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3-69)

II. 이론적 배경

2. 제언

참 고 문 헌

강석기(2003). 청소년의 태도가 자아존중감 및 사회관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 석. 청소년학연구, 10(3), 155-180.

강효숙(200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와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 숙 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신영(2001).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내외통제성과 진로결정수준과의 관 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은영(2007).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태도와 학업성적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수, 김화경(2011). 부모의 양육태도가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탄력 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19(20), 143-170.

김경주, 송병국(2011). 청소년 진로포부 영향 요인 구조 분석. 한국직업교육학지, 30(2), 91-115.

김민정(2016).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봉환, 이제경, 유현실, 황매향, 공윤정, 손진희, 강혜영, 김지현, 유정이, 임은미, 손은령(2010). 진로상담이론. 학지사

김서연(2004). 중학생의 개인·사회적·심리적 변인과 진로성숙간의 관계. 이 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빈(2014). 아동의 모애착과 부적응 행동간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 질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수현(2017).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대인관 계 능력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화(2015). 중학생의 또래관계의 질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아(2012). 부모-자녀관계, 또래환경 및 자기효능감이 고등학생의 진로의 식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후(2012).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종호(2014). 또래네트워크 특성과 성적에 따른 집단 간 적응 수준 차이. 건 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진경(2002). 시설거주여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초기청소년의 의사소통기술 과 또래관계의 질.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주(2013).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 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해경(2003).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 진로성숙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효정(2012). 학습부진 아동과 일반아동의 진로인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동하(2006). 대학생의 학과선택에 따른 부모의 지지가 자아존중감과 대학생 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도현심, 양원경(1999). 또래수용성 및 또래괴롭힘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지, 20(1), 223-238.

박미란, 이지연(2010). 진로성숙에 미치는 개인적 변인과 학교교육의 효과검증.

인간이해. Vol.31 No.1, 2010

박범규(2015). 청소년의 애착과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애경(2010). 또래관계 증진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분노조절력 및 학교생활 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혜(2007). 자아존중감, 부모의 양육태도 및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연구. 광 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종은(2007). 여중. 고등학생의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양육태도 및 애착 관계가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두현(2015). 청소년 또래괴롭힘, 우울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 전문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손자령(2015). 중국초등학생의 부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현자(2008).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지희(2004).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기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 는 효과: 결혼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석영(2012). 중학생의관계형성 및 자기효능감이 진로경험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5(3), 77-94.

오정아, 남부현(2014). 관계적 및 학교적응 요인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21(2), 185-209.

유영미, 문승태(2002).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 수준 과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18(2), 1-19.

이경희, 윤미현(2011). 청소년의 부모요인, 친구애착 및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 도와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16(1),175-199.

이기학(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이복원(2008). 청소년의 애착요인 및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미, 여태철(2013). 아동의 자기격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 감의 매개효과. 초등상담연구, 2(3), 2013. pp.385-398.

이재성(2012). 청소년이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주(2015). 초등고학년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 의 매개효과.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호선(2001). 아동의 또래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석민, 임두순, 송병국(1991). 중.고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연구. 서 울:한국교육개발원.

정미경(2002).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 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미나, 노자은(2016). 청소년 진로성숙의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 년연구, 27(3), 133-162.

정미선(201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선아(2012).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 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성예(2006).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또래관계와 학교생활적응 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윤경(2005). 우리나라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관련 변인 – 개인, 가정, 학 교 특성을 중심으로. 제1회 한국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조미라(2011). 초등학생 남녀의 외모만족도에 따른 또래관계, 자존감의 차이분 석.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미형, 최상미, 엄태영(2006). 남녀 청소년의 부모·친구·교사애착과 학교 생 활적응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

구,15,81-97

조은복(2017).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주은지(2007). 미국청소년의 부모애착과 또래애착 : 미혼모 청소년과 일반 청 소년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101-112.

