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4-69)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프로그램 처치 전에 동질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으로 사전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 였다.이후에 사전,사후에 나타나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 차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집단 Kolmogorov-Smirnova Shapiro-Wilk

  통계량 자유도 유의확률 통계량 자유도 유의확률

자기조절 실험 .12 12 .20 .95 12 .64 통제 .15 12 .20 .94 12 .45

제4장 연구결과

제1절 실험· 통제집단의 정규성 검증

일반적으로 표본수가 30을 넘는 경우는 정규성을 갖는다고 가정할 수 있지만 본 연구의 표본 수는 30이 넘지 않아 자료를 분석하기에 앞서 먼저 정규성 검증 절차를 걸쳤다. 본 연구에서는 SPSS가 제공하는 통계적인 방법인 데이터 탐색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대개 표본수가 10~30인 경우에는 Kolmogorov-Smirnov test,Sapiro-Wilkstest를 통해 정규성을 검정하는데,여기서도 그 방법에 따라 정규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 유의확률이 0.05보다 크므로 수집된 자료가 정규 분포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표 5> 실험·통제집단의 정규성 검증

제2절 실험·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자기조절 능력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참가자 간에 동질성이 있는지 t검증을 사용해 검증하였고, 결과를 <표 6>에 제시하였다.

<표 6> 실험・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변인 집단 N M SD t p

자기 조절

충동통제 실험집단 12 21.17 7.54

-.48 .634 통제집단 12 22.42 4.83

만족지연 실험집단 12 9.83 2.55

.38 .709 통제집단 12 9.50 1.68

역기능정서 실험집단 12 16.83 4.32

-1.83 .080 통제집단 12 19.75 3.41

긍정정서 실험집단 12 8.17 1.44

-1.85 .079 통제집단 12 9.83 1.27

*;p<.05

<표 6>에서 보듯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사이에 사전검사로 실시한 충동통제,만족 지연,역기능정서,그리고 긍정정서 점수에 있어서 t-test를 통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이러한 결과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실험처치 전에 자기조절 점수에 있어서 동질적인 집단임을 의미한다.

제3절 실험· 통제집단 간 자기조절 전체 점수의 사전,사후 분석 결과

자기조절 능력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참가자들의 자기조절 점수를 사전과 사후로 측정하여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제시하였으며,실험·통제집단 간 사전,사후에 따른 대응표본 t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8>에 제시하였다.

하위요인 집단(N) 사전 사후

t p

M (SD) M (SD)

자기조절

실험(12) 55.75 (12.86) 75.58 (10.88) -8.3*** .000 통제(12) 61.50 (8.71) 65.75 (10.58) -2.08 .062

<표 7> 실험·통제집단 간 사전,사후에 따른 자기조절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시기 집단 M SD N

자기 조절

사전 실험집단 55.75 12.86 12

통제집단 61.50 8.71 12

사후 실험집단 75.58 10.88 12

통제집단 65.75 10.58 12

<표 8> 실험·통제집단 간 사전,사후에 따른 자기조절 점수의 대응표본 t분석결과

***;p<.001

<표 8>에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t=-8.3,p<.001),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t=-2.08, p=.062).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자기 조절 능력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자기조절 능력 점수가 통제집단 보다 프로그램 실시 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러한 결과를 그 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실험・통제집단간 사전,사후에 따른 자기조절 점수의 변화

제4절 실험· 통제집단의 자기조절 하위요인별 사전,사후 점수 분석결과

여기에서는 실험․통제 집단의 자기조절 척도의 하위요인별 점수의 변화를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따라 살펴보았다.즉,자기조절의 하위요인인 충동통제,만족지연,역기 능정서,그리고 긍정정서 점수를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따라 분석하였으며,그 결과를

<표 9>에 제시하였다.

하위요인 집단(N) 사전 사후

t p

M (SD) M (SD)

자기조절 실험(12) 55.75 (12.86) 75.58 (10.88) -8.3*** .000 통제(12) 61.50 (8.71) 65.75 (10.56) -2.08 .062 충동통제 실험(12) 21.17 (7.54) 28.42 (7.84) -5.26*** .000 통제(12) 22.42 (4.83) 23.92 (6.89) -1.08 .304 만족지연 실험(12) 9.83 (2.55) 12.25 (2.22) -3.20** .008 통제(12) 9.50 (1.68) 11.00 (2.49) -2.21 .050 역기능정서 실험(12) 16.83 (4.32) 22.83 (2.21) -4.58** .001 통제(12) 19.75 (3.41) 20.42 (3.84) -1.03 .322 긍정정서 실험(12) 8.17 (1.44) 12.83 (2.31) -5.73*** .000 통제(12) 9.83 (1.27) 10.42 (2.50) -.94 .368

<표 9> 실험·통제집단의 자기조절 하위요인별 사전,사후 대응표본 t분석결과

*;p<.05,**;p<.01,***;p<.001

<표 9>에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충동통제 요인의 경우 통제집단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t=-1.08, p=.304),실험집단에서는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t=-5.26,p<.001).둘째,만족지연 요인의 경우 통제집단에서는 사전 검사와 사후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t=-2.21,p=.050), 실험집단에서는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t=-3.20,p<.01).셋째,역기능정서 요인의 경우 통제집단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t=-1.03,p=.322),실험집단 에서는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t=-4.58,p<.01).넷째,긍정정서 요인의 경우 통제집단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t=-.94,p=.368),실험집단에서는 사전 검사보다 사후검사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t=-5.73,

p<.001).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자기조절 능력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자기조절 척도의 모든 하위영역 점수에서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 실시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러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2>에서 <그림 5>와 같다.

