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료

문서에서 한국의 대외무역 지표 (페이지 40-58)

제 2 장

3. 자료

20년 평균 수출액 순위에서는 20위 안에 들었지만 지난 10년 동안 급격히 수출이 감소하여 100대 수출품목 안에 들지 못한 품목은 2가지이다. 영상기록용 또는 재생 용기기의 마그네틱테이프 중 폭이 12.7밀리미터 이하인 것(8521102000)과 정구화․

농구화․체조화․훈련화(6403994000)가 각각 7위와 14위에서 100위 밖으로 밀려났 다. 지난 10년 동안 40개 품목들이 총수출 비중 100위 이내에 새롭게 진입하였고, 이들 40개 품목이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총수출 비중 누계는 약 10%이다.

<표 4>와 <표 5>를 종합하여 볼 때, 지난 10년 동안 한국의 100대 주요 수출품목 에 약 40%의 변화가 있었다고 추론하여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 평균 상위 100위 수출품목들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1990년부터 2009년까 지 이들 품목의 교역액을 대상으로 한국의 대외무역 지표를 만든다.

자 간 교역의 품목별 데이터는 제공한다. 그러나 이 국가들을 제외한 한국의 교역대 상국의 양자 간 교역의 품목별 데이터와 전 세계 수준에서의 품목별 데이터는 제공 하지 않는다. 문제는 이러한 데이터의 부재로 인하여 HS 10단위 수준에서의 품목별 시장점유율, 품목별 양자 간 무역집중도, 그리고 현시 비교우위지수를 구할 수 없다 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무역협회에서 제공하는 HS 10단위로 측정된 한 국의 양자 간 교역 데이터와 EU의 HS 6자리 품목별 수출입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 장점유율, 국가별 양자 간 무역집중도, 무역특화지수, 산업 내 무역지수, 수직적(수평 적) 산업 내 무역지수, 시장별 비교우위지수, 수출경합지수를 만들었다.5)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국의 대외무역 지표를 만들었다.

무역 현황 측정을 위한 7개 대외무역 지표의 작성 방법론은 부록에 첨부하였다.

(1) 단위

수출입액의 단위는 1,000달러로 표현하였다. 중량의 단위는 kg이다. 수출입단가 는 수출입액을 수출입 중량으로 각각 나눈 값이다.

(2) 시장점유율

한국의 교역대상국으로의 특정 상품(k)의 특정 연도의 총수출 데이터와 교역대상 국의 전 세계로부터의 총수입 데이터가 필요하다. 한국무역협회에서 제공하는 데이 터는 중국무역, 일본무역, 미국무역, EU무역 그리고 세계무역 데이터이다. 본 연구 에서는 EU의 총수입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EU의 데이터는 HS 8자리까지 밖에 제공되지 않고 HS 8자리 품목별 데이터는 한국무역의 100대 수출품목이 기록 된 HS 10자리와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가 많이 있다. 따라서 한국의 100대 수출품목

5) HS 6단위로 측정된 한국과 한국의 모든 교역대상국의 양자 간 교역의 품목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UN com-trade 데이터를 이용하면 현시 비교우위지수를 만들 수 있다.

과 매칭할 수 있는 EU의 HS 6자리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한국무역 데이터의 상위 항목인 HS 6자리 데이터와 매칭하면서 HS 10자리 코드가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가 대략 10여 번 발생해서, HS 6자리로 한국, 미국 그리고 EU의 자료 를 통일할 때에 품목의 수가 100개에서 86개로 줄어들었다. EU의 경우 수출입액의 단위가 유로화로 기록되어서 IMF의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에서 달러화 대 유로화의 환율을 얻은 후 이것을 EU의 수출입액 데이터에 곱하여 동일한 금액의 단위인 1,000달러로 통일시켰다. 한국무역협회에서 제공하는 EU무역 데이터가 2003년부터이므로 한국의 EU 시장점유율은 2003년부터 2009년까지 86개 품목에 대해서 구하였다.

