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과다사용 경향이 있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사용조 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대상자의 인터넷과다사용 및 자기통제력에 미 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 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를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사용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인터넷 사용 정도를 인지하고 사용 경로를 정확히 알아보는 것은 중요하다. 인터넷의 이해와 자기이 해를 바탕으로 구성된(신향숙, 2005; 권희경·권정혜, 2002; 성미나, 2002; 정선 태, 2001) 프로그램들의 효과처럼 본 연구에서도 자신의 인터넷 사용 패턴을 알 게 되면서 심각성을 파악하여 스스로 인터넷과다사용에서 벗어나야함을 알아차 리고 자신을 통제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보인다. 즉 인터넷 사용조절 집단상담 프 로그램은 여중생의 인터넷과다사용과 하위요인인 일상생활장애, 긍정적 기대, 금 단, 가상적대인관계지향성, 일탈행동, 내성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 과는 여자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통제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인터넷 중독 의 감소 효과를 보인 정선태(2001)의 연구와 일치한다.

인터넷과다사용 경향이 있는 여학생들의 특징은 본 연구에서도 첫 회기 때 대 부분의 여학생들이 자신의 인터넷 사용 패턴에 대한 인지 정도가 낮아 자신의 현상태의 심각성을 받아들이지 못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거부 반응을 보였다. 따 라서, 자신이 인터넷을 어느 정도 사용하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경우가 드물고 그 심각성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조절 프로 그램을 개발하거나 재구성할 때에는 자기이해에 대한 구성이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인터넷 사용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중생의 자기통제력과 하위요인 인 충동성, 단순과제, 모험추구, 신체활동, 자기중심, 화기질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는 인터넷과다사용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넷 사용조절 집단상 담 프로그램은 자기통제감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 이숙민(2002), 김희주(2004)의 연구 결과와 부합된다. 이는 인터넷과다사용의 요인 분석에 의하여 자기통제력이 가장 예측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김현주, 2011; 엄옥연, 2011; 김수경, 2010; 박옥화, 2009; 최선희, 2008; 김선영, 2005; 서문영, 2005; 구은정, 2003; 이숙민, 2002; 이계원, 2001; 이형초, 2001; 강지선, 2000; 송원영, 1998) 인터넷 사용조절 프로그램의 구성에 자기통제력을 향상시 키는 내용을 많이 포함시켰다. 나의 인터넷 사용 습관알기, 인터넷 대신 할 수 있는 대안활동 찾기, 인터넷 사용 감소를 위해 변화시켜야 할 나의 행동 알기,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 찾기와 같은 활동을 하면서 행동적인 측면에 접근함 과 동시에 여중생이라는 특성에 맞게 정서적인 부분에 대한 관리 방법을 추가시 킴으로써 다른 프로그램들과의 차별화를 두었다. 특히, 자기교시훈련과 근육이완 훈련을 실시한 이후 인터넷 사용시간이 많이 줄어드는 것을 보였다. 본 연구의 필요성에서 청소년의 남녀 성차에 따른 인터넷과다사용의 경향이 다름에도 불구 하고 연구의 대상이 여중생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토대 로 본 프로그램의 구성에서 자기수용에 대한 공감 그리고 자기존중과 같은 여중 생의 정서적 관리에 대한 효과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고 보여진다.

셋째, 선행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인터넷과다사용과 자기통제력 사전-사후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장기적인 지속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 이다. 정선태(2001), 고수연(2002), 이숙민(2002), 최명상(2003), 신향숙(2005), 강대철(2007), 김명철(2007), 김수진(2009), 박영화(2009), 성미나(2010)의 연구 는 사전, 사후검사만 실시하고 추후검사를 실시하지 않아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 성을 밝히지 못하였다. 이에 맞춰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지속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프로그램의 효과는 지속되었다. 김은영(2007)과 김 민정(2011)에서도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었다는 결과를 보이기는 하였지만 1주후, 4주후 추후검사를 실시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5주후 에 추후검사를 실시함으로써 효과의 지속성이 좀 더 유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본 프로그램의 내용에서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 인식과 인터넷 사용을 조절하는 훈련을 매 회기마다 반복함으로써 나타난 효과로 보여진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자기통제력이 향상됨으로써 인터넷과다사용이 감소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과다사용과 자기통제력 간에 부적상관관계 가 있음을 보고한 선행 연구(김현주, 2011; 엄옥연, 2011; 김수경, 2010; 박옥 화, 2009; 최선희, 2008; 김선영, 2005; 서문영, 2005; 구은정, 2003; 이숙민, 2002; 이계원, 2001; 이형초, 2001; 강지선, 2000; 송원영, 1998) 등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실제 참가자들의 소감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자기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이 생기면서 인터넷 사용을 줄일 수 있었다는 내용에서 볼 수 있듯이 인터 넷과다사용을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 구성시 인터넷과다사용의 개인 심리적인 요 인인 자기통제력과 관련된 내용이 필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는 인터넷 사용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대상자가 여중생으로 성별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프로그램에 비해 심각한 인터넷과다사용에 이르기 전 예 방 차원에서 여중생의 특성에 맞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제적인 자기통제력을 향상시켰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자기통제력의 향상이 인터넷과다사용 감소 에 긍정적인 변화를 준다는 것으로 볼 때 앞으로도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어야 하고 본 연구가 그 방안과 방향성을 제시하 였다. 마지막으로 사전-사후-추후 측정을 함으로써,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변화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 여부까지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시에 있는 1개교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실험 이 한 학교에서 이뤄졌기 때문에 이 결과를 인터넷과다사용의 일반적인 결과라 고 일반화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들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사례를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인터넷 중독 검사 척도는 여러 선행연구에서 이 미 검증된 척도이다. 인터넷과다사용 경향이 있는 청소년들은 스스로를 과다사용 자로 인정하는 경우가 드물며, 자신에게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에 참여하는 수가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객관적으로 자료를 평정할 수 있는 척도나 관찰자의 참여가 필요하다.

셋째, 인터넷과다사용에 관한 연구는 남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대부분 이다. 본 연구에서 여중생에 대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으나 여중생을 위한 예방 프로그램은 미비한 실정이다. 성별에 따라 인터넷과다사용이 다르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남·녀 성별을 구분하여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넷째, 본 연구는 인터넷과다사용 잠재적위험군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사용 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인터넷과다사용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 은 이미 과다사용 증상이 진행되고 있는 고위험자군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 다. 과다사용이 진행되기 시작하면 금단과 내성으로 인해 인터넷과다사용 행동을 스스로 통제하기 어려우므로, 무엇보다 사전예방이 중요하다. 따라서 인터넷과다 사용 증상이 심각하지 않은 잠재적위험자군 및 일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강대철(2007). 자기조절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인터넷 과다사 용 경향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강지선(2000). PC 통신 이용자들의 고독, 사회불안 및 대처 방식과 통신 중독과 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고수연(2002).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 과.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구은정(2003).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통제, 자기노출, 사회적지지 지각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정혜(2000). 감각추구 성향,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지가 인터넷의 중 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2000년도 한국 심리학회 연차학술 발표대회논 문집.

권희정․권정혜(2002). 인터넷 사용조절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을 위한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21, 503-514.

김경환(2003). 인지행동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교헌(2002). 청소년들의 컴퓨터 사용실태와 컴퓨터 중독. 충남대학교 학생생활

김교헌(2002). 청소년들의 컴퓨터 사용실태와 컴퓨터 중독. 충남대학교 학생생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