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의 차이 에 대한 결과는 <표 4>과 같다.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정도는 연령, 성별,배우자,교육정도,종교,경제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질병특성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정도는 발병시기(F=5.379, p=.002), 마비부위 (F=4.317,p=.006),동반증상 개수(F=4.049,p=.02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 차이를 살펴보면 뇌졸중 환자의 발병시기에 따 른 뇌졸중 후 피로정도는 발병시기가 6개월 미만인 경우가 6개월-1년 미만,1년-3 년 미만인 경우보다 뇌졸중 후 피로정도가 높았고,마비 부위에 따른 뇌졸중 후 피 로정도는 우세 측 마비,상·하지마비인 경우가 마비부위가 없는 경우보다 뇌졸중 후 피로가 높았다.또한 동반증상 개수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정도는 동반증상 개수가 3가지 이상인 경우가 1가지,2가지인 경우보다 뇌졸중 후 피로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특성 구분 평균±표준편차 torF p Scheffe

특성 구분 평균±표준편차 torF

p

Scheffe 마비부위 비우세측마비a 3.16±.98 4.317 .006 d<b,c

우세측마비b 3.45±.79 상·하지마비c 3.46±.75 없음d 2.33±.39

동반질환 개수 1가지 3.20±.90 1.293 .280 2가지 3.09±.78

3가지 이상 3.35±.82 없음 3.70±1.09

발병횟수 1회 3.18±.92 .797 .453 2회 3.34±.87

3회 이상 3.53±.58

동반증상 개수 1가지 3.09±.84 4.049 .020 a,b<c 2가지 3.12±.87

3가지 이상 3.63±.88

<표 4>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계속)

(N=115)

D.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기능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 구분 평균±표준편차 torF p Scheffe

특성 구분 평균±표준편차 torF

p Sche

ffe 마비부위 비우체측마비a 10.91±1.01 95.352 <.001 a,b,c<d

a,c<b 우세측마비b 15.14±1.83

상·하지마비c 11.70±0.45 없음d 8.82±1.83

동반질환 개수 1가지 12.22±2.74 2.595 .056 2가지 12.00±2.33

3가지 이상 14.07±2.58 없음 11.80±1.87

발병횟수 1회a 11.08±1.58 99.119 <.001 a<b,c 2회b 15.96±1.71

3회 이상c 15.00±1.31

동반증상 개수 1가지a 10.98±2.09 12.623 <.001 a<b,c 2가지b 12.73±2.50

3가지 이상c 13.79±2.61

<표 5>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기능(계속)

(N=115)

일상생활기능 r(

p)

뇌졸중 후 피로 r(

p)

일상생활기능 1.00

뇌졸중 후 피로 -.224

(.016) 1.00 E.대상자의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과의 상관관계

본 연구의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표 6>

와 같았다.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음의 관계 (r=-.224,p=.016)로 나타났다.즉 뇌졸중 후 피로정도가 높을수록 일상생활기능이 낮아진다.

<표 6> 대상자의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과의 상관관계

(N=115)

Ⅴ.논의

증상 개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 대상자의

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구체적 항목별로 살펴보

도가 떨어지면서 일상생활기능 훈련을 소홀히 하게 되고 장기적으로 기능감소를 초

로를 경감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개발과 적용이 더 중요하다고 하겠다.또 한, 뇌졸중 후 피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이 필요하다.

Ⅵ.결론 및 제언

A. 결론

본 연구는 뇌졸중을 진단받고 입원하여 재활 치료중인 환자의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자료수집은 2011년 12월 10일부터 2012년 4월 29일까지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B시 소재 일 재 활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선정기준에 적합하고 연구목적을 이해하여 서면 동의한 11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재활병원에 입원한 환자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대상자의 일상생활기능은 최대 21점에 12.43점으로 나타나 일생생활기능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고,뇌졸중 후 피로는 최대 7점에 3.24점으로 중간 정도의 피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간의 관계를 보면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간의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에서 공통적으로 발병시 기,마비부위,동반증상 개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추가적으로 일상생활기능은 연령,성별,보조기 사용,마비부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뇌졸중 후 피로가 증가할수록 일상생활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이는 일상생활기능이 떨어지는 것과 관련하여 뇌졸중 후 피로가 의미 있는

요인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통하여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기능 향상을 위해 뇌졸중 후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대체요법이나 운동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고 중재방안을 모색하여 적용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피로감을 경감시켜 일상생활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겠다.

