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자료처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58)

그림 7. 연구절차

운동 프로그램 D.

운동프로그램 시행은 G광역시 동구 T크로스핏 센터에서 운동프로그램을 6 주간 실시 하였으며 주 회, 3 , 1일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포함하여 40분 운동 을 실시 하였다 크로스핏운동의 프로그램은. <표 2>와 같다.

표 2. 크로스핏 운동프로그램

측정도구 E.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표 3>과 같다.

표 3. 측정도구

측정도구명 모델명 제조국 측정항목

신장계 G-Tech Korea 신장

체성분측정기 InBody 370

Biospace Korea 체중 체지방률,

체형체력분석기 HIMS Pro Korea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 , 순발력 민첩성,

젖산분석기 Lactate Pro2

(CT-1730) Japan 혈중 젖산 수치

아미노산 섭취방법 F.

아미노산은 I제약회사에서 개발한 Poweramin Soft Cap. 제품을 개발사의 권고에 따라 알약의 형태로 1일 2회 1정씩 총 1일 2정을 섭취량으로 설정 하 였고 실험 0주에서 6주간 매일 아침에 1정 저녁에, 1정씩 복용 하도록 하였다.

아미노산의 섭취 형태는 <그림 8>과 같다.

그림 8. 건강보조제 아미노산 정( )

통계처리 G.

본 연구의 모든 자료처리는 SPSS window ver. 22.0 프로그램을 사용 하였 으며 모든 결과값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제시 하였다 그룹 내 각각의 변인의 차, . 이 검증과 얻어진 결과값을 이용해 그룹 간 차이 검증을 위하여 향상도와 감소, 량의 평균값을 토대로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결과의 통계적 유, 의수준은 p<.05로 설정 하였다.

연구 결과 .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섭취그룹 아미노산 섭취와 운동( ) 5명과 통제그룹 아미노산섭취 통제와 운동( ) 5명 총, 10명의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6주간 아미노산 섭취가 고강도 단시간 운동 시 체력요인의 향상과 체지방률 감소 근육 피로물질인 젖산을 분해 하는데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 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섭취그룹의 실험 전 후 체력요인 체지방률 혈중젖산의 변화

A. ․ , ,

섭취그룹의 실험 전 후 체력요인 근력 좌 우 근지구력 좌 우 심폐지구력 순발․ ( / , / , , 력 민첩성, ), 체지방률 혈중젖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표 4>, <그림 9-1>, 그림 그림 과 같다 체력요인 중 좌 우 근력의 변화에 대한 결과는

< 9-2>, < 10> . /

실험 전 좌 근력 28.70±5.71에서 실험 후 33.10±5.81과, 우 근력 에서 로 증가하여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35.80±8.04 40.70±8.09

(p<.01), (p<.01), 좌 우 근지구력에서도 실험 전 좌 근지구력/ 64.74±11.24에 서 실험 후 76.68±9.24와 우 근지구력76.54±6.62에서 87.98±5.16으로 증 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p<.01). 심폐지구력은 실험 전 31.88±6.48에서 실험 후 40.82±7.25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였으며(p<.05), 순발력에서는 실험 전 531.76±34.98에서 실험 후

로 증가 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575.80±31.42 (p<.05), 민첩성 또한 실험 전 494.88±36.96에서 실험 후 433.26±49.96으로 감소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체지방률은 실험 전 18.78±3.55에서 실 험 후 15.54±3.57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p<.01).

혈중젖산 수치는 실험 전 2.06±0.35에서 실험 후 1.32±0.31로 감소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1).

