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공복 및 식후 혈당과 당화혈색소와의 관계

당뇨병에서 당화혈색소(HbA1c)는 혈당조절의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적혈구의 수명과 연관하여 최근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을 반영하게 된다.

당화혈색소는 당뇨병 환자의 전반적인 혈당 조절을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식전 및 식후 혈당 중 어느 것과 연관성이 높은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들과

논란들이 있어왔다. 1997년에 Avignon등은 처음으로 하루 중 서로 다른 시간에

혈당을 측정하여 식전 및 식후 혈당이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총 66명의 제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식전 및 식후

혈당을 하루 4차례 측정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식후 혈당이 식전

혈당보다 전반적인 혈당조절을 반영하는 지표로 더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1] 이와 유사한 결과로 IOEZ Study Group은 이전 몇몇 연구들의 결과를

10

바탕으로 식후 혈당이 공복 혈당보다 전반적인 대사 조절에 더 중요할 것이라는

가설 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2000년에 발표된 이 연구는 135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NPH insulin과 insulin lispro를 투약하여 전자의 경우

공복혈당을 대상으로 후자의 경우 식후 혈당을 대상으로 혈당 조절을

시행하였다. 결과적으로 insulin lispro를 투약한 군에서 당화혈색소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 식후 고혈당이 당화혈색소와 전반적인 대사 조절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2] 2002 년에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 trial (DCCT)데이터를 바탕으로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도 식후 혈당이 당화혈색소와 선형 비례관계를 가지면서

공복혈당보다 높은 관련성을 나타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3] 하지만 이와는

상반되게 공복 혈당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 결과들도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2001년에 Bonora등이 371명의 제 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중 회귀 분석을 시행한 연구에서는 식후 혈당 보다 공복 혈당이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4]

(2) 그래프 면적을 통한 상대적 기여도의 평가

11

각 연구들 마다 상반된 연구 결과를 보여준 것에 대해 Monnier등은

종속변수인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각 시점의 혈당이 아닌

연속적인 혈당 측정이나 혈당 그래프 면적을 통한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2003 년에 Diabetes care 에 중요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 290 명을 대상으로 하루 4번 공복 및 (8AM) 식후

혈당(11AM, 2PM, 5PM) 을 측정하였으며 기준 혈당 (126 mg/dL) 이상의 면적을

계산하여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당화혈색소에 따라 총 4개의

군으로 환자를 분류하였으며 (<7.3%, 7.3–8.4%, 8.5–9.2%, 9.3–10.2, >10.2%) 군에

따라 공복 및 식후 혈당이 미치는 상대적인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비교적 조절이

잘 되는 7.3% 미만의 군에서는 식후 혈당의 기여도가 70% 가까이 되었지만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 군으로 갈수록 상대적인 식후혈당의 기여도가 낮아져

30% 까지 감소하고 중간 군인 7.3~9.3% 군에서는 식후 및 공복 혈당의 기여도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공복 혈당의 기여도는 혈당 조절이 불량한

군일수록 상대적으로 높아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당뇨

초기에 비교적 혈당 조절이 잘 되는 군에서는 식후 혈당을 대상으로 혈당

조절을 하는 것이 유리함을 시사해주었다.[5]

12

Figure1. Relative contributions of postprandial (□) and fasting (■) hyperglycemia (%) to overall diurnal hyperglycemia over quintiles of HbA1c.(Adapted from Monnier et al. [5])

Monnier의 연구 발표 이후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여도를 평가한 몇몇 연구들이

있었는데 2011 년 Riddle등이 Diabetes care 에 발표한 연구에서는 총 1699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Monnier와 같은 방법으로 당화혈색소에 따라

환자를 분류하고 공복 및 식후 혈당의 기여도를 알아보았다. Monnier의 연구

결과와는 달리 모든 군에서 공복 혈당이 미치는 기여도가 70% 이상으로

높았으며 당화혈색소가 상승함에 따라 공복 혈당의 기여도가 다소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인슐린

치료 이후 공복 및 식후 혈당 기여도의 변화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는데 24주

13

혹은 28주 간 집중적인 인슐린 치료 후 공복 혈당보다 식후 혈당의 상대적인

기여도가 올라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저자들은

당화혈색소만으로 공복 및 식후 혈당의 기여도가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환자가

어떤 치료를 받고 있느냐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전

연구들과 결과가 다른 것에 대하여 본 연구는 이전 연구들과 달리 대규모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하루 7번의 혈당 측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전 연구들은 110 mg/dL를 기준으로 혈당이 기여도를

계산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100 mg/dL를 기준으로 분석한 것이 다르다고

설명하고 있다.[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