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운동그룹의 실험 전 후 간수치의 변화 ·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47)

↓ 자료처리

B. 운동그룹의 실험 전 후 간수치의 변화 ·

의 변화 1. AST

의 변화는 표 그림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다 운동그룹의 사전 AST < 8>, < <5> .

AST 28.15±5.32IU/L에서 사후 23.55±4.08IU/L로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 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p<.01).

표 8. AST의 변화 M±SD

Items Pre-test Post-test t p

AST (IU/L)

E.G

(n=20) 28.15±5.32 23.55±4.08 3.181 .005**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AST: Asprtate aminotransferase, **p<.01

0 5 10 15 20 25 30 35

AST

23.55 28.15

0

변 수

Pre-test Post-test

그림 5. 운동그룹의 AST 변화

의 변화 2. ALT

의 변화는 표 그림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다 운동그룹의 사전 ALT < 9>, < 6> .

ALT 27.70±5.85IU/L에서 사후 19.00±5.39IU/L로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 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p<.001).

표 9. ALT의 변화 M±SD

Items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ALT: Alanine aminortansferase, ***p<.001

0 5 10 15 20 25 30 35

ALT 19 27.7

0

변 수 Pre-test Post-test

의 변화 3. γ -GTP

의 변화는 표 그림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다 운동그룹의 사 -GTP < 10>, < 7> .

γ

전 γ-GTP는 20.40±10.26IU/L에서 사후 20.30±8.23IU/L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다.

표 10. γ-GTP의 변화 M±SD

Items Pre-test Post-test t p

-GTP γ

(IU/L)

E.G

(n=20) 20.40±10.26 20.30±8.23 .086 .933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γ-GTP: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0 5 10 15 20 25

γ-GTP 20.4 20.3

0

변 수 Pre-test Post-test

그림 7. 운동그룹의 γ-GTP 변화

운동그룹의 실험 전 후 총콜레스테롤의 변화

C. ·

총콜레스테롤의 변화 1.

총콜레스테롤의 변화는 < 11>, <표 그림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다 운동그룹의. 사전 총콜레스테롤은 218.15±49.84mg/dL에서 사후 191.95±44.76 mg/dL로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p<.01).

표 11. 총콜레스테롤의 변화 M±SD

Items Pre-test Post-test t p T C

(mg/dL)

E.G

(n=20) 218.15±49.8 191.95±44.76 3.560 .002**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TC: Total Cholesterol, **p<.01

0 50 100 150 200 250

T C

변 수 Pre-test Post-test

논 의 .

본 연구는 성인비만여성들을 대상으로 6주간의 스피닝 운동프로그램을 실시 하여 실험 전 후 성인비만여성들의 신체조성· , 간수치(AST, ALT, γ-GTP), 총콜레스테롤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성인비만· 여성들의 비만치 료 및 비만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적정 운동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스피닝 운동프로. 그램에 따른 신체조성 체중( , 체지방률, BMI), 간수치(AST, ALT, γ-GTP), 총콜레스테롤 수치에 미치는 효과를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신체조성의 변화 A.

신체를 구성하는 단백질, 수분, 무기질, 지방을 일컬어 신체조성이라 한다. 신체조성에도 본 연구는 체중의 변화 체지방률의 변화, , BMI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그 결과 사전 체중은 67.95±6.21kg에서 사후 64.87±6.88kg으로 감소 하여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체지방률의 변화 또한 사전 35.02±2.67%에 서 사후 32.06±3.94% 감소하여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BMI 역시 사전

에서 사후 감소하여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26.76±2.09% 25.49±2.33% .

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신체조성의 형성은 운동을 통해 이루어진 ACSM(2014)

다고 발표하였다 운동 중에서도 유산소 운동을 권장하고 있다 권장이유로는 지. . 속적인 에너지 소비 증가 근육 발달 증가 제지방량 증가 체지방량을 감소시킬, , , 수 있기 때문이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본 결과 장기주(2008)는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을 중년

