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실태 진단 2.1.1. 기온 변화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북반구의 극동지역에 위치한 온대성기후대에 속 하고 있어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이 뚜렷하다. 연평균 기온은 전국 적으로 보면 12.4℃이나 지역에 따라 편차가 크다. 대관령의 6.4℃부터 서 귀포의 16.2℃까지 폭넓게 분포하고 있다. 연평균 기온의 경우 지역차가 큰 편이나 산악지대를 제외하면 대체로 10~16℃ 내외이다. <그림 2-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 근대적 기상관측이 시작된 이래, 1904~

2000년까지 관측된 기온자료에 대한 분석결과 평균기온은 1.5℃ 상승(도시 열섬효과 포함)하여 전세계의 기온상승(0.74±0.18℃)보다 높은 수준이다.

기온상승의 원인으로는 지구온난화와 도시화이며, 도시화 효과가 20~

30% 정도로 분석되고 있다(권원태, 2005; 국립기상연구소, 2006).

그림 2-6. 우리나라 연평균 기온편차 변화 추이

자료: 국립기상연구소(2006), p.4.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22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계절의 변화도 탐지되고 있다. 1920년대에 비해 1990년대는 겨울이 19일 짧아지고, 여름은 16일 길어지는 등 여름과 봄은 길어진 반면 겨울과 가을은 짧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표 2-2>.

표 2-2. 여름과 겨울 기간의 변화

기 간 1920년 대비 1990년 증감 여름 1920년대 6. 3 ~ 9. 21

16일 증가 1990년대 5. 24 ~ 9. 27

겨울 1920년대 11. 21 ~ 3. 18

19일 감소 1990년대 11. 29 ~ 3. 8

주: 일평균 기온 5℃ 이하를 겨울, 20℃이상을 여름, 그 사이를 봄과 가을로 정의함.

자료: 국립기상연구소(2006).

전국의 60개 지점에서 관측된 자료를 평균한 6월부터 8월 사이의 여름 철 기온변화를 보면 1960년대에는 23.7℃, 1970년대 23.5℃, 1980년대 23.8℃, 1990년대 23.9℃, 2000년대에는 24.0℃로 상승하여 지난 40년 사 이 여름철 평균기온은 1% 상승하여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러나 겨울철인 12월부터 2월 사이 기온변화를 보면 1960년대에는 1.3℃이 었으나, 1970년대 2.2℃, 1980년대 1.9℃, 1990년대 3.1℃, 2000년대에는 3.2℃로 상승하여 지난 40년 사이 겨울철 온도는 약 140%나 상승한 것으 로 나타났다<표 2-3>. 즉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온난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여름철보다는 겨울철에 훨씬 뚜렷 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표 2-3. 연대별 여름철과 겨울철의 평균기온 변화 추이

단위: ℃

구분 60년대

(A) 70년대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B) A/B 변화

여름철 23.7 23.5 23.8 23.9 24.0 1.01

겨울철 1.3 2.2 1.9 3.1 3.2 2.46

자료: 심교문 외 5인(2008).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23

2.1.2. 강수량 변화

지난 약 100년간 강수량은 해에 따라 편차가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증가 하는 추세이다. 1910년대 전반, 1940년대 전반, 1970년대 후반, 1990년대 전반의 강수량은 다른 기간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30년간 (1977~2006년) 연평균 강수량은 1,200mm를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전체적 으로는 다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그림 2-7>.

그림 2-7. 우리나라 강수량 변화 추세

자료: 한화진 외 12인(2007), p.105.

우리나라의 연대별 평균 강수량을 보면, 1970년대 1,272㎜, 1980년대 1,329㎜, 1990년대 1,339㎜, 2000년대 1,470㎜가 내려 1970년대 대비 2000 년대 강수량이 16% 증가하였다. 또한 계절별 강수량 변동을 보면 여름철 은 1970년대 598㎜, 1980년대 657㎜, 1990년대 697㎜, 2000년대 761㎜로 1970년대 대비 2000년대 여름철 강수량은 27% 증가하였으나, 겨울철은 1970년대 132㎜, 1980년대 125㎜, 1990년대 110㎜, 2000년대 120㎜로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24

1970년대 대비 2000년대 겨울철 강수량은 오히려 10% 감소하였다<표 2-4>. 그 결과 겨울철 대비 여름철 강수량 비율은 1970년대에는 4.5였으나, 2000년대에는 6.3으로 1.4배나 높아져 여름철 집중호우 발생 가능성이 더 욱 커졌다. 일 강수량 80㎜ 이상인 호우발생일수도 1970년대에는 연간 2.1 일에서 2000년대에는 3.0일로 1.43배나 증가하고 있다. 이밖에도 겨울철 강수량 부족에 따른 겨울철과 봄철 용수부족 현상도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 나고 있다.