표 4. 섭취그룹의 실험 전 후 체력요인 체지방률 혈중젖산 수치의 변화․ , , M±SD

Pre-Test (M±SD)

Post-Test

(M±SD) t p

좌 근력(kg) 28.70±5.71 33.10±5.81 -23.519 .001***

우 근력(kg) 35.80±8.04 40.70±8.09 -4.759 .009**

좌 근지구력

(%) 64.74±11.24 76.68±9.24 -6.468 .003**

우 근지구력

(%) 76.54±6.62 87.98±5.16 -11.215 .001***

심폐지구력

(ml/kg/min) 31.88±6.48 40.82±7.25 -4.318 .012*

순발력(watt) 531.76±34.98 575.80±31.42 -4.002 .016*

민첩성(msec) 494.88±36.96 433.26±49.96 4.408 .012*

체지방률(%) 18.78±3.55 15.54±3.57 5.301 .006**

젖산(mmol/L) 2.06±0.35 1.32±0.31 8.488 .001***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p<.001***, p<.01**, p<.05*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좌 근력(kg) 우 근력(kg) 좌 근지구력(%) 우 근지구력(%)

Pre-Test Pst-Test

그림 9-1. 섭취그룹의 체력요인의 변화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심폐지구력 순발력(watt) 민첩성(msec)

Pre-Test Pst-Test

그림 9-2. 섭취그룹의 체력요인의 변화

0 2 4 6 8 10 12 14 16 18 20

체지방률(%) 젖산(mmol/L)

Pre-Test Pst-Test

그림 10. 섭취그룹의 체지방률 혈중젖산 수치의 변화,

통제그룹의 실험 전 후 체력요인 체지방률 혈중젖산의 변화

B. ․ , ,

통제그룹의 실험 전 후 체력요인과 체지방률 혈중젖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

표 그림 그림 그림 와 같다 체력요인 중 좌 우

< 5>, < 11-1>, < 11-2>, < 12> . / 근력에 대한 결과는 실험 전 좌 근력 33.20±5.63에서 실험 후 36.00±5.78와 우 근력 32.40±3.36에서 35.30±3.56으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 를 보였으며(p<.01), (p<.01), 좌 우 근지구력에서는 실험 전 좌 근지구/ 력 67.98±11.94에서 74.30±10.82와 우 근지구력 70.00±13.49에서 로 증가하여 좌 근지구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74.02±12.12

(p<.05), 우 근지구력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 다. 심폐지구력은 실험 전 34.34±9.36에서 실험 후 39.14±12.88로 증가 하 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순발력은 실험 전

에서 실험 후 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 521.00±53.74 552.98±51.62

한 차이를 보였다(p<.01). 민첩성은 실험 전 479.12±44.93에서 실험 후 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중

469.06±48.52 .

젖산의 경우 실험 전 2.02±0.52에서 실험 후 3.96±1.36으로 증가하여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표 5. 통제그룹의 실험 전 후 체력요인 체지방률 혈중젖산 수치의 변화․ , , M±SD

Pre-Test (M±SD)

Post-Test

(M±SD) t p

좌 근력(kg) 33.20±5.63 36.00±5.78 -14.000 .001***

우 근력(kg) 32.40±3.36 35.30±3.56 -5.687 .005**

좌 근지구력

(%) 67.98±11.94 74.30±10.82 -2.881 .045* 우 근지구력

(%) 70.00±13.49 74.02±12.12 -1.293 .266 심폐지구력

(ml/kg/min) 34.34±9.36 39.14±12.88 -2.338 .080

순발력(watt) 521.00±53.74 552.98±51.62 -8.496 .001***

민첩성(msec) 479.12±44.93 469.06±48.52 1.157 .312

체지방률(%) 17.72±5.50 16.54±5.97 2.755 .051

젖산(mmol/L) 2.02±0.52 3.96±1.36 -2.977 .041*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p<.001***, p<.01**, p<.05*

0 10 20 30 40 50 60 70 80

좌 근력(kg) 우 근력(kg) 좌 근지구력 우 근지구력

Pre-Test Post-Test

그림 11-1. 통제그룹의 체력요인의 변화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심폐지구력 순발력(watt) 민첩성(msec)

Pre-Test Post-Test

그림 11-2. 통제그룹의 체력요인의 변화

0 2 4 6 8 10 12 14 16 18 20

체지방률(%) 젖산(mmol/L)