여성들에게 실시한 결과 체지방률 체지방량 혈중지질 골밀도에 긍정적이 효, , , 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표하였고 허정선, (2016)은 40~50대 중년여성을 대상 으로 Step-Box 운동을 실시한 결과 운동집단의 체중, 체지방률, BMI가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슬이. (2012)의 연구에서도 복 합운동프로그램에 따른 운동효과로 체중 체지방률, , BMI가 사전검사와 비교 했을 때 사후검사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윤수미(2016)의 연구에서는 타바타 운동을 실시해 중년여성의 혈중 산화스트레스와 신체조성을 연구한 결과 신체조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결과를 얻었다 유의하지 못한 결과의 원인으로 대상자의 식습관을 통제. 하지 못했다고 발표하였다. 타바타 운동은 간헐적이면서도 고강도의 인터벌 트레이닝으로 기초체력 및 신체적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지속하기 힘든 운동으로 40~50대 중년여성이 운동하기엔 무리가 있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의 성인비만여성을 대상으로 한 스피닝 운동 프로그램은 체중, 체지방률, BMI 모두 통계적으로 감소하여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스피닝운동은 고강도 운동이기는 하지만 유산소성 운동으로 반. 복적으로 꾸준히 지속한다면 지구력 및 체력이 길러져 체중의 변화 체지방률, 의 변화를 얻을 수 있다.

스피닝운동을 꾸준히 한다면 비만치료는 물론 비만예방과 성인병 만성질환, 까지 예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식습관을 통제하면서 남 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면, · 더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간수치의 변화

B.

물질을 처리함으로써 간세포가 쉽게 손상되기 쉬워 간질환등이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간질환등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간수치 검사가 있다 간. 수치 검사의 측정 요소로는 AST, ALT, γ-GTP가 있다.

는 간세포외 심장 골격근 신장 뇌 미토콘드리아 내에 존재하는 효소

AST , , , , ,

로 간질환의 특이도가 낮으나 심근경색 및 다발성근염 등과 같은 근육질환 시, 효소의 수치가 증가될 수 있다. ALT는 간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로 간질환의, 경우 효소의 수치가 증가된다. ALT상승은 급성 간 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는 간세포 담관세포 신장 세뇨관 췌장 장에 분포하는 효소로 와

-GTP , , , , , AST

γ

와 다르게 알코올을 섭취했을 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래서

ALT . γ-GTP

는 비알코올성 간질환 진단보다는 알코올성 간질환 진단에 도움을 준다고 선행 연구에서 발표되었다.

비만과 관련된 간질환 중 비알코올성 간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선행연구의. 결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30~90%가 비만으로 보고되 었다.

이상의 과체중 비만인 경우 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BMI 30kg/㎡ 15~20%

을 갖고 있으며, BMI가 증가할수록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유병률이 증가하 는 경향을 보인다고 발표되었다(Sanyal AJ, 2000). 김선영(2007)의 선행연 구의 결과 BMI수치 23~24.9kg/㎡인 여성에 비해, BMI수치 27.5~29.9kg/㎡ 인 여성의 AST, ALT의 수치는 4~5배가 더 증가한다는 통계가 유의적으로 밝혀졌다 또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환자의. 50~60%는 이상지질혈증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태헌 등( , 2005).

비만 치료의 방법 중 하나인 운동 중에서도 ACSM(2006)의 보고에 의하면 유산소성 운동은 호흡계 혈중 지질대사를 개선하여 관상동맥질환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권장되어왔다 선행연구 중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가진. 비만대학생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과 근저항 운동을 실시한 결과 체지방량의 감소가 간세포 내의 지방축적을 억제시키며 간세포 손상 및 염증반응을 저하, 시켜 AST, ALT수치가 유의하게 저하되는 것을 연구하였다 김승훈( , 2010).

본 연구에서도 스피닝 운동을 통해 간수치 AST, ALT는 유의한 차이를 보 였으나, γ-GTP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ST, ALT는 간세포 내 외· 에 존재하는 효소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가진 환자들에게 높은 수치로 나타 나지만, γ-GTP는 간세포 담관세포 신장 세뇨관등에 분포하는 효소로 알코, , 올성 간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 높은수치로 나타난다. 선행연구 중 김소진 의 여성수감자를 대상으로 수치를 연구한 결과 음주량이 많을

(2011) γ-GTP

수록 γ-GTP 정상수치의 비율은 감소하고, 위험수치의 비율은 증가한다고 발표했다 그래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가진. 성인비만여성들의 경우 유의하 지 않은 결과가 나타난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피닝 운동이 성인비만 여성의 간수치 효소 중 AST는 사전 28.15±5.32IU/L에서 사후 23.55±4.08IU/L 감소하였고, ALT는 사전 27.70±5.85IU/L에서 사후 19.00±5.39IU/L 감소하여 유의한 결과를 제시했 으나, γ-GTP에서는 사전20.40±10.26IU/L에서 사후 20.30±8.23IU/L로 감소 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못한 결과를 나타냈다, . 유의하지 못한 결과에 대한 원인으로는 통일되지 못한 식단 음주량 운동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이, , 대표적인 원인으로 사료된다 개인의 목표심박수가 아닌 운동프로그램의 강도. 에 따른 다양한 작품을 구성한다면 운동효과가 더 증가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시키면서 장기적으로 운동프로그램 연구를 진행하면 추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총콜레스테롤 변화 C.