표 2-4. 연대별 여름철과 겨울철의 강수량 변화 추이

단위: ㎜ 70년대

(C)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D)

비율 (C/D)

여름철 (A) 598 657 697 761 1.27

겨울철 (B) 132 125 110 120 0.90

비율 (A/B) 4.5 5.3 6.3 6.3

-연강수량 1,272 1,329 1,339 1,470 1.16

자료: 심교문 외 5인(2008).

2.1.3. 이상기상 발생현황

세계기상기구는 이상기상을 25년에 1회 정도밖에 나타나지 않는 특이한 기상현상으로 정의하고 있다. 지난 46년간(1961~2006년) 수원, 강릉, 대 구, 광주 등 4개 지역의 이상기상 발생월수를 보면, 1988년을 기점으로 뚜 렷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1988년 이전에는 이상저온 발생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그 이후에는 이상고온의 발생이 훨씬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온이 심했던 1980년에 이상저온의 발생월수가 6.5로 가장 많았고, 1998 년에 이상고온 발생월수가 6.8로 가장 많았던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그림 2-8>.

1904~2000년까지 재해 유형별 순위를 보면, 가뭄이 5,169일로 가장 많 고 다음이 호우, 대설, 이상고온, 강풍, 이상저온, 태풍, 우박, 황사 순으로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25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26

2.2. 우리나라 기후변화 전망

기상연구소의 중장기 기후변화 예측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2001~

2100년 기온은 꾸준히 상승하며, 강수량은 연간 변동이 있으나 전체적으로 는 상승하는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국립기상연구소, 2006).

기후변화 전망을 위해 다원화사회인 A2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예측된 2020, 2050, 2080년의 기온, 강수량, 해수면의 변화를 보면 2020년 기온은 과거 30년(1971~2000년)에 비해 1.5℃ 상승하고, 강수량은 5% 증가할 것 으로 예측되고 있다. 2050년은 과거 30년 평년기온에 비해 3.0℃ 상승하 고, 강수량은 7% 증가하며, 2080년에는 과거 30년 평년기온에 비해 5.0℃

상승하고 강수량은 15%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해수면은 2100년에 약 50Cm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표 2-6>.

표 2-6. 한반도 기온과 강수량 변화 예측(A2 시나리오 가정)

2020년 2050년 2080년

온도증가(℃) +1.5 +3.0 +5.0

강수량 변화(%) +5.0 +7.0 +15.0

해수면 변화 2100년 50cm 이상 상승

주: 1) A2시나리오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비교적 급격하게 증가하여 2100년에 농도가 820ppm이 되는 것을 가정한 것이고, B2시나리오는 610ppm을 가정한 것임.

2) 예측된 변화 수치는 1971-2000년의 평균값에 대한 증감임.

자료: 국립기상연구소(2006).

한편 한반도 미래기후 전망을 위해 에너지 균형을 중시하는 A1B 시나 리오의 예측결과 평년(1971∼2000년) 대비 21세기 말(2071∼2100) 우리나 라 기온은 약 4℃ 상승하고, 강수량은 약 17%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와 같은 기후변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호우 빈도와 열대야 횟수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기상청, 2008a, 2008b)

기후변화의 예측은 다양한 모델과 가정조건 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 로 1970~2007년까지 주요 관측지점별 기온변화 추세를 적용하여 전국 주요지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27

1970 1973 1976 1979 1982 1985 1988 1991 1994 1997 2000 2003 2006

평균기온(℃) 부산시

1970 1973 1976 1979 1982 1985 1988 1991 1994 1997 2000 2003 2006

평균기온(℃)

1970 1973 1976 1979 1982 1985 1988 1991 1994 1997 2000 2003 2006

평균기온(℃) 강릉시

1970 1973 1976 1979 1982 1985 1988 1991 1994 1997 2000 2003 2006

평균기온(℃)

1970 1973 1976 1979 1982 1985 1988 1991 1994 1997 2000 2003 2006

평균기온(℃) 군산시

1970 1973 1976 1979 1982 1985 1988 1991 1994 1997 2000 2003 2006

평균기온(℃)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28

지난 30년(1971~2000)의 평년기상과 향후 30년(2001~2030)의 기상변 화에 대한 전망치 분석결과를 보면 지난 94년간(1912~2005) 한반도 기온 은 1.5℃ 상승하였는데, 최근 30년(1971~2000)의 기온 상승폭이 1.04℃

정도나 되어 근래에 가까울수록 기온이 급속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심교문 외 5인, 2008). 특히 향후 30년(2001~2030)은 1.79℃ 상승할 것 으로 전망되어 미래의 기온상승 폭이 현재보다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그림 2-10>.