<그림 2> 실험・통제집단 간 사전,사후에 따른 충동통제 점수의 변화

<그림 3> 실험・통제집단 간 사전,사후에 따른 만족지연 점수의 변화

<그림 4> 실험・통제집단 간 사전,사후에 따른 역기능 정서 점수의 변화

<그림 5> 실험・통제집단 간 사전,사후에 따른 긍정 정서 점수의 변화

제5장 논의

제1절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기조절 능력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OO구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학생 총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이 중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12명을 실험집단으로,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12명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두 집단 모두에게 자기조절 척도를 프로그램 실시 전,후로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측정하였다.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총 9회기로 구성되었고 주 3회씩 3주 동안 실시되었다.자료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이 프로그램 처치 전에 동질적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으로 사전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고,이후에 사전,사후에 나타나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 차를 알아 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나타난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자기조절 능 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t=-8.3,p<.001).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자기 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후에 자기조절 능력에 유 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보일 것이다’라는 연구가설1을 지지해 주는 결과이다.

자기조절능력이란 사람들이 살아가는 동안 자기 자신과 주변 사람들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중요한 개인 능력이다.만약 청소년이 자기조절을 잘하지 못하게 되면 우울, 불안과 같은 내면화 문제(윤영신,2007;신은주,2009)를 갖거나,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태도로 대인관계에서 문제(신은주,2009;최효숙,2012;민수홍,1995)를 겪기도 한다.

이것은 청소년기뿐만 아니라 성인기 어른에게도 나타나는 문제이다. 우리 주변에는 성인이면서도 화난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거나 또는 충동적인 행동으로 큰 곤란에 처하 거나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를 간혹 볼 수 있다. 이처럼 모든 사람들의 삶에 자기조절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 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기조절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기존 선행 연구들(김헌배,2006;황정은,2010;박소형,2012;배은경,2008;

김선명,2010)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둘째,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자기조절 능력척도의 4개 하위요인 즉,충동통제,만족지연,역기능정서,긍정정서 모두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후에 자기조절의 4개 하위요인에서 유의 미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일 것이다’라는 연구가설2를 지지해 주는 결과이다.이를 자세 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충동통제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 결과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프로그램 실시 후에 충동을 통제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t=-5.26,p<.001). 충동성은 의식적인 판단 없이 즉각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경향성으로 충동적인 청소년들은 자기 조절이 필요한 상황에서 생각할 시간적 여유를 갖지 않고 충동적으로 바로 반응하는 패턴을 보일 가능성이 높음을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동성의 문제는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바로 반응하기 보다는 일단 멈추고 자신이 할 수 있는 대안들과 그 결과를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분노조절을 위한 근육이완훈련, 분노상황에 대한 인지적 해석과 문제해결전략 5단계 기법을 사용하여 훈련을 한 것이 충동성 감소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남자 청소 년의 충동성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 배은경(2008)의 연구와 분노조절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분노조절 능력에 효과가 있으며(김종주,2011),자기조절능력과 학업적 효능 감에 효과가 있다는 이승원(2011)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인지 및 행동적 접근의 자기조절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실행되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만족지연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 결과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프로그램 실시 후에 만족을 지연시키는 능력이 향상되었다(t=-3.20,p<.01). 만족을 지연시키는 능력 이란 큰 만족과 보상을 얻기 위해 일시적인 즐거움을 가져다주는 욕구를 억제하거나 행동을 통제하고 지연시키는 능력을 말한다. 만족지연시간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길고, 사려성-충동성의 인지양식에서는 사려적인 아동이 충동적인 아동보다 만족지연시간이 더 길다(허수경,이경님,1996)는 보고가 있다.이를 통해 만족지연은 충동을 억제하는 능력과도 관련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본 프로그램에서는 만족지연과 관련한 자기 조절 내용을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았다.그러나 만족지연 능력이 프로그램을 실시 후에 다른 요인들보다 낮지만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만족지연과 충동억

셋째,역기능 정서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 결과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프로그램 실시 후에 역기능적 정서를 다루는 능력이 향상되었고(t=-4.58,p<.01),넷째,긍정 정서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 결과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프로그램 실시 후에 긍정 적인 정서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t=-5.73,p<.001).여기서 역기능정서와 긍정정서의 문항을 보면 주로 우울,불안 및 화와 같은 감정과 관련된 것으로서 평소에 그런 부정적 감정을 어떻게 조절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정서와 부정적 자아개념을 조절하는 회기와 대체기술을 익히는 회기가 부정적, 역기능적인 정서를 전반적으로 조절하고 관리할 수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의 결과 자기조절 능력향상 프로그램에 정서적인 조절과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감소시키는 내용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한 것이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기조절 능력향상 프로그램은 정서와 행동이 사고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게 하고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사고를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로 변화시키는 작업을 통해 부정적 정서와 부정적 자아개념을 감소시켰으며 자기조절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기존의 자기조절 프로그램에서 다루지 않았던 자기조절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부정적 자아개념 감소를 프로그램 내용에 반영하여 효과를 보았다는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중학교 1학년 학생이 부정적 정서를 잘 다루고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인 만큼 자신의 정서 상태를 정확히 이해하고 그것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익힘으로써 전체적인 자기조절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것도 의의가 있다고 본다. 앞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조절 프로그램 개발시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질 것을 기대하며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는 것이 중학생의 자기조절 능력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학교 교사와 청소년 상담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제2절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지금까지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더 발전된 연구가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자 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4-6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