총콜레스테롤은 우리몸의 세포가 필요로 하는 필수 물질로 고밀도 지단백 콜, 레스테롤(HDL-C),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중성지방(TG)로 구분

레스테롤(LDL-C)의 합을 뜻한다. 총콜레스테롤은 신경조직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생체막의 주요성분이면서 성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의 원료이기도 한다,

김옥기

( , 201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중성지방(TG)의 함량이 적은 콜레스테 롤로써 혈관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인 것을 막아주고 제거해주는 착한 콜레스테, 롤로 동맥경화를 예방할 수 있다 위영량( , 2008). 하지만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이라도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의 수치가 낮은 경우 심근경색이 나 협심증 등의 허혈성심질환이 많이 발생한다고 선행연구에서 밝혀졌다 송치, ( 응, 2001). 동맥경화 지수에 관련된 연구 중에서 유산소운동과 순환운동을 실시 한 결과 TC와 HDL-C의 수치가 유의하게 나왔다고 발표되었고 정성림( , 2007), 위영량(2008)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유산소운동과 유 무산소 복합운동에· 대한 연구결과 복합운동 집단에서는 TC와 HDL-C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였으나 유산소운동 집단에서는, HDL-C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보고 하였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중성지방(TG)의 함량이 많은 콜레스테 롤로써 콜레스테롤을 각 조직에 운반하는 운반원 역할을 한다 저밀도 지단백 콜. 레스테롤(LDL-C)은 동맥벽에 잘 부착되는 콜레스테롤로 수치가 높으면 동맥벽 을 손상시켜 동맥경화를 일으킨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LDL-C) 수치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된 선행논문 중 석재욱(2002)의 비만남자고등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의 트레이드밀 운동을 실시한 결과 운동전에 비해 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김현 한동성 주진만, , (2003)의 복합운동 연구에서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유의 하게 감소하여 긍정적인 운동효과를 입증하였다.

그러나 이슬이(2012)의 연구에서 비만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복합운동 을 실시한 결과, TC, HDL-C, LDL-C 모두 감소하기 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최희남. (1992), 강유철(2007), 정효숙(2008)의 연구 에서 또한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 걷기운동 등을 실시한 결과, TC는

어디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정효숙. (2008)의 연구에서는 LDL-C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는 운동을 꾸준히 지속한다면 HDL-C은 증가하고, LDL-C 는 감소한다는 선행연구가 많이 발표되었다 그에 반해 총콜레스테롤에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피닝 운동프로그램 시행 전 후 총콜레스테롤· (TC) 수치가 사전218.15±49.84mg/dL에서 사후191.95± 44.76mg/dL 감소하여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의 스피닝 운동과 총콜레스테롤 수치를 연구한 결. 과 스피닝운동이 총콜레스테롤(TC) 감소에 유의하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본 연, 구를 시행하면서 비만 치료 및 예방 성인병 만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 , 그램에 좋은 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운동프로그램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개. 개인의 목표심박수 보다는 운동수준을 고려해 초보자용 중급자용 상급자용으, , 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다이어트는 힘들다 라는 인식’ 보다는 ‘즐겁게 운동하면서 살을 뺄 수 있다’, ‘스피닝 운동이 신나고 재미 있으면서 살빼기도 쉽다 라는 인식이 심어져 운동하는 내내 스트레스보다는’ 좋은 호르몬을 얻어가면서 운동할 수 있기를 바라면서 좋은 자료가 될 것이라 고 사료된다.

결 론 .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0%이상인 성인비만여성들을 대상으로 6주간 스피닝 운동이 성인비만여성들의 간수치(AST, ALT, γ-GTP)와 총콜레스테롤(TC)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성인비만여성들의 비만치료 및 비만예방과 건강증 진을 위한 적정 운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신체조성 체중 체지방율 의 변화는 운동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전 1. ( , , BMI)

보다 실험 후에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간수치의 변화는 운동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 전보다 실험후 비교에서 2.

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AST, ALT (p<.01, p<.001), γ-GTP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총콜레스테롤 의 변화는 운동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 전보다 실험

3. (TC)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위와 같은 결론을 보면, 스피닝 운동이 비만과 관련된 위험인자인 간수치 와 총콜레스테롤 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AST, ALT, γ-GTP) (TC)

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하지만 성인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치료 및 비만. 예방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구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면 추후, 연구에서는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제한하고 여성과 남성을 대상자로 선정해, 비교 분석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좀 더 심도 있는 자료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 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4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