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문서에서 제4장 협상전략 (페이지 32-47)

이전에 분류를 따르면, 위협(Threat)은 나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하면, 상대방에게 해가 되도록 하겠다는 것임. 즉, 내 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또는 조치를 취하면), 상대 방이 하려고 할 것을 못하게 하는 것임(제제: deterrence).

약속(Promise)은 나의 이익을 위하는 행동을 하면, 상대방에 게 득이 되도록 하겠다는 것임. 즉, 내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 지 않으면(또는 취하면), 상대방이 못하는 것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임(compellence).

이들을 차례대로 살펴보도록 함.

10.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10.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위협의 예: 한미 무역관계

각 국은 다른 나라 상품에 시장을 개방할 것인가 아닌가 하는 선 택을 하게 됨. 각국은 다음 아래 보상표와 같이 각 전략에 대한 보상이 다름.

미국에게는 가장 높은 보상은 4 로써, 양국이 모두 개방하는 것 임. 이는 미국의 시장체제와 자유 무역에 대한 지지 때문이며, 부 분적으로는 한국과 무역에서 발생하는 이득 때문임. 즉, 미국은 한국의 양질의 자동차와 전자제품을 수입하고, 저가로 농산물과 고급기술제품(무기 등) 을 한국에 팔 수 있기 때문임.

KOREA 개방 보호 US 개방 4,3 3,4

10.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마찬가지로, 가장 보상이 낮아지는 경우는 두 나라 모두 자국 산 업보호를 위하여 시장을 개방하지 않는 것임. 만일 한국이 보호 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미국은 시장을 개방하는 것이 좋은데(보 상 3), 이는 한국으로부터 저가의 자동차와 전자제품을 수입하여 소비자들이 얻은 이득이, 상대적으로 다른 나라에 비하여 시장규 모가 작은 한국에 농산물이나 무기를 팔아 얻는 이득보다 크기 때문임.

한국은 미국이 개방하고 자국은 보호할 때 가장 보상(4)이 크며, 한국은 개방하는데 미국은 보호할 때 가장 보상(1)이 적음. 나머 지 경우는 둘 다 개방하거나 둘 다 보호하는 것인데, 한국은 물건 을 미국에 파는 경우가 더 유리하므로 개방하는 것이 더 유리(보 상 3>2)함.

KOREA

개방 보호

10.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양측 모두 우월전략이 있음: 미국은 개방(click; 한국이 개방하는 경우는 개방, 한국이 보호해도 개방), 한국은 보호(click)하는 것 임.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풀어도 같은 결과 임.

실제로도 이러한 현상이 유지되어 왔음.

KOREA

개방 보호 US 개방 4,3 3,4

보호 2,1 1,2

4,3 3,4 2,1 1,2 한국

미국 개방

개방 개방

보호

보호 보호

10.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미국은 위협을 통하여 4라는 보상을 가져가려고 할 수 있음. 하 지만 이전에서와 같은 선언(commitment)는 통하지 않음. 즉, 미 국이 개방 전략을 포기한다고 선언하여도(click), 한국은 보호를 계속 전략으로 채택할 것이기 때문임 (1<2). 이 경우 미국은 최 악의 보상을 가져가게 됨. 따라서 현재대로 한국은 보호를 택하 고 미국은 개방을 하는 경우 보상(3)이 1보다 크므로 개방을 유 지하는 것이 유리함.

하지만, 오른쪽 같이 미국이 다음과 같이 위협한다고 가정함: “한 국이 계속 보호를 하면, 우리도 보호를 택할 것이다.” (click,

KOREA

개방 보호 US 개방 4,3 3,4

보호 2,1 1,2

KOREA

개방 보호 US 개방 4,3 3,4

보호 2,1 1,2

Threat Commitment

10.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이렇게 되면, 이 게임은 아래와 같은 2단계 게임이 됨. 즉, 미국 은 위협하지 않으면, 이전과 같이 미국은 3, 한국은 4를 가져가 게 됨.

미국이 위협(“한국이 계속 보호를 하면, 우리도 보호를 택할 것 이다.”)하면, 한국은 두 가지의 가능성만 존재하게 됨. 즉, 한국 개방미국개방 (4,3); 한국보호미국보호(1,2). 따라서 한국은 개방하는 것이 보상이 커짐(click; 2<3).

KOREA

개방 보호 US 개방 4,3 3,4

보호 2,1 1,2

미국

보호 위협 하지 않음.

위협함.

1, 2

위의 예에서의 시사점.

1. 미국이 위협을 신빙성있게 수행하면, 한국은 우월전략을 채 택하지 않음. 우월(dominance)이라는 것은 동시에 전략을 선택하거나 한국이 두 번째 움직일 때 의미가 있는 것임.

2. 한국이 계속 보호전략을 수행하면서 미국의 의도를 시험하 면, 위협의 신빙성이 문제가 발생하며, 미국은 위협을 포기 할 가능성이 있음. 즉, 위협은 양방이 모두 해가 되기 때문 임.

3. “한국이 보호하면 미국도 보호한다”는 위협은 완벽하지 않 음. 즉, “한국이 개방하면, 미국도 개방한다”라는 것이 보완 되어야 함. 이는 명시적으로 추가될 필요는 없음. 그렇지 않 을 경우는 위협이라기 보다는 (이미 한국이 보호하고 있으므 로) 선언이 되어 버림. 즉, 한국이 보호하던 개방하던 미국

10.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4. 신빙성있는 위협의 경우, 한국의 행동에 변화를 가져옴. 한 국이 현재 개방한 상태면, 보호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는 것 이고, 이 경우 deterrence가 되며, 보호 상태면 개방으로 돌 아설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는 compellence가 됨. 즉, 현 재 상태(status quo 또는 위협점)에 따라 다름.