B.제언

첫째,본 연구는 일 재활병원에서 시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거 나 확대하여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여러 병원,입·퇴원환자와 지역사회의 환 자를 대상으로 한 포괄적인 반복연구를 제안한다.

둘째,뇌졸중 후 피로는 발병시기,마비부위,동반증상 개수에 따라 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되므로 앞으로 뇌졸중 후 피로는 발병시기,마비부위,동반증상 개수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 정도를 비교하는 연구와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뇌졸중 후 피로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참고문헌

대한신경과학회 (2007).신경학.서울 :군자출판사.

향.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경산.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1994).Uniform terminology for

Choi-Kwon,S.,Han,S.W.,Kwon,S.U.,& Kim,J.S.(2005).Poststroke fatigue characteristicsand related factors.Cer

ebr ovas c ul arDi s eas e,19(

2), 84-90.

Chuang,K.Y.,Wu,S.C.,Ma,A.H.,Chen,Y.H.,& Wu,C.L.(2005). Identifying factors associated with hospital readmissions among stroke

Cer ebr alCi r c ul at i on,33.1327-1333.

A.,Tropea,D.A.,Ahmad,L.A.,& Eckhoff,D.G.(1997).Outcomesand costsafterhip fractureand stroke;A comparison ofrehabilitation settings.

Jour anloft heAmer i c anMedi c alAs s oc i at i on,277( 5)

,396-404.

Krupp L,B.,LaRocca N,G.,Muir-Nash J.,& Steinberg A,D.(1989).The fatigue severity scale.Application to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nd systemiclupuserythematosus.Ar

c hNeur ol46,1121-1123.

Lerdal,A.,Bakken,L.N.,Kouwenhoven,S,E.,Pedersen,G.,Kirkevold,M.,

Rehabi l i t ai on,71,279-284.

Mercier,L.,Audet,T.,Hebert,R.,& Rochette,A.(2001).Impact of motor, cognitive and perceptualdisorders on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daily livingafterstroke.St

r oke,32,2602-2608.

Pedretti,L.W.,& Early,M.B.(2001).Oc

c upat i onalt her apypr ac t i c es ki l l sf 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Cer

ebr ovas c Di s ,23( 1)

, 40-5.

Van derLee,J.H.,Vogelaar,T.W.,Deville,W.L.,& Bouter,L.M.(1999). Forceduseoftheupperextremity in chronicstrokepatients:resultsfrom asingsblindrandomizedclinicaltrial.St

r oke,30( 11)

,2269-2375.

Van Zandvoort,M.J.E.,Jappelle,L.J.,Algra,A.,& DeHaan,E.H.F.(1998). Decreased capacity for mental effort after single supratentorial lacunar infarct many affect performance in everyday life.Journalof Neurology,

Neur os ur ger yandPs yc hi at r y,56,697-702.

연구 참여 동의서

■ 다음은 귀하의 일반적 특성과 질별 관련 사항에 관한 항목들입니다.해당()난에 √로 기록해 주십시오

1.귀하의 성별 ?남( ) 여( )

2.귀하의 나이(연령)몇 세 입니까 ? 만( )세

3.학교는 어디까지 나오셨습니까 ?무학( )국졸( )중졸( )고졸( ) 대졸이상( )

4.귀하의 결혼 상태는 ?미혼( )기혼 ()

5.귀한의 종교는 ?기독교( )천주교()불교( )없음( )기타( )

6.평균 경제상태은 얼마나 되십니까?:상( ) 중( ) 하( )

7.귀하는 언제 처음 발병 하였습니까? 년도 2.

