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1.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결과는 <표 1>과 같다.연령은 60-69세가 52명(45.2%)으로 가장 많았으며,70세 이상 32명(27.8%),50-59세 31명(27.0%)순이 었다.성별은 여자 62명(53.9%),남자 53명(46.1%)으로 나타났다.배우자가 있는 대 상자는 76명(66.1%),없는 대상자는 39명(53.9%)이었으며,교육정도는 중졸,고졸이 상 39명(33.9%),초졸 24명(20.9%),무학 13명(11.3%)이었다.종교는 무교 43명 (37.4%),불교 37명(32.2%),기독교 26명(22.6%),천주교 3명(7.8%)순이었고,경제 상태는 중간이 대상자가 75명(65.2%),하 31명(27.0%),상 9명(7.8%)순이었다.

특성 구분 실수 백분율(%) 평균±표준편차

2.질병 관련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질병 관련 특성은 <표 2>와 같다.진단명이 뇌경색인 대상자 가 108명(93.9%),뇌출혈인 대상자가 5명(4.3%),두 가지 모두인 경우가 2명(1.7명) 이었고,발병시기가 3년 이후인 대상자가 42명(36.5%),1년-3년 미만인 대상자가 26명(22.6%),6개월 미만인 대상자가 25명(21.7%),6개월-1년 미만인 대상자가 22명 (19.1%)이었다.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109명(94.8%),보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6명(5.2%)으로 나타났으며, 마비 부위가 비우세 측 마비인 경우 46명 (40.0%),우세 측 마비인 경우 42명(36.7%),마비 부위 없는 경우 11명(9.6),주로 상·하지마비인 경우 16명(13.9%)이었다.

동반질환 개수는 1가지 64명(55.7%), 2가지 26명(22.6%), 3가지 이상 15명 (13.0%),동반질환이 없는 경우 10명(8.7%)으로 나타났으며 동반질환 중 고혈압이 72명(62.6%)으로 가장 많았고,그다음이 당뇨병으로 나타났다.발병횟수는 1회 83명 (72.2%),2회 24명(20.9%),3회 이상 8명(7.0%)이었고,동반증상 개수에서는 증상이 2가지인 경우 45명(39.1%),1가지인 경우 41명(35.7),3가지 이상인 경우 29명 (25.2%)으로 나타났으며,동반증상 중 보행 장애가 80명(69.6%)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구음 및 언어장애 40명(34.8%),어지러움,감각장애 22명(19.1%),시각장 애 16명(13.9%)순의 빈도로 나타났다.

특성 구분 실수 백분율(%) 평균±표준편차

B.대상자의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

1.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정도

본 연구 대상자의 뇌졸중 후 피로에 과한 분석결과는 <표 3>와 같다.본 연구 대상자의 뇌졸중 후 피로는 평균 3.24±0.89점(가능한 범위:1-7)이었고,구체적 문 항별로는 ‘피로하면 의욕이 없어진다’4.63±0.92점,‘쉽게 피곤해진다’4.09±0.86점,

‘피로 때문에 신체활동이 어렵다’2.84±1.09점,‘피로로 인해 종종 문제가 생긴다' 2.64±1.24점,‘피로 때문에 지속적인 신체활동이 어렵다’3.32±1.50점,‘피로 때문에 업무나 책임을 다하지 못한다’2.19±1.08점,‘내가 겪고 있는 가장 힘든 문제를 세 가지 뽑는다면 그중에 피로가 포함된다’2.63±1.18점,‘피로 때문에 직장,가정,사회 활동들에 지장을 낳는다’1.90±0.88점으로 나타났다.본 연구 대상자의 일생생활기능 평균은 12.43±2.64(가능한 범위:7-21)점으로 나타났다.구체적 문항별로는 ‘옷 입기’

2.16점,‘목욕’1.90점,‘세수하기’1.86점,‘이동’1.67점,‘식시하기’1.63점,‘화장실 사 용’1.61점,‘대소변 조절’1.61점 순으로 나타났다.