(3) 양자 간 무역집중도

국가 수준에서 양자 간 무역집중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특정 국가를 상대 로 한 특정 상품의 총수출액을 이용할 경우 한국의 약 8,700개의 모든 수출 상품에 대한 교역대상국으로의 수출액을 모두 더하여 한국이 특정 국가로 수출한 모든 상 품의 총수출액을 구해야 한다. 그러나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한국무역 협회에서 제공하는 한국의 특정 국가로의 총수출 데이터를 직접 이용하였다. 그리 고 한국의 특정 상품의 전 세계 총수출 데이터와 전 세계의 특정 교역대상국으로 의 총수출, 그리고 전 세계의 총수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가 수준에서 한국의 51 개 지역과 2개 경제권(G20, EU)에 대한 1990년부터 2009년까지의 양자 간 무역집 중도를 구하였다.6) 그러나 품목수준에서 양자 간 무역집중도는 세계무역에서 세계 의 특정 상품의 수출액 데이터를 한국무역협회에서 얻을 수 없는 관계로 생략하였 다.

6) 이후로는 51개 국가와 2개 경제권을 합하여 53개 대상국이라고 명명한다.

<표 6> 한국의 53개 교역대상국 코드별 분류

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1 AE 아랍에미리트 연합 28 IR 이란

2 AT 오스트리아 29 IT 이탈리아

3 AU 호주 30 JP 일본

4 BE 벨기에 31 LR 라이베리아

5 BR 브라질 32 MH 마샬군도

6 BS 바하마 33 MT 몰타

7 CA 캐나다 34 MX 멕시코

8 CH 스위스 35 MY 말레이시아

9 CL 칠레 36 NL 네덜란드

10 CN 중국 37 PA 파나마

11 CY 사이프러스 38 PH 필리핀

12 CZ 체코공화국 39 PL 폴란드

13 DE 독일 40 PT 포르투갈

14 DK 덴마크 41 RO 루마니아

15 EG 이집트 42 RU 러시아 연방

16 ES 스페인 43 SA 사우디아라비아

17 EU 유럽연합 44 SE 스웨덴

18 FI 핀란드 45 SG 싱가포르

19 FR 프랑스 46 SI 슬로베니아

20 G20 G20 47 SK 슬로바키아

21 GB 영국 48 TH 태국

22 GR 그리스 49 TR 터키

23 HK 홍콩 50 TW 대만

24 HU 헝가리 51 US 미국

25 ID 인도네시아 52 VN 베트남

26 IE 아일랜드 53 ZA 남아프리카

27 IN 인디아(인도)

(4) 무역특화지수

먼저 품목 수준에서 한국의 특정 국가로의 특정 상품의 총수출입액을 이용하여 1990년부터 2009년까지 53개 무역대상국에 대하여 100개 품목의 무역특화지수를 구하였다. 한국의 양자 간 수출입액을 이용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 구한 무역특화지 수는 한국을 중심으로 한 수출품목에 대한 값이다.7)

(5) 산업 내 무역지수

품목별 산업 내 무역지수는 1990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의 53대 교역대상국에 대하여 100대 품목들의 산업 내 무역지수를 작성하였다. 국가 수준에서 한국의 교 역대상국 전체에 대한 산업 내 무역지수도 교역가중평균을 이용하여 합산하는 방법 으로 구하였다. 한국의 전 세계에 대한 산업 내 교역지수는 구하지 않고 이에 대신 해서 특정 지역경제권을 대상으로 해서 산업 내 무역지수를 구하였다. 먼저 한국의 30대 교역대상국으로 이루어진 지역경제권에 대한 산업 내 무역지수를 구하였다.

한국의 대외무역 지표 작성 시 사용한 30대 교역대상국의 코드는 <표 6>에서 열거 하였다.8)

(6) 수직적(수평적) 산업 내 무역지수

한국의 품목별 수출입액을 이용하여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해서 분수로 만든 후 0.1보다 그 값이 큰 경우만 수직적(수평적) 산업 내 무역지수로 산정하였다. 수출단가 와 수입단가는 수출입액을 수출입 중량으로 나누어서 구한 후, 수출단가를 수입단가

7) EU, 중국,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Home Country로 한) 품목별 무역특화지수는 구하지 않 았다.

