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료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40)

첫째,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측정도 구의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해 Cronbach'sα 를 사용하였다.

둘째,어머니의 결혼 만족도,심리적 안녕감 및 애착안정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 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애착안정성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다.매

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1)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2)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유의 미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3)매개변인이 종속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

(4)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을 함께 통제할 때 종속변인에 대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쳤던 독립변인의 영향이 더 이상 유의하지 않게 되거나 유의하지만 영향이 감소하는 것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독립변인인 결혼만족도가 종속변인인 애착안정성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그리고 결혼만족도가 매개변인인 심리적안녕감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매개변인인 심리적안녕감이 종속변인인 애착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마지막으로 독립변인인 결혼만족도와 매개변인인 심리 적안녕감을 회귀방정식에 함께 투입하였을 때,애착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던 결 혼만족도의 영향이 없어지거나 유의하게 감소하는지 알아보았다.그 다음으로 매개효 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검증하기 위해서 Sobel검증(1982)을 실시하였다.

넷째,결혼만족도와 애착안정성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더 확실하게 검증하기 위해 AMOS 18.0을 이용하였다.본 연구에서는 측정오차를 추정할 수 있고 매개변수의 사용이 용이하며 이론 모형에 대한 통계적 평가가 가능하다(홍세희,2003) 는 장점을 가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해 보았다.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에 앞서 하위요인이 없는 결혼만족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임의로 요인 의 수준을 나누어 할당하였다.그다음으로,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nderson과 Gerbing(1988)이 제안한 두 단계 검증방식에 따라 측정모형을 검증하였다.측정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결혼만족도,심리적안녕감,애착안정성의 측정모형을 분석하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적합도에 따라 측정모형의 적절성을 판단하였다.측정변인 간의 구조모형이 자료에 적합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자료가 정상분포의 가정을 충족하 는지 살펴보았으며,각 변수의 왜도와 첨도값을 각각 절대값 2와 4를 기준으로 가정 삼았다(Hong,Malik & Lee,2003).모형검증을 위한 부합지수들의 계산은 최대우도법 (Maximum Likelihood:ML)을 사용하였다.구조방정식 모형의 평가기준으로는 χ²을 이용한 모형 평가와,적합도 지수로 이론모형의 적합도를 다른 모형의 적합도와 비교 해 상대적으로 평가하지 않고,이론적 모형이 자료와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절대적으로 평가하는 절대적 적합도 지수와 최악의 모형에 비해 이론적 모형이 자료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 보여주는 상대적 적합도가 있다.절대적 적합도 지수로는 GFI(Goodness of Fit Index),AGFI(Adjusted goones of fit index),RMSEA(Roor Mean Square

ErrorofApproximation)등이 있으며,상대적 적합도 지수로는 NFI(NomedFitIndex), ,AMOS 결과에서 TLI(Tucker-Lewis Index)로 나타나는 NNFI(Non-Normed Fit Index),CFI(ComparativeFitIndex)등이 있다(홍세희,2000).

결과를 제시할 때 절대적 적합도 지수는 하나 이상,상대적 적합도 지수는 두 개 이 상을 보고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Holy& Panter,1995)하므로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 기 위해 홍세희(2000)가 만족스러운 적합도 지수로 제안하고 있는 TLI,CFI,RMSEA 를 사용하였다.

<그림 1>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모형

<표 5> 주요 변인의 평균 및 표준표차

(N=200)

변인 평균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

결혼만족도 62.65 11.92 85 21

심리적안녕감 146.13 8.53 170 115

자아수용 24.77 2.46 31 17

긍정적 대인관계 24.38 3.09 33 15

자율성 24.96 2.41 33 17

환경 통제력 26.43 2.91 33 16

삶의 목적 22.43 2.04 29 18

개인적 성장 24.67 2.46 34 18

애착안정성 45.53 4.39 57 36

의사소통 15.47 1.65 20 11

신뢰감 17.27 1.93 22 12

소외감 12.79 1.58 16 9

Ⅳ.연구 결과

A.기술통계결과

1.결혼만족도,심리적 안녕감,애착안정성의 기술 통계치

본 연구의 주요 변인인 결혼 만족도,심리적 안녕감(자아수용,긍정적 대인관계,자 율성,환경 통제력,삶의 목적,개인적 성장),애착안정성 (의사소통,신뢰감,소외감)의 기술통계치 는 <표 4>와 같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4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