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치문화의 유형과 차원

알몬드와 버바는 The Civic Culture 에서 정치문화유형 비교조사를 통해 정치문 화를 ‘한 나라의 구성원 간에 분포되어 있는 정치적 대상물에 대한 독특한 정향패

28) 사회적 자본은 한 사회, 또는 그 특정 부분에 신뢰가 정착되었을 때 생기는데, 가장 작고 기본 적인 사회집단인 가족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가장 큰 집단인 국가에 구현될 수도 있다. 통 상 종교나 전통, 역사적 관습 등 문화적 기제를 통해서 창조되고 전수된다는 점에서 다른 형 태의 인적 자본과는 차이가 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Coleman, James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1988), pp. 95-120. 참조.

29) Francis Fukuyama,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New York:

Free Press, 1995): 구승회 역, 트러스트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1996), pp. 49-50.

30) Alexis de Tocqueville, Democracy in America, Garden City(N. Y.: Anchor Books, 1969).

턴’으로 규정하고 다음과 같이 단순한 유형론을 제시했다31).

<표 2> 알몬드와 버바의 정치정향 패턴

정치체제 투입 산출 자아(Self)

향리형 0 0 0 0

신민형 1 0 1 0

참가형 1 1 1 1

여기서 1은 대상에 대한 능동적 태도를 표시하고 0는 무반응을 의미한다. 향리형 은 시책내용에 대해 무지하며, 정치적 활동에 대한 지식이나 중요도를 인식하지 못 하는 소극적인 상태를 보여주며, 신민형은 정치체제에 대한 존재는 인식하고 있으나 투입요인에 대한 명확한 지식을 갖고 있지 않고, 관심은 많으나 자신의 역할에 대한 자신감은 결여되어 있다.

참가형 유형은 각 요소별로 적극적 태도를 보임으로써 그 체제에 대해 정확한 인식과 자신감 및 능동적인 참가를 보이는 이념형(Ideal Type)유형이다. 물론 본 연 구자가 생각하는 제주지역 언론인의 정치적 유형은 바로 이러한 유형일 것이라고 믿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념형을 바탕으로 냉철한 비판의식과 함께 제주지역의 여 론을 주도하는 주도적인 참여적 성향을 지닐 것이라고 믿는다.

본 연구자가 추구하는 정치문화적인 접근에서 가장 강조되는 것은 전반적인 정 치정향패턴을 연구하는 것이다. 정치정향패턴이 정치문화를 구성하는 중요요소로 보 기 때문에 특히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차원에 관심을 갖는다.

첫째, 정치적 지식과 이해정도이다. 교육수준, 정치적 경험이나 식견의 정도나 질 등은 시민 개개인의 차이와 함께 그들이 속한 집단의 성격도 다를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정치적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다. 자기 자신 혹은 자신이 속한 집단이 얼마 나 정부와 지도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보느냐는 믿음은 곧바로 정치참 31) Verba and Pye (1965), op. cit., p. 527.

여의 행태와 수준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기 때문이다.

셋째, 정부에 대한 평가와 태도는 정부나 권력에 대한 정당성과 함께 순응의 정 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중요한 의사표현의 하나이다.

넷째, 정부에 대한 신뢰로써 정치권력에 대한 지속성유지와 권위를 부여하는 문 제이다.

이상의 네 가지는 정치권력과 주민간의 상호교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의 순환모형의 중요한 독립변수라고 할 수 있다. 상호평가와 권력유지 및 정치참여 가 유지되는 하나의 유기적인 순환모형을 보여준다. 역동성에 중점을 둔 정치문화의 개념을 강조한다면 본 연구자가 나름대로 제시해 본 다음의 <도 2>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주민과 정치권력은 상호 평가와 신뢰 속에 하나의 순환모형을 보여준다.

<도 2> 주민과 정치권력간의 순환모형

(주민)

․정치적 지식

․자신감

․참여와 평가

․신뢰

(정치권력)

․정책산출

․권위

․신뢰성

․연속성

제주도의 경우, 순환모형을 바탕으로 일반적인 정치문화를 살펴보면 이러한 정치 권력과 주민간의 상호작용의 결과임을 유추할 수 있다. 즉, 제주도는 역사적으로 고 려이후부터 고려의 지배를 받아 간접적인 통치를 받았으며, 서기 1153년부터는 지방 관이 파견되었다. 특히 몽고에 대항한 항쟁시기에 삼별초가 제주도에 처음 입도하게 되면서 제주도는 항쟁과 수탈의 역사를 경험하게 된다. 조선이후에는 인조와 선조시

대에 출륙금지령이 내려지고, 유배지로 변하면서 제주는 고립성과 폐쇄성이라는 이

셋째, 소지역주의이다. 소위 ‘궨당문화’라는 말로 집약할 수 있는 것인데, 부계와

체별로 보면 신문사 1만 5,073명, 방송사 1만 4,899명, 통신사 640명, 케이블TV사 7,945명으로 각각 39.1%, 38.6%, 1.7%, 20.6%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 2만 4,946명(64.7%), 지방 1만 3,611명(35.3%)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 자가 3만 2,651명(84.7%), 여자가 5,906명(15.3%)이었다.

