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므로

문서에서 1 공간벡터 (페이지 38-43)

cos   

오각형 HIJKL의 정사영이 오각형 OAJKC 이므로

cos   

따라서  

이므로  

72. [정답] ④ [출제의도] 벡터

평면

     과 평면   의 법선벡터는 각각 



  

,

   이므로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θ 라 하면 cos    

 ∙  

 

   

  

 

위의 그림에서 점 A, B 와 점 Aʹ, Bʹ은 같은 점이고 AB  AʹBʹ,

CD CʹDʹ, AʹDʹ ADcosθ,

BʹCʹ BC cosθ이므로

AB  ,CD ,AD 



  ,BC  



  

따라서 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는 6이다.

73. [정답] 

[출제의도] 좌표공간에서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는가를 묻는 문제 이다.

A

 

 B

  

이므로 AC 

  BD  

        ,    에서 CE   DF   ∴ EF  

AE   BF  이므로 □AEFB  

×    ×   

삼각형 OAG는 직각삼각형이고  이므로

cos  OA

OG

≥ 

정삼각형 PQR 의 넓이는 

 이므로

 

× cos ≥ 

× 

 

(단, 등호는 OA , 즉 점 A가 세 꼭짓점 P, Q, R 중 하나일 때 성립한다.)

  

이므로  이다.

75. [정답] ①

∆ABC의 법선단위벡터를 라 하면    ,    .

평면의 법선단위벡터는    이다.

∴   

  ± 

∆ABC와 평면       사이의 예각을 라 하면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

이것을   

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넓이)  cos  ≤  

 [다른풀이1]

평면과      이 이루는 각을 라 하면, cos   ⋅

  

∴ 최댓값은 ⋅     cos

 

=

cos 

cos   sin 

sin 

 

 

⋅

평면       이 구  에 접하므로 구의 중심에서 평면       에 이르는 거리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이때, 구의 중심    에서 평면       에 이르는 거리는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에서    

       또는     

    또는   

따라서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은     

77. [정답] 

구의 중심   에서 평면      에 이르 는 거리가 구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78. [정답] ②

주어진 구 의 방정식을 표준형으로 바꾸면

          이므로 구의 중심은 P     이다.

PA    

는 평면  에 평행하고 구에 접하는 평면의 법선벡터이다.

구하는 평면의 방정식을       으로 놓으면

구의 중심과 평면 사이의 거리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이때, 점 A 를 지나는 평면  의 방정식은        이고, 구하는 평면의 방정식은

        

79. [정답] 

[출제의도] 공간벡터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PCH  ∠QCH  이므로 ∠QCP  가 되어 삼각형 CPQ는 한 변의 길이가

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 

×



 

∴  

80. [정답] 

구의 중심   에서 평면에 수직이면서 원점을 지나는 평면으로 자른 구의 단면과 평면과의 관계에서

OA∙ OP 값은 결국 OA 와 점 P의 평면 위로의 수선의 발 P′ 과 원점 O를 이은 선분인 OP′ 의 곱과 같다.

그러므로 ⋅   ≤ OA∙ OP ≤ ⋅  

∴  ≤ OA∙ OP ≤ 이므로 내적 OA∙ OP의 최댓값은 299이다.

81. [정답] ③

[출제의도] 연역적 추론 능력(증명) – 행렬

평면 의 방정식은 PC가 법선벡터이므로,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평면과 원점사이 거리 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이때,

P는 단면 위의 점이며 대입하면, 분모의      …㉮ 이 된다.

한편, AP⊥ CP  이므로       ∙       

㉮ 식과      ∙        을 통하여  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82. [정답] 

두 구 과 의 중심을 각각  라 하자.

두 구의 중심 와 점 P 를 지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그려보면 평면  는 반드시 점     을 지남을 알 수 있다.

원점 O 에서 평면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H는 점     와 점 P를   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평면 의 법선벡터 ()를

   

  로 잡을 수 있고

평면 의 방정식을  

       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 평면  위의 점    을 대입하면

   임을 알 수 있다.

평면 의 방정식은  

       이다.

한편 Q 

  가 평면  위의 점이므로 대입하면

  

이고   이다.

83. [정답]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라 하면  

∴   

84. [정답] 45

[출제의도] 평면과 구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고 있는가를 묻는 문제이 다.

구가 평면에 의해 잘린 도형은 원이다.

세 점      ,     ,     를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은



  

  

  에서     

원점에서 이 평면 사이의 거리는   

 

  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

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이다.

85. [정답] ③

    ⋯⋯ ①

          ⋯⋯ ②

①  ② :           

∴       

평면 의 식은      평면 의 법선벡터는   

평면의 법선벡터는   

∴ cos      

   ∙   

 

86. [정답] ④

[출제의도]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할 수 있는가를 묻는 문제이다.

접점으로 이루어진 도형을 포함하는 평면의 법선벡터는

           이고,

평면의 법선벡터는   이므로 cos      ×   

   ⋅  

 

87. [정답] ⑤

(가) 조건의 의미: A, B를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구 위에 점 P가 있다. (수직이므로 내적=0)

(나) 조건의 의미: A에서 거리가 4인 곳에 점 P가 있다. 즉, A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4인 원 위에 점 P가 있다. 두 구의 공통부분은 원입니다. 그 원의 길이를 구하면 됩니다.

