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적 접근

문서에서 특수아동교육 (페이지 64-68)

(1)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 학업, 사회성, 언어, 행동 등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적용되어야 함

- 학업과 관련된 교육과정: 장애의 특성에 따른 강점을 강화, 약점을 보완하는 개별화 된 지원을 통하여 학업 성취를 증진시킬 수 있음(예, 시각적 학습, 규칙적 일과제공)

- 사회성에 관련된 교육과정: 일반적으로 학교 또는 실제 사회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 한 연령에 적합한 행동을 배우는 것으로 일상생활 기술, 자조기술, 기능적 의사소통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등의 사회성 관련 기술 포함되어야 함(예, 놀이기술)

- 또래와의 우정을 형성: 친구사귀기 기술과 갈등 해결기술, 긍정적 상호작용 기술, 상 대방의 입장 이해하기, 친구에 대한 신의 지키기 등의 구체적인 기술을 개별적인 교 육계획 목표로 포함시켜야 함

* 기능적 의사소통: 문제행동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대체 행동을 가르쳐 문제행동 감 소시키는 방법(행동기능평가  의사소통대체행동 선정  대체행동 교수)

4.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교육

2)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적 접근

(1)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 언어와 관련된 교육과정: 화용론을 기반으로 하는 기능중심의 사회-의사소통 교육 으로 사회인지적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함

(예) ‘우유’라고 말할 수 있는 것보다 실제 상황에서 실제 상황에서 우유를 ‘가리킬’

수 있는 것이 더 중요

- 사회-의사소통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5가지 원칙

① 아동의 현행발달 수준과 기능적인 기준을 근거로 함

② 자연적인 상황에서의 기능적인 사회-의사소통 기술 강조

③ 상대방과 균형을 이룬 상호적인 의사소통 촉진

④ 상호작용대상자를 함께 교육

⑤ 문제행동을 교정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통합

• 최근 ‘긍정적 행동지원’ 방법 사용: 문제행동 기능분석  대체행동교수

* 화용론(pragmatics):

- 언어의 사회적 사용과 기능에 관한 규칙

- 말하는 이와 듣는 이의 관계, 시간과 장소의 적절성, 효과적인 주제의 선택 등과 관련한 용 법과 규칙이 포함됨

4.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교육

2)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적 접근

(2)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 장애의 특성상 장애의 결함을 보완하고 전형적인 발달을 돕기 위한 서비스를 시작하 는 시기가 빠를 수록 더 긍정적인 성과가 보고됨

- 생애 초기에 장애진단이 가능한 행동 특성을 보임 조기 발견이 가능 조기개입  다양한 측면에서의 성과를 기대가능

- 발달지체 영아를 위한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조건

. 조기발견과 관련된 진단체계 수립

. 다양한 진단도구를 개발 + 실행할 수 있는 진단 전문가를 양성

. 선별 또는 장애진단 과정을 통해 진단과 동시에 적절한 조기개입 프로그램 연계 .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활성화 필요

. 발견시스템 구축에서부터 적절한 인력에 의한 양질의 프로그램 제공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과학적 연구에 기반해야 함

4.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교육

2)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적 접근

(3) 통합교육

- 통합교육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성공적 교육을 위한 필수적인 요인 - 성공적 통합교육의 조건

. 환경 및 교육과정 수정과 일반학급에서의 지원 . 태도 및 사회적 지원

. 팀 구성원의 협력적인 지원 . 가정과 학교 간 협력 선행

(4) 기술의 일반화

-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의 운영과 아동을 통합 환경에 적응 시키기 위한 교육의 성과를 위해 일반화 중심 교수방법 선행

* 일반화: 학습된 행동이 다양한 상황에서 중재자 없이도 자발적으로 발생 - 일반화 촉진 교수방법의 기본 원칙

. 자연적인 강화물의 사용(강화물: 사회-의사소통적 행동에 대한 기능적인 결과, 즉 상대방의 반응)

. 다양한 상황에서의 학습

. 비학습 상황에서의 기능적인 중재자(사회적 의사소통 대상자, 예 또래)의 사용

. 자기관리 기술 습득:자신의 행동 식별  목표행동의 발생 여부를 기록하는 자기점 검기술(자기강화도 포함)

4.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교육

문서에서 특수아동교육 (페이지 64-6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