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적외역상

문서에서 초급 예보관 훈련용 교재 (페이지 66-70)

원격탐사

문제는 적외선 영상에서 하층운과 안개 지역을 판단할 때 일어난다. 이는 운정 온도가 뚜렷한 대비없이 지표면의 온도와 상당히 비슷하기 때문이다.

2.2.4.1 적외선 영상과 가시 영상 활용

적외선 영상은 종종 구름 시스템의 형태 측면에서 가시 영상과 일치하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적외선 영상은 구름 시스템에 관한 보완적인 자료 를 제공한다. 낮 시간 동안, 적외선 영상과 수증기 영상을 함께 사용하는 것 은 영상에 무엇이 표현되는지에 관한 이해를 좀 더 완벽히 하는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태양고도가 높을 때 복잡한 구름 사례의 경우, 가시 영상에서는 구름 요소가 차이점이 거의 없는 반면, 적외선 영상에서는 상층의 회색톤 의 변화로 훨씬 더 상세한 정보를 밝힐 수 있다.

구름이 가시영상에 나타나지만 적외선영상에서 희미하거나 보이지 않는 경우 층운이나 안개일 가능성이 높다. 반면, 적외선영상에는 있으나 가시 채널에서는 거의 식별할 수 없는 구름은 권운이다.

그림 2.18은 GMS로 관측한 가시영상(좌)과 적외영상(우)으로 구름의 종류 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남해와 서해에 위치한 ① 영역의 구름은 가시영상에서만 나타나고 적외영 상에는 운정 온도가 높아 어두운 회색으로 나타나므로 하층운에 해당한다.

② 영역은 적외영상에서만 뚜렷하게 나타나므로 상층운으로 판단할 수 있 다. 만주지역에서 남북으로 위치하는 ③ 영역의 구름은 가시영상 및 적외 영상 모두에 나타나나므로 상/하층운이 두껍게 있음을 알 수 있다. 동해북 부의 ④ 영역은 가시영상에만 뚜렷하게 나타나는 하층운이다.

원격탐사

-[그림 2.18] 가시영상(좌)과 적외영상(우)의 비교(2001. 4. 30. 06UTC)

그림 2.19는 구름/표면의 종류와 가시/적외 복사휘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조견표이다.

[그림 2.19] 구름과 표면의 종류에 따른 전형적인 복사휘도를 나타내는 조견표

픽셀 간 구름 수밀도의 차이로 적운형 구름의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일반 적으로 소규모 적운을 정확하게 구분해 내기란 쉽지 않다. 적외선영상보다 가시영상이 더 밝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적운을 더 잘 분석해 낼 수 있 다.

구름이 발달하면, 적외선영상이 회색톤의 변동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발달 정도를 더 잘 제공하며 구름을 더 잘 분석할 수 있다. 만약 적외선영상에서 어떤 이미지가 좀 더 선명하게 나타난다면, 적란운은 가시영상과 적외 영 상 모두에서 매우 하얗게 나타난다. 윈드시어가 거의 없는 지역에서는 구 름은 거의 원형인 세포형태로 나타난다.

그림 2.20은 경기만에서 서울 경기도에 동서로 발달하는 적란운으로 가시 영상(왼쪽)과 적외선영상(오른쪽)에서 특징적인 원형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계속되는 적란운 발달로 서울 서쪽지역에 돌발홍수를 야기하였다. 적 외선영상에서 더 밝고 뚜렷이 구분되는 적란운이 가시영상에서는 적란운 북쪽 하층운이 두드러져 나타나면서 적란운은 상대적으로 덜 발달한 것처 럼 보인다.

2.2.5.1 적운형 구름 2.2.5 구름형태 분류

[그림 2.20] 경기만 지역에서 원형으로 발달하는 적란운. (좌) 가시영상, (우) 적외영상

원격탐사

-윈드시어가 있는 지역에서는 구름이 운저와 운정 사이의 시어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경향이 있다. 운저의 구름 가장자리는 선명하고, 권운이 펼쳐진 곳은 가장자리가 흐릿한 모습이다. 시어가 있는 환경에서 발달하는 대규모 적란운 무리는 하층 구름을 가리는 광범위한 방패권운을 만든다.

문서에서 초급 예보관 훈련용 교재 (페이지 6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