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구조모형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50)

1.연구모형 검증 1)정규성 검증

본 연구에서는 결혼만족도,심리적 안녕감,애착안정성에 대한 측정의 적절성을 살펴 보기 위해,최대 우도법(MLE)을 활용한 구조방정식을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정규성 (Multivariatenormality)을 검증하였으며,측정모형을 분석하는 확인적 요인분석(CFA) 을 AMOS 20.0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다변량 정규성은 각 측정변인의 왜도(Skewness)와 첨도(Kurtosis)를 확인하여 정규분

구분 왜도 첨도

결혼만족도

전반적결혼생활에

대한 만족 -.649 .914 부부의

사회심리적동질감 -.831 1.010 부부관계의

갈등 및 불만요인 -.365 -.174 부부관계의

합리적 태도 -.527 .758

심리적안녕감

자아수용 -.209 .379

긍정적 대인관계 -.158 .022

자율성 .096 .967

환경통제력 -.390 .652

삶의목적 .194 .531

개인적성장 .039 .568

애착안정성

의사소통 .362 .152

신뢰감 .364 -.071

소외감 .141 -.339

포의 가정을 충족하였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왜도와 첨도가 약간이라도 다변량 정규성 을 위배할 경우 통계적으로 정규성이 기각될 수 있기 때문에 통계적 검증보다는 절대 값의 크기로 평가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변수의 왜도가 절대값 2미만,첨도가 절대 값 4미만일 경우,변수들의 분포가 정규성을 충족한다(Hong,Malik& Lee,2003).

<표 9> 정규성 분포결과

N =200

분석 결과,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인들에 대한 왜도와 첨도는 각각 2와 4미만의 절대 값을 보임으로써 정규성을 충족했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연구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하여,카이자승값(χ²)외에 비교적 표본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모형의 간명성을 선호하는 지수로 알려진 TLI(Tucker-Lewis Index),RMSEA(RootMean SquareErrorofApproximation),모형의 간명성을 선호 하지는 않지만 비교적 표본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CFI(ComparativeFitIndex)를 적 합도 지수로 사용하였다.TLI,CFI는 .90이상이면 모형의 적합도가 좋은 것으로 간주 되고,RMSEA 값은 .05이하이면 좋은 적합도 .08이하이면 괜찮은 적합도 .10이하이면 보통 수준의 적합도를 의미한다(홍세희,1999).측정모형의 검증 결과는 <그림 2>과

<표 10>에 제시하였다.

모형 χ² df CFI TLI RMSEA

연구모형 171.24 62 .90 .88 .09

그림2.연구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표 10> 연구모형의 적합도

카이자승값(χ²)을 이용한 적합도 검증은 표본의 크기에 민감하기 때문에 영가설을 기 각할 가능성 또한 크다.본 연구에서는 카이자승값(χ²)이 171.23으로 영가설을 기각하 였다.카이자승값(χ²)이외에 적합도 지수를 이용한 모형 평가에서는 CFI값이 .90이상 으로 측정 모형이 적합하였고 RMSEA의 값은 .10보다 작게 나타나 보통 수준의 적합 도를 나타내었다.그러나 TLI의 값은 .884로 .90보다 다소 작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적합도 지수들이 양호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비교적 적합하다고 판명할 수 있다.

모형 χ² df ρ CFI TLI RMSEA 제안모델

(부분매개모형) 171.24 62 .000 .90 .88 .09 대안모델

(완전매개모형) 176.17 63 .000 .90 .88 .09 χ²차이검증 χ²=χ²- χ²= 4.93(△=1)

2)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모형 비교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아동 애착안정성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을 매개로 하는 간 접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매개변인은 독립변인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종속변인의 원인이 되는 변인이며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 이 면에 숨어있는 인과적 구조를 이해하고자 할 때 이용한다.매개변인을 가정하는 매개 모형은 한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제3의 변인 즉 매개변인 (Mediatingvariable)이 두 변인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형을 말하는 것으 로 이에는 부분 매개모형과 완전 매개모형이 있다(홍세희,2005).부분 매개모형은 매 개변인이 추가된 모형에서의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효과가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이면서 매개변인이 없는 모형에서의 독립변인 효과보다 작고,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의 관계와 매개변인과 종속변인과의 관계가 유의미한 것을 의미한다.완전 매 개모형은 매개변인이 포함되었을 때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효과가 0에 가까우 며 따라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본연구에 서 설정한 부분 매개모형과 완전 매개모형은 <그림 3>,<그림 4> 와 같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안녕감이 결혼만족도와 애착안정성간의 관계를 매개하 는지 검증하기 위해 결혼만족도를 예언변인,애착안정성을 결과변인,심리적안녕감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결혼만족도에서 심리적안녕감으로 가는 경로,심리적안녕감에 서 애착안정성으로 가는 경로,결혼만족도에서 애착안정성으로 가는 경로를 포함한 구 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한 다음 제안모델(심리적 안녕감 부분매개 모형)과 대안모델(심 리적 안녕감 완전매개 모형)의 적합도와 차이검증을 이용해 모형 비교를 하였다.두 모형간 적합도와 차이검증은 <표 11>에 제시하였다.