변수 평균±표준편차 최소값-최대값 가능한 범위

C.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의 차이 에 대한 결과는 <표 4>과 같다.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정도는 연령, 성별,배우자,교육정도,종교,경제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질병특성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정도는 발병시기(F=5.379, p=.002), 마비부위 (F=4.317,p=.006),동반증상 개수(F=4.049,p=.02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 차이를 살펴보면 뇌졸중 환자의 발병시기에 따 른 뇌졸중 후 피로정도는 발병시기가 6개월 미만인 경우가 6개월-1년 미만,1년-3 년 미만인 경우보다 뇌졸중 후 피로정도가 높았고,마비 부위에 따른 뇌졸중 후 피 로정도는 우세 측 마비,상·하지마비인 경우가 마비부위가 없는 경우보다 뇌졸중 후 피로가 높았다.또한 동반증상 개수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정도는 동반증상 개수가 3가지 이상인 경우가 1가지,2가지인 경우보다 뇌졸중 후 피로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특성 구분 평균±표준편차 torF p Scheffe

특성 구분 평균±표준편차 torF

p

Scheffe 마비부위 비우세측마비a 3.16±.98 4.317 .006 d<b,c

우세측마비b 3.45±.79 상·하지마비c 3.46±.75 없음d 2.33±.39

동반질환 개수 1가지 3.20±.90 1.293 .280 2가지 3.09±.78

3가지 이상 3.35±.82 없음 3.70±1.09

발병횟수 1회 3.18±.92 .797 .453 2회 3.34±.87

3회 이상 3.53±.58

동반증상 개수 1가지 3.09±.84 4.049 .020 a,b<c 2가지 3.12±.87

3가지 이상 3.63±.88

<표 4>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계속)

(N=115)

D.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기능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 구분 평균±표준편차 torF p Scheffe

특성 구분 평균±표준편차 torF

p Sche

ffe 마비부위 비우체측마비a 10.91±1.01 95.352 <.001 a,b,c<d

a,c<b 우세측마비b 15.14±1.83

상·하지마비c 11.70±0.45 없음d 8.82±1.83

동반질환 개수 1가지 12.22±2.74 2.595 .056 2가지 12.00±2.33

3가지 이상 14.07±2.58 없음 11.80±1.87

발병횟수 1회a 11.08±1.58 99.119 <.001 a<b,c 2회b 15.96±1.71

3회 이상c 15.00±1.31

동반증상 개수 1가지a 10.98±2.09 12.623 <.001 a<b,c 2가지b 12.73±2.50

3가지 이상c 13.79±2.61

<표 5>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기능(계속)

(N=115)

일상생활기능 r(

p)

뇌졸중 후 피로 r(

p)

일상생활기능 1.00

뇌졸중 후 피로 -.224

(.016) 1.00 E.대상자의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과의 상관관계

본 연구의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표 6>

와 같았다.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음의 관계 (r=-.224,p=.016)로 나타났다.즉 뇌졸중 후 피로정도가 높을수록 일상생활기능이 낮아진다.

<표 6> 대상자의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과의 상관관계

(N=115)

Ⅴ.논의

증상 개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 대상자의

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구체적 항목별로 살펴보

도가 떨어지면서 일상생활기능 훈련을 소홀히 하게 되고 장기적으로 기능감소를 초

로를 경감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개발과 적용이 더 중요하다고 하겠다.또 한, 뇌졸중 후 피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이 필요하다.

Ⅵ.결론 및 제언

A. 결론

본 연구는 뇌졸중을 진단받고 입원하여 재활 치료중인 환자의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자료수집은 2011년 12월 10일부터 2012년 4월 29일까지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B시 소재 일 재 활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선정기준에 적합하고 연구목적을 이해하여 서면 동의한 11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재활병원에 입원한 환자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대상자의 일상생활기능은 최대 21점에 12.43점으로 나타나 일생생활기능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고,뇌졸중 후 피로는 최대 7점에 3.24점으로 중간 정도의 피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간의 관계를 보면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간의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에서 공통적으로 발병시 기,마비부위,동반증상 개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추가적으로 일상생활기능은 연령,성별,보조기 사용,마비부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뇌졸중 후 피로가 증가할수록 일상생활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이는 일상생활기능이 떨어지는 것과 관련하여 뇌졸중 후 피로가 의미 있는

요인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통하여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기능 향상을 위해 뇌졸중 후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대체요법이나 운동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고 중재방안을 모색하여 적용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피로감을 경감시켜 일상생활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겠다.

B.제언

첫째,본 연구는 일 재활병원에서 시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거 나 확대하여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여러 병원,입·퇴원환자와 지역사회의 환 자를 대상으로 한 포괄적인 반복연구를 제안한다.