평면의 교선인 원  위의 점 가 지름의 양 끝점일 때 cos 는 최솟값을 갖는다.

구의 중심   에서 평면     에 이르는 거리는

  

       

 이고, 구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 의 반지름의 길이 를  라 하면

  

 

삼각형 에서 제이코사인법칙에 의하여 cos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 의 최솟값은

cos  ⋅

 

 

89. [정답] 

구의 방정식    에   을 대입하면

  이므로

원 는 중심이     반지름의 길이가

이고 평면   에 놓인 원이다.

이 때, 축을 포함하고 이 원과 오직 한 점에서 만나는 평면 는 두 점   

   

(또는  

  )을 지나야 한다.

따라서 평면 는 축과 직선  (또는 )를 포함한다.

이 때, 축의 방향벡터는    이고 직선 의 방향벡터 (또는 직선 의 방향벡터)는

  

    (또는    

   )이므로 평면 의 법선벡터 은 벡터 와 벡터  (또는 )와 각각 수직이어야 한다.

그런데 한 법선벡터가     이므로

∙     ∙     에서   이고,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참고]

∙     ∙  

     일 경우에도

 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

90. [정답] 

구의 중심 O  에서

평면    

   까지의 거리는 

  

  이고 C의 중심을 M이라 하면

OM 

P Q가 원 C 의 지름의 양 끝점이므로 P Q의 중점이 C 의 중심 M이다.

따라서 원 C 의 반지름 MQ 

AP AQ이므로 AQ

 

      까지의 거리이므로

OM    

 

   

QM 

OQ OM 

∆APQ는 직각이등변 삼각형이므로

PM QM AM

∴ AP AQ

 

 그리고 RP   OM   직선 RP⊥이므로 RP ⊥AP

∴ AR 

RP AP 

 



AQ AR QR이므로 ∠QAR  

∴   ∆AQR   AP⋅ AR  

×

 ×

 



∴  

91. [정답] 

원 과 중심에서 원 에 그은 벡터 OP와 평면 의 법선 벡터가 이루는 각 cos  

  

원 과 중심에서 원 에 그은 벡터OQ와 평면 의 법선벡터가 이루는 각 cos  

  

∴    

평면 의 법선벡터와 평면 의 법선벡터가 이루는 각 는 cos  

따라서 최단거리를 나타내는 벡터 OP와 벡터 OQ가 이루는 각은 cos

  

 

이다.

PQPQOQ OP OQ OP·OQ OP를 정리하면 최솟값은 40이다.

(제이코사인 법칙도 사용 가능하다.)

92. [정답] 

[출제의도] 공간도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벡터의 내적의 최댓값과 최 솟값을 구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cos   





, OA

, O′B  이고

OA∙ O′B  OAO′B cos 이므로

 ≤ OA∙ O′B ≤



OA∙ OB의 최댓값은  

, 최솟값은

 

이므로 곱은 

93. [정답] 

[출제의도] 벡터의 내적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는가?

벡터 AP를 시점이 원점이 되도록 옮겼을 때, 종점을 P′이라 하자.

이때,AP∙ AQ  OP′ ∙ AQ

 OP′ ∙OQ OA

 OP′ ∙ OQ OP′ ∙ OA

이때, 점 Q가 점 P′이 되도록 잡으면 최댓값을 가지므로

OP′ ∙ OQ OP′ ∙ OA ≤ OP′ ∙ OP′  OP′ ∙ OA

   OP′ ∙ OA ··· ㉠ 한편,

AB  OB  OA

 

  



 

   

 

이고 점 B′ 을 AB  OB′이라 하자.

벡터 AP와 벡터 A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

이므로 그림과 같이 점 P′이 세 점 O A B′에 의하여 결정된 평면 위에 그림과 같이 P″ 에 있을 때, OP′ ∙ OA는 최솟값을 갖는다.

이때, 두 벡터 OA OB′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 하면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두 벡터 OA OP″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  

이고 cos

  

 cos cos 

 sin sin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평면 

  

  

  와  평면이 이루는 각을  ,



  

 

   라 두면 cos  







⋅

 

 정사영을 이용하면

∴ ′ cos   × 

 

95. [정답] ③

[출제의도] 공간도형 문제 해결하기 (ⅰ)          

       

구의 중심    와 평면 사이의 거리를 라 하면

      

       

 

구와 평면이 만나서 생기는 원의 반지름을 라 하면

  

, 원의 넓이는 

(ⅱ) 평면에 수직인 벡터    

평면에 수직인 벡터      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라 하면 cos  

 ×    

  

 

따라서 정사영의 넓이는  × 

 



96. [정답] 

구     위의 점

 

 

에서

구에 접하는 평면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점

 

 

에서 구에 접하는 평면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평면  의 법선벡터를 각각  라 하면

       

평면 와 평면 가 이루는 각을 라 하면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에서   cos 

 이므로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이다.

97. [정답] 

[출제의도] 좌표공간에서 평면과 구의 방정식을 이해하여 관련 문항

문서에서 1 공간벡터 (페이지 38-4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