5. 미국이 위협을 신빙성있게 만드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음. 우 선, 법제정을 통하여 전략실행을 강제하여 신빙성을 확보하 거나, 미국 생산자에 의해 움직이는 제3의 대리기관(agency:

미 상무국 같은)에게 이를 위임하는 것임. 미 생산자는 보호 주의로 이득을 보게 되므로 조건이 충족되면 이를 실행할 것 이 분명하기 때문임. 이 경우의 문제는 이들이 한국이 개방 을 선택해도 계속 보호주의를 고수하는 경우이며 이 경우 암 묵적으로 제시된 약속에 대한 신빙성이 문제 됨.

10.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6. 만일 위협이 통하게 되면, 이를 실행할 필요는 없으므로 비 용이 들지는 않음. 실제에 있어서는 계산을 잘 못했거나 상 대방이 실수로 위협이 실행되어 버리는 위험이 있으므로, 위 협을 필요이상으로 강하게 추진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가 됨.

예를 들어, 한국이 개방하지 않으면, 미국은 미군을 철수하 고 우방국에서 적성국으로 돌아서겠다고 하는 수준의 위협 은 지나치므로 신빙성이 없게 됨. 이런 경우는 위협의 수준 을 일어날 확률로 감할 수 있음. 예를 들어, “한국이 개방하 지 않으면, 동맹국이지만 한국이 공격 당했을 때 미 의회가 한국전을 조인하지 않을 정도로 한미관계가 악화될 수 있다”

정도로 바꿀 수 있음. 이러한 종류의 위협, 즉, 상대방에게 위험을 조성하나 위협의 확실성을 보장하지는 않는 위협을 brinkmanship(아슬아슬한 상태까지 밀고 나가는 극한정책)

10.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7. 한국은 이러한 미국의 위협전략에 대응하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음. 예를 들어, 현재 한국 시장이 보호되어 있고 미국 이 compellence(개방

하도록

하는 전략)를 사용하는 경우, 한국은 원칙에 동의하지만 실행과정에서 여론을 조성하거나 법제정을 하여야 하는 것을 이유로 지연시킬 수 있음. 또는 한국은 일부 시장만 개방하도록 유도할 수 있음. 이렇게 조 금씩 미국이 기다리게 하고 양보하게 하여, 미국이 위협을 실행하여 무역전쟁을 저지를 바로 전까지만, 양보를 받아내 는 전략, 즉, 아주 조금씩 움직여서 위협을 퇴치하는 방법을

‘살라미전술(Salami tactic)’이라고 부름.

10.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10.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약속의 예: 식당 가격책정 게임

다음과 같이 삼겹살 가격을 책정하는 경우 보상(이윤)을 가져간 다고 가정함. 비공조시 양방의 우위전략은 3000원(이윤은 290만 원 씩)을 선택하는 것임.(click)

만일 한쪽이 “네가 고가격(4000원)으로 나오면 나도 고가격 (4000원)으로 하겠다”라고 신빙성있는 약속(둘 다 보상 증가하 므로)을 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공조적인 결과로 보상이 향상됨.

(325백만원 씩>290 백만원) 가격=원

이윤=백만원

한약돼지

3000 4000

10.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만일 석천이 이러한 제안을 했다면, 한약돼지는 자신이 4000원 으로 하면 325백만원, 3000원으로 하면(석천도 3000원으로 하 므로) 290백만원을 가져가게 된다는 것을 알므로 4000원을 택할 것임.(click)

가격=원 이윤=백만원

한약돼지

3000 4000 석천 3000 290,290 360,220

석천

4000 3000

약속 약속X

한약돼지

어떻게 하여야 한약돼지는 석천의 약속을 믿고 4000원을 택 하게 될까? 제3자에게 가격 결정을 위임함. 즉, 한약돼지가 4000원으로 하면, 석천도 4000원을 할 것을 규정함. 또는 이러한 지시를 점장에게 하고, 세계여행을 떠나버려 점장에 게 가격을 마음대로 바꾸지 못할 것임을 주지시킴.

또는 석천은 약속을 준수한다는 평판을 쌓을 수 있음. 이러 한 거래가 반복된다면, 현재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미래의 경영이 위협받게 된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약속을 지킬 것 이라는 것임.

또한 모든 위협이 약속을 암묵적으로 동반하듯이, 약속은 위

10.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위협과 약속은 또 다른 점이 있음. 위협이 성공적이면, 이를 실행할 필요가 없고, 위협자에게 비용이 들지 않음. 따라서 위협은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없음.

약속이 성공적이면, 약속자는 약속한 사항을 실행하여야 하 며, 비용(기회비용의 유실, 약속위반으로 인해 벌 수 있는 돈; 원하는 대로 하면 선물을 수여하는 것도 가능)이 수반됨.

위협이던 약속이던 효과가 있는 한 크기를 적게 할 필요가 있음.

10. 전략적 행동- 위협(Threats)

과 약속(Promises)

언제 전략행동의 도움이 되는가?

무조건적인 행동(선언)이 항상 선언자에게 유리한 것은 아 님: 실제로 두번째 게임이 선언을 받는 사람에게 유리하다 면 미리 움직이는 것이 실수임.

조건적인 행동(위협 또는 약속)은 실제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없음. 최악의 경우에도 사후에 최선책을 택하게 되는 것 이므로.

이러한 전략을 당하는 입장은 어떨까? 위협 당하는 것은 절 대로 불리함. 약속은 유리할 수 있음.

10. 전략적 행동- 추가적인 고려

문서에서 제4장 협상전략 (페이지 32-4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