8.보조기를 사용하십니까 ?사용한다 ( )사용하지 않는다 (       )

9.귀하의 마비된 부위는 어디입니까?  

왼쪽(   )오른쪽(   )주로 상·하지마비( )없음(   )

4.뇌졸중 발병 전 평상시 주로 사용하는 팔은 어디입니까?

왼쪽( )오른쪽( )

5.다음 중 귀하의 동반질환을 모두 표시하십시오.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우울증(   )기타(    )없다(   )

6.귀하의 뇌졸중 발병횟수는? 1회(    ) 2회(  ) 3회이상(    )

7.귀하의 진단명은?

뇌경색( ) 뇌출혈( ) 기타( )

8.귀하의 증상들을 모두 표시하십시오

구음장애()시각장애()복시()감각장애()연하장애()어지러움()언어장애()  보행장애() 배뇨장애()안면마비()평행장애()

1 2 3 4 5 6 7 1.피로하면 의욕이 없어진다.

2.운동을 하면 피곤해진다.

3.쉽게 피곤해진다.

4.피로 때문에 신체활동이 감소된다.

5.피로로 인해 종종 문제가 생긴다.

6.피로 때문에 지속적인 신체활동이 어럽다 7.피로 때문에 업무나 책임을 다하지 못한다

8내가 겪고 있는 가장 힘든 문제를 세가지 뽑는다면 그 중에 피로가 포함된다.

9.피로 때문에 직장,가정,사회활동들에 지장을 낳는다.

■ 다음 글을 읽어보시고,각 번호의 1점~7점(심하다고 느낄수록 높은 점수에)중 지금 현재 자신의 상태를 가장 잘 나타냈다고 생각되는 문항 하나를 골라 √표 하십시오 (한 곳만 표시하십시오)

<피로설문지(FatigueSeverityScale>

1.옷입기:귀하는 옷을 챙겨 입을 때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하십니까?

¹⁾ 등은 혼자 닦지 못해도 무관하여,욕조에서 목욕할 경우에는 욕조를 들어가고 나올

6.화장실 사용 :귀하는 대소변을 보기 위해 화장실 출입 할 때 남의도움 없이 혼자서

-Abstr

act-Rel at i onshi pbet ween Post -st r okeFat i gueandDai l y Act i vi t i es

Min A Choi DepartmentofNursing

TheGraduateSchool,AjouUniversity (SupervisedbyProfessorChun-JaKim,Ph.D.)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post-stroke fatigue and levelof daily activities in 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treatments in a rehabilitation hospital.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0,2011 to April,29,2012.The post-stroke fatigue and levelofdaily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Fatigue Severity Scale(FSS)andKoreaActivitiesofDaily Living (K-ADL)Index.The collecteddatawasanalyzedusingSPSS WIN 17.0program.

Theresultsofthisstudyareasfollows:

1.Theaveragespost-strokefatigueandlevelofdailyactivitieswerea3.24out of7,and12.43outof21,respectively.

2.Thepost-strokefatigueshowed astatistically significantnegativecorrelation

(r=-.224,p=.016)whitlevelofdailyactivities

3.Thepost-strokefatigueshowedastatisticallysignificantdifferencesaccording totimeofonset(

p = .

002),areaofparalysis(

p = .

006),and thenumberof accompaniedsymptoms(

p=.

020).

4. The level of daily activ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age(

p <.

001),sex (

p= .

018),timeofonset(

p = .

026),areaof paralysis(

p< .

001),numberofrecurrentattacks(

p< .

001),andthenumber ofaccompaniedsymptoms(

p< .

001).

Accordingtotheresultsofthisstudy,Post-strokefatiguecorrelationtolevel ofdaily activity.Thereisaneedforastudy on developmentandadaptation of a mediating nursing program reduce post-stroke fatigue in order to improve levelofdailyactivities.

Keywords:Stroke,dailyactivities,post-strokefatigu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