진기영(2009). 고등학생의 진로미결정 요인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차정원(2014). 청소년의 가족환경 및 또래환경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 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수미(2009).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 발달에 관한 4년 종단연 구. 상담학연구, 10(4), 2257-2271.

최정미, 김미란(2003). 청소년의 친구관계 특성과 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관 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3), 373-394.

하성헌(2006). 부모, 친구와의 애착정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호순(2016). 청소년의 기질특성과 심리적 가저환경이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또래관계기술의 매개효과- 한양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슬기(2016).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애착관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석자(2017). 중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에서 자아존중 감의 매개효과.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erbel, K(2002). The role of personality, parents and peers in adolescents career exploration. Journal of Adokescence, 25(1),19-3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1173.

Betz, N. E. (1998).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ment 4(1), 1069-0727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6th ed.,). San Francisco: W. H. Freeman & Co.

Crites, J. O. (1978). Career Maturity Inventory: Administration and use mnual. CA, CTB/McGraw-Hill.

Garvey, C. (1984). Children’s tark. MA: Harvard University Press.

Hoyt, K, Evances, R, Mangum, G, Bowen, E. & Gale, D(1977). Career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Salt Lake city, Utah: Olympus Publishing. Co.

Ladd, G. W. & Kochenderfer, B. J., Coleman, C. C. (1996).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3), 1103-1118

Lewis, M & Rosenblum, L.(Eds.). Friendship and peer relations: The origins of behavior(Vol. Ⅳ). New Yok: Wiley, 1975. p.45 Parker, J. G., & Asher, S. R. (1987).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 accepted children a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

Perry, D. G. & Bussey, K.「Sosial development.」 NJ: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1984. p. 193.

Piaget, J. (1965). The moral judgement of the child. Trans. M. Gabain.

New York: Free Press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Super, D, E. (1957).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

Row.

Super, D, E. (1990). A life-span, life-space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L. Brooks, & other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2nd ed, pp. 197-261). San Francisco: J ossey-Bass.

<Abstract>

The Effects of the Peer Relationship Perceived by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on the Career Maturit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Ko Jeong Hee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Jung Hw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self-respect in the effects of peer relationships perceived by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on career proficiency.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is the most important time for peer recognition and acceptance as they choose to be psychologically independent and peerless, instead of relying on their parents.

Therefore, based on peer relationships, we want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elf-respect, which are variables related to peer relationships, and to clarify whether self-respect plays an intermediary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career maturit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high school freshman's late peer relationship, career maturity, and self-respect?

Research question 2. Is self-esteem a mediated effect in relation to the peer relationship in which a high school freshman is late and career proficiency?

To carry out the above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6 to April 11, 2019 on 450 students of three general high schools in Jeju City, one specialized high school in Jeju City's township area, and one specialized high school in Seogwipo City.

As a tool for measuring peer relationship, 'relative scale test' was used by Jung Mi-kyung, who modified, supplemented, and reconstructed peer relationship scale test used by Palker, Asher Ladd, Kochender, and Coleman.

In order to measure career proficienc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produced the test and used the inspection paper issu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lso, to measure self-respect, Kim Yu-sik, Lee Sol-leaf and Choi Jae-pil used modified and complementary measures.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in SPSS 18.0 to analyze the frequency, correlate, and return to the carrier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before the Sobel tes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er relationship, career proficiency and self-respect of a high school freshma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bearing on each other. Peer relationships were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self-respect, and among the five sub-components of peer relationships, all four sub-components, except competition, indic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dependence.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career proficiency resulte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econd, after analyzing whether self-respecting is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career mastery, self-respecting is found to have partial match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and career mastery.

Studies show that self-respect is a mediating effect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late peer and career mastery.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self-respect by influencing self-respect according to how positively people perceive peer relationships, and self-respect by revealing the action of increasing career maturity.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s for education, programs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o improve self-esteem by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peer relationships that students were late to enter high school and expressing that self-respect can be a factor in improving career proficiency.

Key words: peer relations, career maturity, self-respect. mediated effect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3-6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