<표 11> 모형간의 적합도 차이검증

N =200

카이자승(χ²)차이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면 부분매개모형을,유의미하지 않 으면 완전매개모형을 선택한다(홍세희,2001).<표 11>을 보면 두 모형의 χ²차이 값은 4.93이며,자유도의 차이값은 1로 α=.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므로 부분매개모 형이 지지되었다.제안모델인 부분매개 모형은 대안모델에 비해 자유도가 1만큼 감소 하였으나 χ²의 값의 감소폭이 자유도 감소를 상쇄시킬만큼 충분히 감소했으므로 대안 모델인 완전매개모형보다 우수한 것으로 볼 수 있다.즉 심리적 안녕감은 결혼만족도 와 애착안정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한다고 할 수 있다.χ²값은 적합도 지수들 중에서 모형을 자료에 적용시켰을 때 그 모형이 얼마나 현실자료에 ‘부합하지 않는가’를 나타 내며,그 값이 작을수록 그 모형은 자료에 일치하고 좋은 모형에 해당한다.본 연구에 서는 완전매개모형 보다 부분매개모형이 더 우수한 모형으로 채택되었으며 따라서 어 머니들에게 있어서 결혼만족도가 애착안정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다 고 볼 수 있고,또한 결혼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을 통해 애착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간접영향도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림3.부분 매개모형 그림4.완전 매개모형

3)최종 구조모델의 경로분석

본 연구에서 매개모형을 평가하기 위한 절차로 경로 a와 경로b가 유의미한지,그리고 매개효과 ab가 유의미한지 부분매개모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a,b가 유의미하고 ab 가 유의미하면 심리적 안녕감은 결혼만족도와 애착안정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으 므로 매개모형을 지지한다.본 연구에서 최종 선택 모형인 부분매개모형의 모수 추정 치를 살펴보면,모형에서 설정한 3개의 경로계수 가운데 모든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12>의 잠재변수 간 경로계수 추정 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잠재변수들 간의 경로 a,b,c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표 12>의

경로 비표준화 계수(B)

표준화 계수(β)

표준오차

(SE) C.R 결혼만족도 → 심리적안녕감(a) .45 .69 .08 5.98***

심리적안녕감 → 애착안정성(b) .40 .42 .13 3.06**

결혼 만족도 → 애착안정성(c) .17 .27 .07 2.38*

구조경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전체효과

결혼만족도 → 심리적안녕감 .45(.69) .00(.00) .45(.70) 심리적안녕감 → 애착안정성 .40(.42) .00(.00) .40(.42) 결혼만족도 → 애착안정성 .17(.27) .18(.29) .35(.56) 표준화 추정치를 살펴보면 결혼만족도에서 심리적 안녕감으로 가는 경로(β=.70)는 α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심리적 안녕감에서 애착안정성으로 가는 경로(β

=.42)는 α=.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결혼만족도에서 애착안정성으로 가는 경 로(β=.27)로 α=.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와 같은 결과는 결혼만 족도는 심리적 안녕감을 매개로 애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다.따라서 결혼 만족도와 애착안정성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지지되었고 가설1 또한 지지되었다.

<표 12> 최종구조모델의 경로 분석

*p<.05,**p<.01,***p<.001.

4)최종모형의 총효과 분해 및 매개효과 검증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아동의 애착안정성 간의 관계에 심리적 안녕감의 부분매개효 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결혼만족도,심리적 안녕감,애착안정성 간의 직접·간접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표 13> 과 같다.

<표 13> 변인들 간의 직접·간접 효과

추정치:비표준화 계수(표준화 계수)

변인들 간의 효과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결혼만족도는 심리적안녕감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보였으며(.69),심리적안녕감은 애착안정성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보이는 것 으로 나타났다(.42).한편 결혼만족도는 애착안정성에 정적인 직접효과와(.27)정적인

간접효과(.29)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아동의 애착안 정성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이 부분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Ⅴ.결론 및 논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5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