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음악과 활동영역의 내용체계

Ⅱ. 음악과 교육과정

5) 음악과 활동영역의 내용체계

음악과 활동영역의 내용체계를 살펴보면, 음악 개념은 학생들이 음악 수업에서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하여 습득하게 되고, 교사는 학생들이 수업해서 보여주는 음 악 행위를 통하여 학생의 음악적 이해를 관찰하여 파악하게 되므로 다양한 음악 활 동을 통한 음악적 경험은 음악 수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제7차 교육과정의 ‘활 동’ 영역은 제6차 교육과정의 표현과 감상영역을 음악 활동이라는 관점에서 하나의 영역으로 묶어 제시하였다. 감상활동은 학생이 음악을 집중하여 들으며 음악개념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활동이다.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활동의 영역은 가 창, 기악, 창작, 감상의 네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활동영역의 내용체계는 학생들이 학습을 통해서 성취해야 할 능력을 중심으로 학생의 발달 수준에 맞게 제 시하여 이를 수행하는 행동으로 서술하고 있다. 음악과 활동 영역의 내용 체계를 정 리하면 〈표 6〉과 같다.

〈표 6〉음악 활동영역의 체계

〈표 7〉음악과 신․구 교육과정의 비교

구분 제6차

구분 제 6차

음악과 신․구 교육과정의 비교를 <표 7>로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서론과 교육 배경에서 보아온 것처럼 국악교육의 설자리는 자명해졌으나, 현실 은 국악교육이 명목뿐이다. 어느 나라의 음악교육도 자기 것을 충분히 익혀서 외국 의 음악을 비교 소화하는 것인데 우리나라는 정 반대 입장에 처해 있다. 우리는 우 리 고장 우리 조상의 흥겨운 전통의 가락에 쉽게 동화 내지 매료될 수 있다. 제6차 교육과정 이후 우리 음악에 대한 지도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 오고 있으며 전통음악 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학교에서도 21세기의 정보화․세계 화․다양화 시대 속에서 우리의 음악 문화를 창조하고 이끌어가기 위해 국악교육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우리의 음악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대, 양식, 문화권의 음악적 특 질과 그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우리의 음악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 켜 새로운 음악 문화 창달에 기여하도록 하였다.

국악교육은 단지 과거의 음악을 보존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전수시켜 주는 교 육이 아니다. 음악은 끊임없이 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국음악’도 역시 끊임없이 변 하는, 살아있는 음악이다. 한국음악을 단지 ‘전통음악’이라는 범주로 묶어 ‘전통성’만 을 강조하고, 창의적 시도를 소홀히 다루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한국음악 의 미래상을 생각해 보도록 하고, 한국음악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하고 새로운 시 도들을 경험하도록 돕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한국음악 문화의 창달이 제대로 이루 어지기 위해서는 전통음악의 전수뿐만 아니라, 그 음악의 창조적 변화와 발전 역시 매우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이다. 닫혀 있는 한국음악이 아니라 열려 있는 한국음악 으로 학생들이 인식하도록 해 주는 것은 한국음악의 창조적 발전을 위한 가장 필수 적인 바탕이 될 것이다. 따라서 국악교육이 바로 서야 하겠기에 고등학교 1학년(10 학년) 8종 음악 교과서를 비교 분석해 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