그림 2-10. 한반도 기온변화의 추세 및 전망

- 1 . 5 - 1 . 0 - 0 . 5 0 . 0 0 . 5 1 . 0 1 . 5 2 . 0 2 . 5

1 9 7 1 1 9 7 6 1 9 8 1 1 9 8 6 1 9 9 1 1 9 9 6 2 0 0 1 2 0 0 6 2 0 1 1 2 0 1 6 2 0 2 1 2 0 2 6 연 도

기온 평년편차 (℃)

자료: 농촌진흥청(2007b), p.6.

강수량은 연도별 변동폭이 크게 나타난 가운데 뚜렷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으나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30년간의 강수 량은 과거 30년간 보다 약 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온상승이 이루어지면 지역별로 상당한 기후대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그림 2-11>. 기온이 4℃ 상승하는 경우 현재는 제주도와 남해안 일부지역에 해당되는 아열대 기후지역이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중심으로 그 주변지역 및 강원도를 제외하고 충청도와 경기도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 측되고 있다(권영아 외 3인, 2007).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29

그림 2-11. 한반도 지구온난화의 지역별 분포도 전망

국립기상연구소에서 IPCC 연구결과를 기초로 에너지원의 균형을 중시 하는 시나리오(A1B)를 상정하여 전지구의 기후의 경우 1860~2100년, 한반 도 기후전망자료는 1971~2100년의 중장기 전망치를 제시하였다. <그림 2-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균기온의 경우 한반도의 기후가 세계평균보다 1.5~2℃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반도가 전지구의 기온변화보다 큰 이유로는 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와 주변국가인 중국 등 아시아 지역의 인구증가 및 온실가스 증가 요인 등을 들 수 있다(차유미, 2007).

그림 2-12.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기온변화 전망

-2 -1 0 1 2 3 4 5 6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2030 2040 2050 2060 2070 2080 2090 2100

단위: ℃ 한반도 전지구

자료: 국립기상연구소(2008).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30

한편 기후변화 시나리오(A1B)의 강수량 변화 전망치를 보면 세계 전망 치보다 연도별로 큰 편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그림 2-13>.

한반도의 강수량 편차가 전지구의 편차보다 더 크게 나타나는 이유는 기온 이 상승하는 경우 수증기 함량이 증가하여 강수확률이 높아지고 또한 한반 도 주변의 기온이 상승하게 되면 저기압의 강도가 강해지는 요인 등을 들 수 있다(차유미, 2007).

그림 2-13.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강수량 변화 전망

-40 -20 0 20 40 60 80 100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2030 2040 2050 2060 2070 2080 2090 2100

단위: ㎜ 한반도 전지구

자료: 국립기상연구소(2008).

농업부문의 기후변화 영향분석 이론 3

기후변화가 농업부문에 미치는 영향분석은 기술적․경제적 측면에서 여 러 가지 이론과 방법론이 적용되고 있다. 제3장에서는 농업부문의 기후변 화 영향분석을 위한 이론적 접근으로 우선 농업부문에 미치는 파급영향 체 계와 부정적·긍정적 영향에 대한 개념적인 틀을 제시하였다. 농업부문의 기후변화 영향분석 이론으로 생태기후적 이론에 기초를 둔 기후-작물을 통 합하는 통합평가모형, 경제적 분석모형으로 속성가격 모형, 프로그래밍 시 뮬레이션 모형 등을 제시하였다.

1. 개념적 접근

기후는 어떤 지역에서 어떤 기상현상이 오랜 기간 동안에 되풀이 되어 나타나는 평균적인 기상현상을 말한다. 농업은 그 지역의 기후에 적합한 작물을 선택하고 영농방법을 적용하여 생산 활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농

기후는 어떤 지역에서 어떤 기상현상이 오랜 기간 동안에 되풀이 되어 나타나는 평균적인 기상현상을 말한다. 농업은 그 지역의 기후에 적합한 작물을 선택하고 영농방법을 적용하여 생산 활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농