Pre-Test Post-Test

그림 12. 통제그룹의 체지방률 혈중젖산 수치의 변화,

섭취그룹과 통제그룹간의 실험 전 후 체력요인의 향상도

C. ․ ,

체지방률 감소량 혈중젖산의 변화 ,

섭취그룹과 통제그룹 집단 간 실험 전 후 체력요인의 향상도와 체지방률 감․ 소량 혈중젖산의 평균을 비교하여 두 그룹간 체력요인 향상도와 체지방률 감, 소량 젖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표 6>, <그림 13-1>, <그림 13-2>, <그 림 14>와 같다 체력요인의 향상도에서는 두 그룹 간 향상도에 차이는 있었으. 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체지방률 감소량에서도 두, , 그룹 간 감소량에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중젖산의 변화는 섭취그룹은 혈중젖산 수치가 실험 전 후 비교 결과 감소 하․ 였고 통제그룹은 증가 하였으며 두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표 6. 두 그룹 간 실험 전 후 체력요인 향상도 체지방률 감소량․ , ,

혈중젖산 수치의 변화 M±SD

섭취그룹 (M±SD)

통제그룹

(M±SD) t p

좌 근력(kg) 4.40±0.41 2.80±0.44 5.842 1.000

우 근력(kg) 4.90±2.30 3.10±0.74 1.664 .177

좌 근지구력

(%) 11.94±4.12 6.32±4.90 1.960 .542 우 근지구력

(%) 11.44±2.28 4.02±6.95 2.268 .141 심폐지구력

(ml/kg/min) 8.94±4.62 4.80±4.59 1.420 .829

순발력(watt) 44.04±24.60 31.98±8.41 1.037 .284

민첩성(msec) -61.62±31.25 -10.06±19.43 -3.132 .314

체지방률(%) -3.24±1.36 -1.18±0.95 -2.760 .413

젖산(mmol/L) -0.74±0.19 1.94±1.45 -4.077 .018*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p<.001***, p<.01**, p<.05*

0 2 4 6 8 10 12 14

좌 근력(kg) 우 근력(kg) 좌 근지구력 우 근지구력

섭취그룹 통제그룹

그림 13-1. 두 그룹 간 체력요인의 향상도 차이 비교

-80 -60 -40 -20 0 20 40 60

심폐지구력 순발력(watt) 민첩성(msec)

섭취그룹 통제그룹

그림 13-2. 두 그룹 간 체력요인의 향상도 차이 비교

-4 -3 -2 -1 0 1 2 3

체지방률(%) 젖산(mmol/L)

섭취그룹 통제그룹

그림 14. 두 그룹 간 체지방률 감소량 혈중젖산 수치의 차이 비교,

논 의 .

본 연구는 아미노산의 섭취가 크로스핏에 참여하는 성인 20대 남성의 체력향 상 및 체지방률감소 혈중젖산의 분해에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 가에 대한 연구이, 며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 하고자 한다, .

체력요인의 변화 A.

아미노산의 종류는 현재까지 밝혀진 20여종 중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합, 성되어도 미량으로 생리적인 필요량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식이로써 보충해줘야 하는 필수아미노산으로 구분된다 필수아미노산은. 9종이 있다 필수아미노산은. 성인의 경우는 발린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트레오닌 리신 페닐알라닌 트, , , , , , , 립토판 히스티딘이 있고 유아의 경우 아르기닌이 추가 된다 아르기닌은 유아, , . 의 체내에서 합선하지 못하여 필수아미노산으로 분류 되나 성인의 체내에서는, 합성이 가능하게 되면서 성인의 필수아미노산에서 제외된다 최영안. (2008)은 필 수아미노산 중 골격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BCAA에 대하여 필수아미노산 으로서 아미노산 중 유일하게 골격근에서 대사되며 근육이 만들어지는 기본 세, 포들을 단단히 결합시켜 근육이 손실되지 않고 오래 지속 시켜주는 보충제이며 아이소루신 류신 발린으로 구분된다 하였다, , .