둘째,뇌졸중 후 피로는 발병시기,마비부위,동반증상 개수에 따라 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되므로 앞으로 뇌졸중 후 피로는 발병시기,마비부위,동반증상 개수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 정도를 비교하는 연구와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뇌졸중 후 피로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참고문헌

대한신경과학회 (2007).신경학.서울 :군자출판사.

향.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경산.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1994).Uniform terminology for

Choi-Kwon,S.,Han,S.W.,Kwon,S.U.,& Kim,J.S.(2005).Poststroke fatigue characteristicsand related factors.Cer

ebr ovas c ul arDi s eas e,19(

2), 84-90.

Chuang,K.Y.,Wu,S.C.,Ma,A.H.,Chen,Y.H.,& Wu,C.L.(2005). Identifying factors associated with hospital readmissions among stroke

Cer ebr alCi r c ul at i on,33.1327-1333.

A.,Tropea,D.A.,Ahmad,L.A.,& Eckhoff,D.G.(1997).Outcomesand costsafterhip fractureand stroke;A comparison ofrehabilitation settings.

Jour anloft heAmer i c anMedi c alAs s oc i at i on,277( 5)

,396-404.

Krupp L,B.,LaRocca N,G.,Muir-Nash J.,& Steinberg A,D.(1989).The fatigue severity scale.Application to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nd systemiclupuserythematosus.Ar

c hNeur ol46,1121-1123.

Lerdal,A.,Bakken,L.N.,Kouwenhoven,S,E.,Pedersen,G.,Kirkevold,M.,

Rehabi l i t ai on,71,279-284.

Mercier,L.,Audet,T.,Hebert,R.,& Rochette,A.(2001).Impact of motor, cognitive and perceptualdisorders on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daily livingafterstroke.St

r oke,32,2602-2608.

Pedretti,L.W.,& Early,M.B.(2001).Oc

c upat i onalt her apypr ac t i c es ki l l sf 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Cer

ebr ovas c Di s ,23( 1)

, 40-5.

Van derLee,J.H.,Vogelaar,T.W.,Deville,W.L.,& Bouter,L.M.(1999). Forceduseoftheupperextremity in chronicstrokepatients:resultsfrom asingsblindrandomizedclinicaltrial.St

r oke,30( 11)

,2269-2375.

Van Zandvoort,M.J.E.,Jappelle,L.J.,Algra,A.,& DeHaan,E.H.F.(1998). Decreased capacity for mental effort after single supratentorial lacunar infarct many affect performance in everyday life.Journalof Neurology,

Neur os ur ger yandPs yc hi at r y,56,697-702.

연구 참여 동의서

■ 다음은 귀하의 일반적 특성과 질별 관련 사항에 관한 항목들입니다.해당()난에 √로 기록해 주십시오

1.귀하의 성별 ?남( ) 여( )

2.귀하의 나이(연령)몇 세 입니까 ? 만( )세

3.학교는 어디까지 나오셨습니까 ?무학( )국졸( )중졸( )고졸( ) 대졸이상( )

4.귀하의 결혼 상태는 ?미혼( )기혼 ()

5.귀한의 종교는 ?기독교( )천주교()불교( )없음( )기타( )

6.평균 경제상태은 얼마나 되십니까?:상( ) 중( ) 하( )

7.귀하는 언제 처음 발병 하였습니까? 년도 2.

8.보조기를 사용하십니까 ?사용한다 ( )사용하지 않는다 (       )

9.귀하의 마비된 부위는 어디입니까?  

왼쪽(   )오른쪽(   )주로 상·하지마비( )없음(   )

4.뇌졸중 발병 전 평상시 주로 사용하는 팔은 어디입니까?

왼쪽( )오른쪽( )

5.다음 중 귀하의 동반질환을 모두 표시하십시오.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우울증(   )기타(    )없다(   )

6.귀하의 뇌졸중 발병횟수는? 1회(    ) 2회(  ) 3회이상(    )

7.귀하의 진단명은?

뇌경색( ) 뇌출혈( ) 기타( )

8.귀하의 증상들을 모두 표시하십시오

구음장애()시각장애()복시()감각장애()연하장애()어지러움()언어장애()  보행장애() 배뇨장애()안면마비()평행장애()

1 2 3 4 5 6 7 1.피로하면 의욕이 없어진다.

2.운동을 하면 피곤해진다.

2.운동을 하면 피곤해진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