마프레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5-7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