8) <표 6>에서 총 국가 수가 53개인 이유는 EU 22개 회원국과 G20 경제권을 30개 국가에 더하 였기 때문이다. 그 밖에 지역 내의 산업 내 무역지수, 지역 간 산업 내 무역지수는 구하지 않았 다.

로 나눈 값이 25% 표준편차조건을 만족시키는 여부에 따라 수직적(수평적) 산업 내 무역지수를 만들었다. 국가 수준에서 특정품목에 대한 최솟값을 최댓값으로 나눈 값 을 무역가중평균 합산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9)

(7) 시장별 비교우위지수

한국의 특정 국가로의 특정 상품의 특정 시점에서의 수출과 한국의 전 세계로의 특정 상품의 특정 시점에서의 수출, 한국의 특정 국가로의 모든 상품의 특정 시점에 서의 수출, 한국의 전 세계로의 모든 상품의 수출 데이터를 모두 한국무역협회에서 구해서 1990년부터 2009년까지 53개 수출대상국에 대하여 100개 품목의 시장별 비 교우위지수를 구하였다.

(8) 수출경합지수

한국을 기준으로 미국과 EU를 대상으로 해서 수출경합도를 구하였다. 미국과 EU의 수출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는 세부단위가 HS 6단위이므로 한국, 미국, EU의 HS 6단위의 품목별 데이터를 구해서 한국의 미국과 EU에 대한 수출경합도를 구하 였다. 100대 수출품목권 수준과 10대 수출품목군 수준에서 한‧미, 한‧EU 수출경합 도를 구하였다.10) 한‧EU 수출경합도는 데이터 부재로 인하여 2003년부터 2009년 까지만 구하였다.

(9) 데이터 저장, 데이터 정렬방식 및 관측치(observation)의 수

100가지 품목의 (EU를 포함한) 30개 국가에 대한 지난 20년 동안의 수출입 데이터

9) 국가 수준에서 전 세계 교역에 대한 수직적(수평적) 산업 내 무역지수는 데이터의 부재로 인하 여 구하지 못하였다. 지역 내 또는 지역 간 수직적 산업 내 무역지수도 구하지 못하였다.

10) 그러나 한‧중, 한‧일 수출경합지수는 구하지 않았다.

는 한국무역협회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여 수집하였다. 이 데이터는 한국이 지난 20년 동안 100대 수출품목의 30대 수출입 대상국에 대한 각각의 수출입액과 중량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무역대상국이 30개국이고 무역 품목이 100개인 경우에 한정해서 한국의 대외무역 지표를 구하였다.

한국의 양자 간 교역 데이터를 위주로 관측치(observation)를 배열하였으므로 한국 을 i라고 가정하고 j(무역대상국), k(HS 10자리 품목), t(시간) 순으로 3차원으로 (3-dimension) 배열하였다. 그리고 같은 줄에 수출입액과 수출입 중량의 관측치를 열 거하였다. 한국을 중심으로 30개국을 대상으로 20년 동안 한국의 대외 총수출의 20%를 차지하는 상품들의 교역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그래서 관측치의 수는 30×

20×100=60,000이다. 실제로 누락된 관측치를 제외하고 한국의 양자 간 교역액의 관 측치의 수는 55,559이다. 지금까지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제작한 한국의 대외무역 지표 변수의 수는 약 85개이다. 모든 변수들의 이름과 정의, 관측치의 수, 그리고 기 초통계값은 <표 7>에 기록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데이터와 변수 작성 프로그램은 STATA 파일로 “Indicators.dta”와 “Indicators.do”란 이름으로 저장하였다.11) 지표 작성 중에 생성된 모든 변수와 관측치를 포함하면 변수는 총 153개, 관측치는 84,640개이다. 한국의 대외무역 지표 작성에 사용된 100대 수출품목의 HS 10단위 코드와 내용은 <표 8>에 기록하였다.

11) STATA 프로그램은 <부표 1>에 첨부하였다.

문서에서 한국의 대외무역 지표 (페이지 4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