또한 크로스핏의 운동효과에 대한 연구 중 박주식 등(2014)는 신체 전반의 기능적 복합적 통합 운동프로그램으로 비교적 단시간 고강도 운동으로 파원, , , 스피드 스테미나 심폐지구력 유연성 밸런스 정확성 조정력 근력 민첩성 향, , , , , , , , 상에 부족함이 없는 운동이라고 소개했다 최영안. (2008)은 20대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10주간 웨이트 트레이닝 시 BCAA와 Glutamine 섭취가 신체조성 근,

위크기 및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 BCAA와 Glutamine을 섭취한 실험군이 골격근량 증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보고 하였고 이는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체력향상에 있어 섭취그룹이 통제그룹 보다 상대적으로 체 력요인이 향상한 결과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6주간 근육강화에 효과가 있는 아미노산 섭취가 고강도 단시간 운동인 크로스핏의 체력 향상에 부가적인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 섭취그, 룹과 통제그룹 간에 체력요인의 향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지 않 았지만 전반적으로 섭취그룹이 통제그룹 보다 상대적으로 향상도가 높게 나타났, 다 이는 아미노산의 섭취가 운동 효과 중 체력요인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 효과에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사료 된다.

체지방률의 변화 B.

신체구성 중 체지방률은 건강의 지표로 사용되기도 하며 비만을 평가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신체구성. (body composition)이란 신체를 구성하는 요소 의 정량적인 개념으로 살펴 봄 으로써 신체의 상대적인 비만 정도를 나타내거 나 신체의 상태를 알아볼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가 된다 신체구성의 지, . 표로 체지방률(%body fat)은 체중에서 차지하는 지방의 비율이며 일반적으, 로 비만도의 지표로 사용된다 김원경. (2013)은 12주간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크로스핏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신체구성인 체지방률이 실험 전 후 유의`․

한 차이가 보였다고 보고 한바 있으며, 김완주(2015)는 대사증후군이 있는 30대 남성을 대상으로 8주간 크로스핏운동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들의 BMI 실 험 전 29.86±1.35에서 실험 후 26.29±1.50으로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강민성(2016)의 연구에 따르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한 12간 크로스핏 트레이닝은 대상자들의 실험 전 후 체지방률감소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보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크로스핏 운동프로그램을 6주간 두 집단이 동일하게 실시한 결과 체지방률 감소에 섭취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였으며 (p<.05), 통제집단 또한 체지방률이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 상대적으로 감소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는 선행 되었던 연구에서 보고한. 바와 일치한다 할 수 있으나 아미노산이 체지방률 감소에도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통제그룹의 경우 기간상의 차이점으로 볼 때. 6주이상의 지속 적인 운동을 실행할 경우 통계상 유의한 수준의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사 료 된다.

혈중 젖산의 변화 C.

피로물질인 젖산은 lactate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lactate의 축적에 대한 이론은 운동 시 근육내 ph수치를 낮추고 근육의 활동력을 억제 하며 세포를 산성화시켜 피로를 유발 시킨다고 연구되어 왔다 운동 강도가 높고 비교적 운. 동 기산이 짧은 운동일수록 체내에서 lactate를 제거하는 비율보다 축적되는 비율이 높아져 피로를 유발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운동시간이 정기화. 되고 운동 강도가 적당한 상태에서 충분한 산소가 공급된다면 인체에 축적된

lactate 혈액에 의해 근육으로 제거되기 시작하여 lactate는 간에서 당 신생 과정의 전자(precursor)의 하나로 glucose로 전환되어 다시 에너지원으로 사용 하게 된다.(Ahlborg, et al.,1974), (Karlsson & Saltin, 1970), (Hermansen &

Osnes, 1972), (Jones, et al., 1977), (Tesch, et al., 1978), (Tesch, 1980).

즉 피로물인 젖산은 운동을 시작하는 초기에 비교적 고강도 단시간 운동에서, 체내에서의 제거률 보다 축적률이 높아져 피로를 유발하고 운동수행능력을 억제 하게 되며 운동 시간이 정기화 되고, lactate를 제거 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춰지 면 다시 에너지원으로 환원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5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