한편 제주지역은 2002년 현재 신문사의 경우 제민일보, 제주일보, 한라일보, 제주 타임스, 서귀포신문이 있으며, 방송의 경우 KBS, MBC, JIBS, KCTV, 평화방송, 제 주아세아방송, 그리고 중앙지 주재기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조사에서는 제주지 역의 신문․방송의 종사자 중 계약직과 임시직 등을 분류하여야 하는 점, 업무의 성 격이 다른 점, 매일매일 기사와 정보를 배출하는 전문성과 연속적인 작업의 일관성 을 이유로 제주도기자협회에 소속된 회원으로 한정하였으며, 그 숫자는 언론사의 임 원진을 제외하여 총 184명이다. 이들의 정치문화가 제주지역 전체의 정치문화를 대 변한다고는 할 수 없으나, 분명한 것은 이들의 기사와 보도가 매일매일 제주지역에 보도됨으로써 갖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이들이 실질적으로 지역의 ‘공식적 지식’을 산출하는 핵심적 집단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지역언론이 지역정치문화에 대한 영향 력과 함께 언론 스스로의 정치문화에 대한 조사연구가 없었다는 점은 안타까운 일 이다. 본 연구는 지방정치영역에서 중요시되는 정치문화를 주로 언론인의 역할이라 는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第 2 節 旣存硏究의 檢討

그간 한국의 정치문화연구는 주로 한국정치문화의 특성을 분석한 연구들이며, 대 략적 기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 정치문화에 관한 연구가 시작된 것은 1960년대 초부터이다. 이 분야의 첫 연구결과는 윤천주의 한국정치문화서설 40)로서

40) 윤천주, 한국정치체계서설 (서울: 문운당, 1961)

유권자의 투표행태분석을 주제로 정치에 관한 의식과 태도를 조사하였고, 학술논문 으로의 정치문화에 관한 연구는 이연식의 “한국정치문화의 분석연구-Almond-Verba 의 시민문화이론의 비교검토”논문이 처음이다.41) 이후 한국정치문화에 대한 연구의 범위가 확대되어 1970년대 초부터는 경험적 조사가 발표되었다. 1984년에 한배호와 어수영은 전국 성인남녀 1551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는바, 이론과 내용 및 방법론적인 면에서 당시의 한구정치문화를 분석한 가장 체계적이고 대표적인 연구였다.42) 신명 순은 한국의 정치문화의 시기별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정치문화와 민주주 의간의 관계와 속성을 파악하고자 했다.43) 이외에도 이지훈44)은 한국정치문화의 특 성을 권위주의, 시민성, 공동체성, 소외성, 분파성, 저항성, 민족적 주체성의 일곱가 지로 요약하였으며, 강근형45)은 한국의 정치문화를 집권엘리트, 농민, 비집권엘리트, 노동자의 4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하부정치문화에 권위주의적 정향과 민주주의적 정 향이 어떻게 혼합되어 있는가를 밝혔다. 손병선은 권위주의적 계서의식과 명분주의, 엘리트 정치의식의 3가지를 가지고 이와 대칭되는 평등의식, 기술합리주의, 대중정 치의식들이 60년대 이후 새롭게 생성하였다고 보아 2중구조의 의식혼재가 결국 민 주화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보았다.46) 안청시는 한국정치문화의 특질을 효, 계 서적 원칙, 예와 도덕, 전통을 중요시하는 유교적 문화이념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 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유산들이 정치엘리트들이 권위주의, 중앙집권주의, 파벌주의 를 내면화한 정치문화를 갖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47)

제주도의 경우 지방정치와 정치문화를 두고 언론인들을 상대로 한 정치적 태도

41) 이연식, “한국정치문화의 분석연구- Almond-Verba의 시민문화이론의 비교검토-,” 동국대학 교 논문집 , 제2집(1995)

42) 한배호․어수영, 한국정치문화 (서울: 법문사, 1987)

43) 신명순, “정치문화와 민주주의,” 한국정치학회편, 현대한국정치론 (서울: 법문사, 1987).

44) 이지훈, “한국정치문화의 기본요인,” 한국정치학회보 제16집(한국정치학회, 1982), pp. 104-118.

45) 강근형, “한국정치문화의 성격에 관한 소고,” 제주대학교 논문집 제22집 (1986), pp. 368-384.

46) 손병선, “한국의 정치문화와 민주화의 과제,” 순천대학논문집, 인문사회과학편 제6집, (1987), pp. 47-54.

47) 안청시, “한국정치문화의 특성과 변화,” 한국정치연구 창간호(1987), pp. 307-317.

를 과학적으로 조사한 것은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주도민의 의식에 대해

있으나 방송프로그램의 자율성과 영세성탈피를 주장하여 방송제작자의 도덕성과 의 식을 조사하지는 못했다. 지방신문이 지역사회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김민수 의 논문58)은 전국 10개의 지방지 지역기사화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도출하여 지역신 문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이 또한 지역언론이 토론과 참여의 장을 마련해야하 는 당위성에 그쳐 언론인 자체의 문제제기는 없었다. 지역신문의 역할에 초점을 맟 추어 지방행정 PR실태를 조사한 고영철의 학위논문59)은 행정과 매스미디어와의 관 계를 분석하면서 정치․행정체계에 있어서의 PR의 당위성을 체계이론적(System Theory)관점에서 분석하고 주민과 정부간의 쌍방커뮤니케이션으로의 역할에 주목했

있으나 방송프로그램의 자율성과 영세성탈피를 주장하여 방송제작자의 도덕성과 의 식을 조사하지는 못했다. 지방신문이 지역사회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김민수 의 논문58)은 전국 10개의 지방지 지역기사화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도출하여 지역신 문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이 또한 지역언론이 토론과 참여의 장을 마련해야하 는 당위성에 그쳐 언론인 자체의 문제제기는 없었다. 지역신문의 역할에 초점을 맟 추어 지방행정 PR실태를 조사한 고영철의 학위논문59)은 행정과 매스미디어와의 관 계를 분석하면서 정치․행정체계에 있어서의 PR의 당위성을 체계이론적(System Theory)관점에서 분석하고 주민과 정부간의 쌍방커뮤니케이션으로의 역할에 주목했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